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사(廣明寺)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세종대 국가에서 공인한 36사(寺) 가운데 하나로, 경기도 개성시에 위치한 절.

개설

광명사(廣明寺)는 경기도 개성시 만월동에 위치한 사찰이다. 고려 태조가 사저를 희사하여 창건하였고 담선법회를 비롯한 각종 법회가 열리는 등 고려시대 내내 높은 위상을 가졌다. 조선전기에도 세종대 선교양종의 36사 중 교종 18사에 포함되는 등 사격이 유지되었다.

연원

고려 태조가 사저를 희사하여 922년에 창건하였다. 1213년(고려 강종 2) 왕사인 지겸(至謙)이 주석하였고 담선(談禪)법회가 열리기도 했다. 담선법회는 원래 보제사(普濟寺)에서 3년에 한 번 열리는 것이 관행이었는데 최씨 무인집권기에 광명사와 개성의 서보통사(西普通寺)에서도 개최되었다. 이규보(李奎報)의 「광명사선회설재청설선문(廣明寺禪會設齋請說禪文)」이 전하며, 충렬왕대에는 왕이 절에 행차하여 우란분재(盂蘭盆齋)나 용화회(龍華會) 등의 법회가 열리기도 했다. 공민왕도 몇 차례나 행차하였고, 1370년에는 나옹(懶翁) 혜근(惠勤)에게 공부선(工夫選)을 시행하게 하였다.

변천

조선 개국 직후 태조는 양주회암사(檜巖寺)에 역병이 돌자 왕사인 무학자초(無學自超)를 광명사에 머물게 하였고(『태조실록』 2년 7월 19일), 왕이 직접 행차하거나 대규모의 반승(飯僧) 행사를 거행하였다. 정종대에는 태조가 직접 광명사에서 신덕왕후 강씨의 기일재를 베풀기도 했다(『정종실록』 14년 2월 6일). 태종대에는 모후인 신의왕후 한씨의 진영을 광명사로 옮겨 봉안하였고(『태종실록』 1년 5월 20일), 곡식을 내려주는 등 큰 관심을 보였다.

1424년(세종 6) 세종은 기존의 7개 종단을 선교양종으로 나누고 각각 18개씩 36개 사찰만 공인하였는데, 이때 광명사는 교종 18사 중 하나로 지정되었다. 광명사는 원래 가지고 있던 토지 100결에 100결이 추가로 지급되어 총 200결을 보유하게 되었고 거주 승려는 100명으로 정해졌다. 절의 규모가 거의 개성의 감로사(甘露寺)와 동일한 수준이었다(『세종실록』 6년 4월 5일). 다음 해에는 명의 사신이 개성에 머물면서 광명사를 구경하였고 태조의 진영을 모신 목청전(穆淸殿)에 참배하기도 하였다(『세종실록』 7년 윤7월 14일). 『세종실록』「지리지」개성 조항에서는 광명사가 연경궁(延慶宮) 서쪽에 있으며 고려 태조가 이 절을 창건하게 된 이유를 전설을 들어 설명하고 있다.

16세기 중반인 명종대에 이르면 광명사는 연복사(演福寺), 왕륜사(王輪寺) 등 개성 내의 오랜 명찰들과 마찬가지로 터만 남아 황폐해진 상태였다(『명종실록』 6년 2월 4일). 이를 통해 볼 때 고려와 관련이 깊던 광명사는 점차 쇠퇴하여 16세기 전반 이전에 폐사 상태가 되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 『동문선(東文選)』
  • 권상로, 『한국사찰전서』,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 사찰문화연구원, 『북한사찰연구』, 한국불교종단협의회, 1993.
  • 이능화, 『조선불교통사』, 신문관, 1918.
  • 한우근, 『유교정치와 불교-여말선초 대불교시책』, 일조각, 1993.
  • 탁효정, 「조선시대 왕실원당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2.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