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리분신(舍利分身)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사리분신 |
한글표제 | 사리분신 |
한자표제 | 舍利分身 |
관련어 | 사리(舍利), 진신사리(眞身舍利), 불탑(佛塔), 세조(世祖), 승사리(僧舍利), 감로(甘露), 우화(雨花), 상운(祥雲), 이향(異香), 서기(瑞氣) |
분야 | 문화/종교/불교 |
유형 | 개념용어 |
집필자 | 윤기엽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사리분신(舍利分身)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조실록』 10년 5월 2일, 『세조실록』 12년 윤3월 28일 |
사리가 여러 개로 불어나는 현상.
개설
부처나 수행이 높은 스님이 열반에 든 뒤 화장을 하면 몸에서 구슬 모양의 단단한 유골이 나오는데, 이것을 사리(舍利)라고 일컫는다. 불교에서는 사리가 나오면 탑이나 부도를 세워 봉안하고 그것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다. 사리분신(舍利分身)이란 이러한 사리가 여러 개로 나뉘는 신비한 현상으로, 조선 세조 때의 기록에서 자주 등장한다. 이것은 조선 왕조의 대표적인 호불(好佛) 군주인 세조의 사리신앙이 구체적인 기록으로 표현된 예라고 볼 수 있다.
연원
‘사리’는 범어 ‘사리라(舍利羅, Śarīra)’의 음역으로 신골(身骨), 유골(遺骨), 신(身), 체(體) 등으로 번역한다. 사리는 시신을 매장하지 않고 화장하는 풍습을 지닌 인도에서 유래하였다.
사리는 법신사리(法身舍利)와 진신사리(眞身舍利)로 나뉘는데, 법신사리는 일체의 불교 경전 자체를 말하며, 진신사리는 부처의 유골을 일컫는다. 진신사리는 다시 다비(茶毘, [火葬])하기 전의 전신사리(全身舍利)와 다비 후의 쇄신사리(碎身舍利)로 나눈다. 전신사리란 매장한 유체(遺體)를 말하는 것으로 전신이 그대로 사리이다. 몸 그대로의 미라와 뼈를 섞은 흙상이 이에 해당한다. 쇄신사리란 다비한 유골을 말하는 것으로 다투([馱都], dhātu)라고도 하며, 이 쇄신사리를 남긴 인물이 바로 석가모니불이다. 제자들이 석가모니를 다비한 후 쇄골하여 나온 작은 구슬 모양의 부서지지 않는 골편(骨片)도 사리라고 하였다.
석가모니가 열반하고 시신이 다비된 뒤 8곡(斛) 4두(斗)의 많은 사리가 출현하자, 그 사리는 8국의 왕에게 공평히 분배되어 각기 그 나라에서 사리를 봉납하는 스투파([佛塔], stūpa), 즉 불탑을 건립했다. 이것이 불사리신앙의 출발이며 탑의 시작인 근본팔탑(根本八塔)이다. 사리는 불상 출현 이전에는 유일한 숭배 대상이었다. 불교에서는 보통 석존의 유골만을 진신사리라고 하였지만, 시간이 흐르며 점차 사리의 개념이 확대되어 고승의 다비에서 나오는 유골도 승사리(僧舍利)라고 하여 사리에 포함하게 되었다. 후세에 와서는 화장을 한 뒤에 나온 작은 구슬 모양으로 된 것만을 사리하고 하게 되었다. 불사리는 법신사리와 함께 불탑에 봉안하고, 승사리는 부도탑(浮圖塔)에 안치하였다.
내용 및 특징
사리의 분신(分身)이란 사리가 한개에서 두세개 혹은 그 이상의 수로 불어나는 것을 말한다. 법회, 공양, 기도 등에 대한 감응으로 하나의 사리가 제 힘으로 쪼개져서 그 수효가 늘어나는 것이다. 한국에서는 사리분신의 기록이 조선 세조대에 많이 나오고 있다. 세조 때 원각사상(圓覺思想)에 의거해 중건된 원각사(圓覺寺)의 중건 기간 중에 감로(甘露), 우화(雨花), 상운(祥雲), 이향(異香), 서기(瑞氣) 등과 함께 사리분신이 있었다는 기록이 보인다(『세조실록』 10년 5월 2일). 이는 모두 상서로운 징조를 나타내는 현상이었다. 세조 때는 원각사 외에도 금강산 장안사(長安寺), 오대산 상원사(上院寺) 등에서 사리분신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세조실록』 12년 윤3월 28일).
참고문헌
- 동국불교미술인회, 『사찰에서 만나는 불교미술』, 대한불교진흥원출판부, 2005.
- 홍법원 편집부, 『불교학대사전』, 홍법원, 199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