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회설(輪廻說)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윤회설 |
한글표제 | 윤회설 |
한자표제 | 輪廻說 |
관련어 | 생사유전(生死流轉), 오취륜(五趣輪), 육도윤회(六道輪廻), 재생(再生) |
분야 | 문화/종교/불교 |
유형 | 개념용어 |
집필자 | 이종수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윤회설(輪廻說)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성종실록』 7년 8월 24일 |
깨달음을 얻지 못한 중생이 업력(業力)에 의해 내생(來生)에 새로운 생명으로 태어난다는 설.
개설
근대 이전 동아시아에서는 윤회설(輪廻說)이 불교 고유의 사상이라고 믿었으나, 사실 윤회설은 고대 인도에서 비롯되었다. 고대 인도인들은 모든 생명은 현생의 업력에 의해 내생에 새로운 생명을 받는다고 믿었는데, 이러한 윤회설은 이후 인도에서 발생한 모든 종교와 철학의 밑바탕이 되었다. 불교도 예외가 아니어서, 많은 경전에서 윤회의 과보(果報)에 대해 설하고 있다. 다만 불교의 기본 교설은 무아설(無我說)이므로, 윤회의 주체를 인정하는 힌두교나 자이나교와는 차이가 있다. 불교에서는 윤회의 주체를 인정하지 않으며, 업력에 의해 받은 과보의 실존을 깨달으면 윤회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한다.
내용 및 특징
윤회(輪回)는 산스크리트어 ‘삼사라(saṃsāra)’를 번역한 말이다. 삼사라는 ‘함께’라는 의미를 지닌 ‘삼(saṃ)’과 ‘달리다, 빨리 움직이다, 흐르다, 건너다’라는 뜻을 지닌 ‘사라(sāra)’의 합성어이다. 따라서 삼사라는 ‘함께 흐르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는데, 중생이 미망의 세계에 태어나 죽고 다시 태어나고 하는 것이 마치 수레바퀴가 굴러가는 것과 같다는 의미에서 윤회라고 번역하였다.
윤회란 육체가 없어진 다음에도 불멸의 영혼은 존속하여 인간계를 포함한 몇몇 세계에 태어나고 다시 죽는다는 말이다. 어떤 세계에 태어나는가 하는 문제는 생전에 행한 행위의 선악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현재의 모습은 전생의 업이 빚은 결과이므로 지금은 고칠 수 없다. 그러나 현생에서 노력하여 착한 업을 쌓으면 내생에서는 행복을 누릴 수 있다. 선한 행위는 그에 합당한 공덕을 낳고, 공덕은 마치 저축과 같이 하나하나 축적되어 사후의 운명을 결정하는 자료가 된다. 결국 내생의 안락을 바란다면 현생에서 많은 공덕을 쌓아야 하는 것이다.
고대 인도에서는 모든 생명은 윤회하며, 현생에서 지은 업(業)에 따라 내생이 결정된다고 여겼다. 모든 생명은 한 세계에서 정해진 기간이 지나면 또 다른 세계에 그가 쌓은 업을 그대로 가지고 오게 된다. 이 업력(業力)이 새로운 생의 조건을 결정짓는다. 즉 영혼이 다시 태어날 세계와 종족을 비롯해, 사회적 계급, 성(姓), 영혼이 취하게 될 모습 등은 모두 업력에 의해 결정된다. 이 업력이 끝나면 윤회 또한 끝이 나고 해탈을 얻게 된다.
윤회설은 인도에서 발생한 거의 모든 종교와 철학의 밑바탕이 되었다. 다만 각 종교와 철학에서 내세우는 윤회 이론 사이에는 얼마간의 차이가 있다. 윤회설을 각자의 주된 사상이나 교리의 근본 원칙에 맞추어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힌두교와 자이나교는 윤회하는 주체로서 ‘아트만(ātman)’이나 ‘지바(jīva)’를 인정한다. 아트만은 ‘아(我)’로 번역하고, 지바는 ‘영혼’으로 번역한다.
불교에서는 윤회설을 수용하여 전생과 내생을 설명한다. 어떤 바라문이 중생이 모두 사람으로 태어났음에도 지위가 높고 낮으며 얼굴이 예쁘고 추하며 재물이 많고 적은 등의 차이가 생긴 이유가 무엇인지 물었을 때, 석가모니는 전생에 지은 업 때문이라 대답하였다. 그런데 불교는 고정적이고 실체적인 ‘아’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무아설에 바탕을 두고 있으므로, 힌두교나 자이나교에서 말하는 윤회의 주체를 인정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업이 윤회하는 주체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는 일, 즉 무아설과 윤회설의 모순을 해결하는 일이 커다란 과제로 대두하였다.
석가모니는 사람이 죽은 뒤에 어떤 존재가 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 답을 유보하였다. 이를 ‘무기(無記)’라 하는데, 형이상학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확실한 대답을 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그 같은 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시간 낭비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석가모니는 대답 대신, 현재의 조건 속에서 열심히 수행하며 선한 업을 쌓으라고 이야기하였다. 즉 "세계는 업에 의해 성립하고 사람들도 업에 의해 생존하며, 생존하는 것은 업에 의해 속박된다. 그러므로 현명한 사람은 있는 그대로를 관찰하기 때문에 인간과 인간이 상호 연관되어 있는 연기(緣起)를 보며 그 행위의 과보를 본다."고 설명하였다.
석가모니의 이러한 태도는 불교의 실천적이고도 실존적인 성격을 잘 나타내 준다. 다시 말해서, 불교 윤회관은 전생의 업에 의해 현생에 이러저러한 상황에 처해 있다는 식의 물리적인 윤회관이 아니다. 지금 여기에 있는 자신을 실존적으로 바라보면, 자신이 무명에 덮여 있으며 번뇌에 싸여 고통을 당하고 있는 실체라는 사실을 깨닫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이다. 자신의 실존이 어떤 신이나 악마 때문이 아니라, 스스로 지은 업 때문이라는 것을 받아들여야만 하는 것이다. 결국 현재의 자신은 전생의 자기 행위가 낳은 결과라는 사실을 받아들이지 않을 수 없게 되므로, 여기서 인간은 ‘업의 상속자’로서의 자기를 보게 된다. 따라서 불교의 윤회설은 행위의 중요성에 비중을 둔 업관(業觀)이자, 실존적으로 승화된 윤회설이라 할 수 있다.
불교가 중국에 전래된 이래 사람들은 윤회설이 불교 고유의 사상이라고 믿었다. 또 윤회설은 생소한 사상이었으므로 불교의 윤회설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논쟁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특히 윤회의 주체인 ‘신(神)’이 멸하는지 여부에 대한 논쟁, 즉 신멸불멸(神滅不滅) 논쟁이 일어났는데, 초기에는 출가 수행자조차 윤회설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윤회의 주체인 신이 불멸한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조선시대 성리학자들은 윤회설이 어리석은 백성을 현혹하는 사설(邪說)이라며 강하게 비판하였다. 1476년(성종 7)에 예문관 부제학손비장 등은 상소를 올려, "석씨(釋氏)의 무리들이 그 간교함을 꾸며서 인연·인과응보의 설(說)을 백성들을 현혹하고 세상을 어지럽히는 도구도 삼고 있으니, 중하(中下)의 수준은 윤회설에 얽매이고, 용렬하고 어리석은 세속에서는 화복(禍福)을 두려워하여 미혹되어 헤어나지 못하므로, 세상에 고질(痼疾)이 되고 있다."며 불교를 배척할 것을 청하였다(『성종실록』 7년 8월 24일).
참고문헌
- 『중아함경(中阿含經)』44,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脩大藏經) 1.
- 계환, 『홍명집』, 동국역경원, 2008.
- 윤호진, 『무아윤회문제의 연구』, 민족사, 1992.
- 정승석, 『윤회의 자아와 무아』, 장경각, 1999.
- 中村元·奈良康明·佐藤良純 [共]著, 김지견 역, 『불타의 세계』, 시공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