사장(불교)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에 승려가 아니면서 승려의 역할 곧 염불·기도·의례·권선(勸善) 등을 하던 비승비속의 집단.

개설

조선시대에는 억불 정책으로 많은 승려들이 절에서 쫓겨났다. 환속한 승려들은 마을에 불당이나 염불당을 마련하여 절에서처럼 기도하고 염불하며 각종 의례를 행하는 비승비속(非僧非俗)의 존재로 남았다. 이들은 주로 집단을 이루어 마을을 돌아다니며 시주를 받고 복을 기원하는 등 서민 불교의 유행에 기여하였다. 교학과 수행에 대한 전문적 식견이 없어 염불과 노래, 춤 등으로 사람들을 끌어 모았다. 임진왜란 이후 생활이 어려워지자 수백, 수천의 무리를 이루어 도적에 가담하기도 하였고, 일부는 놀이패로 변모하여 이른바 사당패(社堂牌)가 되기도 하였다.

내용 및 특징

(1) 기원

고려시대 국가 불교가 융성하면서 많은 사람이 불교 신앙을 가졌다. 출가한 승려뿐 아니라 절과 관련된 일을 생업으로 삼는 사람들이 생겨났다. 대규모의 사찰을 관리하고 유지하는 데는 많은 인력이 필요하였고, 이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계층도 증가하였다. 교학을 익히고 수행하는 승려와는 다른 하급 승려를 수원승도(隨院僧徒) 또는 재가화상(在家和尙)이라고 불렀다. 이들은 각 절에 예속되어 토지를 경작하고 가람의 중수 등을 전담하였는데 큰 절에는 1,000명이 넘는 경우도 있었다. 국난 시에는 징발되어 군사로 편입되기도 하였다. 이들이 조선시대 사장으로 이어진다.

조선은 건국과 함께 숭유억불 정책을 시행하였다. 고려시대 불교가 지녔던 권력과 경제력, 사회적 기반 등을 제거하여 신왕조의 기틀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종파와 사찰 수를 대폭 축소하고, 승려가 되는 길을 법으로 제한하였다. 그 결과 수많은 승려가 절 밖으로 쫓겨나 강제로 환속(還俗)당했다. 이들은 새로운 삶을 찾아야 했고, 결국 절이 아닌 세속에서 승려가 아니지만 승려로 살아가는 사장(社長)의 방법을 택했다.

천년을 이어 온 불교 신앙은 일시의 억불 정책으로 쉽게 중단시킬 수 없었고, 민간의 신앙은 여전히 지속되었다. 법으로 절 출입을 금지하자 백성들은 오히려 가까운 사장들을 찾아갔다. 사장은 깊은 산중이 아니라 번화한 마을에 불당 혹은 염불소(念佛所)를 차려놓고 백성들이 원하는 각종 염불과 기도, 의례 등을 행하였다. 고려말 조선초의 불교계에는 국가의 부역을 피해 입산한 사람들이 많았다. 출가수행이 목적이 아니었으므로 이들은 절에 의탁하여 각종 허드렛일을 맡았고, 때로는 염불과 각종 법회의 의례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들 대부분이 절에서 밀려나 세속에서 집단을 이루며 사장으로 활동하였다. 조선초기에는 이들을 절의 낙성 경찬회(慶讚會)에 불러 음식을 나눠주기도 하였다(『세종실록』 30년 12월 5일).

(2) 활동

조선전기 사장들의 폐해가 자주 지적되었다. 세조 때 사장들이 원각사(圓覺寺)연화승(緣化僧)을 사칭하여 공문서와 도장을 가지고 각 고을을 돌아다녔다. 노비들에게 시주를 많이 하면 양인(良人)으로 면천해 준다는 등 사기 행각을 벌였다(『세조실록』 11년 8월 13일). 이들 사장 또는 거사(居士)들은 승려도 아니고 속인도 아닌데 생업이 없이 신역(身役)을 피해 무리지어 다니며 남녀가 섞여 거처하고 징과 북을 두드린다고 비난받았다(『예종실록』 1년 6월 29일).

사장의 폐해가 심해지자 국가에서는 이들을 검거하여 군역(軍役)에 충당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이 소문이 돌자 승려들까지 모두 피신하여 전라도 사찰이 거의 텅 빌 지경이었다. 결국 백성들의 소요가 일어날까 염려하여 중지한 일도 있었다.

이와 같이 사장의 폐단이 적지 않았지만 이들은 억불의 조선시대에서 나름대로의 순기능을 담당하였다. 마을과 가정을 지켜주던 절이 폐사되고, 또 있다 해도 출입이 금지되면서 백성들은 정신적 귀의처를 한순간에 잃었다. 그런데 절에 살던 이들이 사장을 이루어 마을 안으로 들어와 염불소를 짓고 아미타불 염불을 행하자[『성종실록」 2년 6월 8일 3번째기사] 많은 대중이 여기에 참여하였다. 이들은 염불뿐만 아니라 노래와 춤, 재담까지 곁들여 시주를 이끌어냈다. 조정에서는 민심을 현혹하는 폐단이라 걱정하였지만 백성들에게는 재미있는 구경거리이자 신앙 활동이었다. 조선 불교를 서민 불교라고 하는 배경에는 이처럼 사장의 신앙 공동체 활동도 포함된다.

변화

조선후기가 되면 사장은 불교와의 관련성이 점차 줄어든다. 이 시기에는 사장보다는 거사라는 명칭이 널리 사용되었다. 임진왜란 이후 남녀노소 할 것 없이 거사라 칭하고 북치고 노래하며 무리지어 다닌다거나(『선조실록』 35년 5월 5일), 남자는 거사, 여자는 사당(社堂)이라 하며 일을 하지 않고 걸식하는데, 천백의 무리가 거리에 줄을 잇고 산골짜기에 가득 찼다고 하였다(『선조실록』 40년 5월 4일), 국난을 겪으면서 피폐해진 현실에서 사장, 거사들은 유랑민과 다를 바 없었다. 이들 중 일부는 놀이패처럼 마을을 떠돌아다니는 사당패를 형성하였다. 대부분 불사(佛事)의 시주가 아니라 직접적으로 놀이와 유희에 대한 대가를 받기 위해 놀이꾼으로 변모하였다. 유교적 질서가 고착화되면서 더욱 쇠락해지는 불교 신앙에 생계를 기대할 수는 없었다. 그런데 이마저도 여의치 않은 거사들은 결국 도적으로 변하는 등(『정조실록』 10년 2월 22일) 18세기 말이 되면 불교 신앙 집단으로서의 특성을 대부분 상실하였다. 하지만 일부 사당은 여전히 불교와 관련된 시주 집단으로 그 명맥을 이어나갔다. 조선후기에 이르면 불사에 시주하는 사당(舍堂)이 종종 등장하기도 하는데, 이들에 의해 신앙 공동체의 성격이 계승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 전경욱, 「才僧 계통의 연희자」, 『민속학연구』11, 국립민속박물관, 2002.
  • 진나라, 「조선전기 社長의 성격과 기능-불교신앙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22, 한국사상사학회, 2004.

관계망

불교(佛敎) 표제어
불교개념

가유왕(迦維王) · 감로(甘露) · 견성성불(見性成佛) · 금강륜(金剛輪) · 금강수(金剛樹) · 금강지(金剛地) · 담무갈보살(曇無竭普薩) · 도솔천(兜率天) · 미타국(彌陁國) · 범천(梵天) · 복전(福田) · 사라쌍수(沙羅雙樹) · 사리분신(舍利分身) · 사장(社長) · 사중(四衆) · 석가(釋迦) · 수타미(須陀味) · 아승지(阿僧祗) · 억불(抑佛) · 우화(雨花) · 윤회설(輪廻說) · 제석(帝釋) · 좌선(坐禪) · 직지인심(直指人心) · 진언(眞言) · 참선(參禪) · 팔정도(八正道) · 해탈문(解脫門) · 화장(華藏)

불교공간

강경당(講經堂) · 계단(戒壇) · 내불당(內佛堂) · 내원당(內願堂) · 대장경판당(大藏經板堂) · 미륵당(彌勒堂) · 법연(法筵) · 봉선전(奉先殿) · 비보사찰(裨補寺刹) · 사리전(舍利殿) · 수륙사(水陸社) · 안일원(安逸院) · 어실각(御室閣) · 어필각(御筆閣) · 원당(願堂) · 원당촌(願堂村) · 인수궁(仁壽宮) · 재궁(齋宮) · 절수사찰(折受寺刹) · 정업원(淨業院) · 정업원구기(淨業院舊基) · 총림(叢林) · 판교원(板橋院) · 향상회관(向上會館)

불교문헌

경률론소(經律論疏) · 대선첩문(大選帖文) · 대장경(大藏經) · 시경도목(試經都目) · 참학입선첩(參學入選帖) · 패엽경(貝葉經)

불교물품

가사(袈裟) · 괘번(掛幡) · 괘불(掛佛) · 두루(兜樓) · 발우(鉢盂) · 번당(幡幢) · 범패(梵唄) · 법기(法器) · 보살봉(菩薩棒) · 부도(浮圖) · 불유(佛油) · 불자(拂子) · 불탱(佛幀) · 삼보인(三寶印) · 신당퇴미(神堂退米) · 요발(鐃鈸) · 의발(衣鉢) · 장삼(長衫) · 축원패(祝願牌) · 하등(河燈)

불교의식

경찬회(慶讚會) · 경행(經行) · 구병정근(救病精勤) · 금경법석(金經法席) · 기신재(忌晨齋) · 기양법석(祈禳法席) · 기우보공재(祈雨報供齋) · 나한재(羅漢齋) · 다비(茶毗) · 대상재(大祥齋) · 무차대회(無遮大會) · 문수법회(文殊法會) · 반승(飯僧) · 방생연(放生宴) · 백고좌법석(百高座法席) · 백재(百齋) · 법화법석(法華法席) · 북방흑룡기우제(北方黑龍祈雨祭) · 불공(佛供) · 불재(佛齋) · 사대연성법석(四大緣成法席) · 삼성재(三聖齋) · 소상재(小祥齋) · 소재법석(消災法席) · 수륙재(水陸齋) · 승재(僧齋) · 십이인연법석(十二因緣法席) · 안거작법(安居作法) · 안거회(安居會) · 약사정근(藥師精勤) · 연등회(燃燈會) · 연비(燃臂) · 연수도량(延壽道場) · 연종환원(年終還願) · 우란분재(盂蘭盆齋) · 장경도량(藏經道場) · 전경법석(轉經法席) · 점등(點燈) · 점안법회(點眼法會) · 정근기도(精勤祈禱) · 진언법석(眞言法席) · 초재(初齋) · 초혼(招魂) · 추천재(追薦齋) · 축수재(祝壽齋) · 칠칠재(七七齋) · 팔관회(八關會) · 하안거(夏安居) · 화엄법석(華嚴法席)

불교법제

거승위전(居僧位田) · 계율(戒律) · 교서관(校書館) · 교종도회소(敎宗都會所) · 금승절목(禁僧節目) · 내원당완호지법(內願堂完護之法) · 도첩제(度牒制) · 모연(募緣) · 법손노비(法孫奴婢) · 부녀상사금지(婦女上寺禁止) · 보살계(菩薩戒) · 사사노비(寺社奴婢) · 사사전(寺社田) · 사위전(寺位田) · 삼십육사(三十六寺) · 선과(禪科) · 선과첩(禪科帖) · 선시(選試) · 선종도회소(禪宗都會所) · 성중승인금제조(城中僧人禁制條) · 수륙전(水陸田) · 승록사(僧錄司) · 승역(僧役) · 승인추핵조(僧人推劾條) · 승인호패법(僧人號牌法) · 승직(僧職) · 시납전(施納田) · 염불향도(念佛香徒) · 의승방번전(義僧防番錢) · 정전(丁錢) · 향도(香徒)

종파

교종(敎宗) · 남산종(南山宗) · 도문종(道門宗) · 마하연(摩訶衍) · 백련교(白蓮敎) · 법사종(法事宗) · 선교양종(禪敎兩宗) · 선종(禪宗) · 소자종(疏字宗) · 시흥종(始興宗) · 신인종(神印宗) · 오교양종(五敎兩宗) · 자은종(慈恩宗) · 조계종(曹溪宗) · 중도종(中道宗) · 중신종(中神宗) · 천태종(天台宗) · 청련교(靑蓮敎) · 총남종(摠南宗) · 총지종(摠持宗) · 화엄종(華嚴宗)

사찰

가림사(嘉林寺) · 가지사(迦智寺) · 각림사(覺林寺) · 감로사(甘露寺) · 강서사(江西寺) · 개경사(開慶寺) · 개암사(開庵寺) · 개태사(開泰寺) · 건봉사(乾鳳寺) · 건성사(乾聖寺) · 견암사(見岩寺) · 경복사(景福寺) · 경천사(敬天寺) · 계룡사(鷄龍寺) · 계봉사(鷄鳳寺) · 공림사(公林寺) · 관음굴(觀音窟) · 관음사(觀音寺) · 광덕사(廣德寺) · 광명사(廣明寺) · 광암사(光巖寺) · 광흥사(廣興寺) · 국분사(國分寺) · 귀주사(歸州寺) · 금사사(金沙寺) · 금장사(金藏寺) · 기림사(祇林寺) · 길상사(吉祥寺) · 낙산사(洛山寺) · 내제석원(內帝釋院) · 능침사(陵寢寺) · 단속사(斷俗寺) · 대자암(大慈庵) · 덕천사(德泉寺) · 도갑사(道岬寺) · 도량사(道場寺) · 동학사(東鶴寺) · 동화사(桐華寺) · 만덕사(萬德寺) · 만연사(萬淵寺) · 만의사(萬義寺) · 명통사(明通寺) · 무량사(無量寺) · 무위사(無爲寺) · 문수사(文殊寺) · 미륵사(彌勒寺) · 백련사(白蓮寺) · 백암사(白巖寺) · 백운사(白雲寺) · 범굴사(梵窟寺) · 법주사(法住寺) · 법천사(法泉寺) · 법화사(法華寺) · 보광사(普光寺) · 보련사(寶蓮寺) · 보현사(普賢寺) · 복세암(福世菴) · 복천사(福泉寺) · 봉덕사(奉德寺) · 봉선사(奉先寺) · 봉원사(奉元寺) · 봉은사(奉恩寺) · 봉정사(鳳停寺) · 북신사(北神寺) · 사나사(舍那寺) · 삼화사(三和寺) · 상원사(上院寺) · 서봉사(瑞峰寺) · 석남사(石南寺) · 석왕사(釋王寺) · 선운사(禪雲寺) · 선원사(禪源寺) · 성불사(成佛寺) · 성주사(聖住寺) · 소요사(逍遙寺) · 송광사(松廣寺) · 송림사(松林寺) · 수종사(水鐘寺) · 순천사(順天寺) · 숭효사(崇孝寺) · 승가사(僧伽寺) · 신광사(新光寺) · 신륵사(神勒寺) · 신암사(神巖寺) · 신혈사(神穴寺) · 심원사(深源寺) · 쌍봉사(雙峰寺) · 쌍봉사(雙鳳寺) · 안국사(安國寺) · 안암사(安巖寺) · 안양사(安養寺) · 앙암사(仰庵寺) · 억정사(億正寺) · 연경사(衍慶寺) · 연굴사(演窟寺) · 연복사(演福寺) · 영국사(寧國寺) · 영명사(永明寺) · 영통사(靈通寺) · 오봉사(五峰寺) · 왕륜사(王輪寺) · 용문사(龍門寺) · 용주사(龍珠寺) · 용천사(龍泉寺) · 운부사(雲浮寺) · 원각사(圓覺寺) · 월광사(月光寺) · 월암사(月巖寺) · 월영사(月影寺) · 월정사(月精寺) · 유점사(楡岾寺) · 은해사(銀海寺) · 인각사(麟角寺) · 인왕사(仁王寺) · 자복사(資福寺) · 자운사(慈雲寺) · 자혜사(慈惠寺) · 장곡사(長谷寺) · 장안사(長安寺) · 장의사(藏義寺) · 적산사(積山寺) · 전등사(傳燈寺) · 정곡사(亭谷寺) · 정수사(淨水寺) · 정양사(正陽寺) · 정인사(正因寺) · 정토사(淨土寺) · 조포사(造泡寺) · 중흥사(重興寺) · 지천사(支天寺) · 진관사(津寬寺) · 창성사(彰聖寺) · 천왕사(天王寺) · 청계사(淸溪寺) · 청룡사(靑龍寺) · 태안사(胎安寺) · 토당사(土堂寺) · 통도사(通度寺) · 패엽사(貝葉寺) · 표훈사(表訓寺) · 학림사(鶴林寺) · 해인사(海印寺) · 향림사(香林寺) · 현성사(賢聖寺) · 화엄사(華嚴寺) · 화장사(華藏寺) · 회강사(會剛寺) · 회암사(檜巖寺) · 효의사(曉義寺) · 흥교사(興敎寺) · 흥국사(興國寺) · 흥덕사(興德寺) · 흥룡사(興龍寺) · 흥복사(興福寺) · 흥천사(興天寺)

승려(僧侶)

감역승(監役僧) · 강주승(講主僧) · 거사(居士) · 국사(國師) · 내원당감주(內願堂監主) · 노승(奴僧) · 대사(大師) · 대선(大選) · 대선사(大禪師) · 대신승(代身僧) · 대처승(帶妻僧) · 도승(度僧) · 도승통(都僧統) · 도총섭(都摠攝) · 매골승(埋骨僧) · 모화승(募化僧) · 무도첩승(無度牒僧) · 밀원(密員) · 방장(方丈) · 번승(番僧) · 법사(法師) · 보살계제자(菩薩戒弟子) · 부역승(赴役僧) · 북한승장(北漢僧將) · 분수승(焚修僧) · 비구니(比丘尼) · 사경승(寫經僧) · 사리(闍梨) · 사미(沙彌) · 사승(使僧) · 산성승(山城僧) · 산성총섭(山城總攝) · 선사(禪師) · 승장(僧匠) · 승통(僧統) · 안거승(安居僧) · 역자승(驛子僧) · 연화승(緣化僧) · 왕사(王師) · 용면(龍眠) · 원주승(院主僧) · 율사(律師) · 의승장(義僧將) · 입선(入選) · 작두승(作頭僧) · 작법승(作法僧) · 장교승(將校僧) · 주지승(住持僧) · 죽반승(粥飯僧) · 중덕(中德) · 증명법사(證明法師) · 지음승(持音僧) · 차비승(差備僧) · 참학승(參學僧) · 총섭(摠攝) · 출신승(出身僧) · 판교종사(判敎宗師) · 판선종사(判禪宗師) · 팔도도총섭(八道都摠攝) · 향화승(香火僧) · 호승(胡僧) · 화주승(化主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