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정근(藥師精勤)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약사여래의 가피력으로 병을 고치기 위해 그 명호를 부지런히 염송하는 의식.

개설

약사정근(藥師精勤)은 질병이나 노환 등으로 고통 받을 때 대의왕(大醫王) 약사여래를 청하여 공양을 올리고 그 명호를 지극한 마음으로 염송함으로써 영험을 얻으려는 의식이다. 약사여래는 12대원(大願)을 세우고, 모든 중생의 질병은 물론이고 무명(無明)의 고질까지도 치유하겠다고 서원한 부처이다. 조선초기에는 100명의 승려를 동원하여 법회를 열거나 21명의 경사(經師)를 모아 경전을 독송하는 형태로 약사정근을 설행하였다. 이때 부처에게 공양을 올리고 승려들에게 반승을 베풀었는데, 왕이 친히 참석하는 경우도 많았다.

연원 및 변천

고대 사회에서 질병을 치료하는 것은 무교(巫敎)의 주된 역할이었다. 불교가 유입된 뒤에는 승려들이 이 역할을 담당하기 시작했는데, 승려들의 구병(救病) 영험은 불교가 우리나라에 정착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신라에 불교를 전한 승려 아도(阿道)는 신라성국공주의 병을 고쳐 주고 그 공로로 불교를 전할 수 있게 되었고, 신라하대에 유행한 밀교는 구병과 도액(度厄)에 적극적이었다.

『삼국유사』 「신주」편에는 밀교 승려 밀본(密本)이 약사여래의 힘을 빌려 선덕여왕의 병을 고쳤다는 내용이 실려 있다. 그에 따르면 선덕여왕이 병을 얻어 오랫동안 낫지 않자 밀본을 궁궐로 초청하였다. 밀본이 왕 옆에 앉아 『약사여래본원경(藥師如來本願經)』을 독경하자 육환장이 침실로 날아들어 늙은 여우 한 마리를 뜰 아래로 내던졌다. 그제야 선덕여왕의 병이 씻은 듯 나았고, 밀본의 이마 위에 신비스런 빛이 비치니 보는 사람들이 모두 놀랐다고 한다.

고려시대에 숱하게 개설된 소재도량이나 반야도량, 마리지천도량, 수륙회, 약사도량, 연생경도량 등은 모두 질병 퇴치를 목적으로 하였다.

억불숭유를 표방한 조선시대에도 왕실에서는 다양한 구병 불사가 설행되었다. 그 가운데 약사여래의 명호를 염송하는 약사정근은 5번 설행된 기록이 보인다. 태종은 1408년(태종 8)에 태조의 구병을 위해 승려 100명을 모아 덕수궁에서 약사도량을, 덕수궁 북쪽 정자에서는 연수도량을, 덕방사에서는 수륙재를 열었다(『태종실록』 8년 1월 28일). 또 1413년(태종 13)에는 원경왕후를 위해 경사(經師) 21명을 동원하여 본궁(本宮)에서 약사정근을 베풀고, 승려 100명을 경회루에 모아 불경을 읽으며 기도하게 하였다. 이때 세자에게 명하여 향(香)을 피우게 하였으며, 친히 임석(臨席)하여 연비(燃臂)를 하기도 하였다. 병이 조금 낫자 기뻐하여 회암사(檜巖寺)에 전지(田地) 100결(結)과 미두(米豆) 200석을 내려 주었다(『태종실록』 13년 5월 6일).

세종은 1420년(세종 2)에 모후 원경왕후를 위해 친히 개경사로 거둥하여 약사정근을 베풀고, 부처에게 공양하며 승려들에게 반승을 베풀었다(『세종실록』 2년 6월 6일). 1422년(세종 4)에는 상왕 태종을 위해 흥천사와 승가사에서 약사정근을, 개경사에서는 관음정근을 베풀었으며(『세종실록』 4년 5월 4일), 흥천사에서 약사정근을 설행하고 그와 더불어 소격전에서 초제를 올려 부왕의 구병을 빌었다. 이처럼 조선초에는 국가 차원에서 다양한 구병 불사가 시행되었으나, 세종대 이후에는 국행 약사정근은 설행되지 않았다.

내용 및 절차

약사정근은 『약사여래본원경』에 의거하여 시행한다. 『약사여래본원경』에 따르면, 약사여래는 동방만월세계에 있는 부처로 12가지 원을 구족하였으며, 좌우에는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이 두루 빛을 비춰 재앙을 소멸해 주는 공덕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일심(一心)으로 그 명호를 염송하며 기도하면 소원을 성취하게 된다고 한다.

『약사여래본원경』은 615년에 중국수나라의 달마급다(達磨笈多)가 한역하였다. 송나라의 혜간(慧簡)이 번역한 『약사유리광경(藥師瑠璃光經)』, 당나라의 현장(玄奘)이 번역한 『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과 의정(義淨)이 번역한 『약사유리광칠불본원공덕경』 등의 이본이 있다.

약사정근을 행할 때는 먼저 약사여래를 청해 공양을 올리고 정근을 한다. 약사여래를 청하는 의식으로는 작법절차 또는 제반문의 절차에 따라 차례로 행해진다. 먼저 아뢰는 문장을 염송하고, 향연게송으로 삼보의 강림을 청한다. 『천수경』을 한 편 외우며 깨끗한 물을 도량에 뿌린다. 정토결계진언(淨土結界眞言), 쇄향수진언(灑香水眞言), 정지진언(淨地眞言), 정삼업진언, 정법계진언, 개단진언, 건단진언으로 도량의 결계를 깨끗하게 한다. 이어 동령진언(動鈴眞言), 보소청진언(普召請眞言)으로 청하는 진언을 염송한 다음 제불보살통청에 의거하여 약사여래불을 청한다.

오늘날에도 약사정근의 전통은 계속 이어지고 있는데, 대부분의 사찰에서는 약사재일(藥師齋日)인 매달 음력 8일에 약사정근을 행한다.

참고문헌

  • 『삼국유사(三國遺事)』
  • 『작법절차(作法節次)』
  • 『제반문(諸般文)』
  • 『청문(請文)』
  • 『약사여래본원경(藥師如來本願經)』,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脩大藏經) 14.
  • 김용조, 「조선전기의 국행기양불사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