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찬회(慶讚會)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경찬회 |
한글표제 | 경찬회 |
한자표제 | 慶讚會 |
동의어 | 경찬법석(慶讚法席), 경찬법회(慶讚法會), 낙성법회(落成法會), 낙성회(落成會) |
관련어 | 자씨전(慈氏殿), 내불당(內佛堂), 정업원(淨業院), 법연(法筵) |
분야 | 문화/종교/불교 |
유형 | 의식·행사 |
지역 | 전국 |
시대 | 고려, 조선 |
집필자 | 탁현규 |
시행시기 | 고려~조선 |
시행기관 | 왕실 |
시행장소 | 사찰, 내불당, 정업원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경찬회(慶讚會)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종실록』 17년 5월 20일, 『세종실록』 16년 4월 10일, 『세종실록』 22년 7월 3일, 『세종실록』 30년 11월 21일, 『세종실록』 30년 11월 25일, 『세종실록』 31년 1월 18일, 『세조실록』 11년 4월 7일, 『성종실록』 17년 12월 11일 |
사찰의 불상이나 불탑 등을 조성하거나 불경 간행을 마치고 이를 기념하기 위하여 여는 불교 의식.
개설
경찬회(慶讚會)는 불상을 조성하거나 사찰의 탑이나 전각(殿閣) 등의 건축을 마쳤을 때, 또는 경전의 간행이 끝났을 때 그것을 기념하여 행하는 의식이다. 경찬회에 대한 기록이 처음으로 나오는 것은 고려시대부터이다. 조선전기인 1448년(세종 30) 세종이 내불당에서 연 경찬회 기록이 상세하게 남아 있어, 당시 법회의 규모 및 상황 등을 파악해 볼 수 있다. 낙성법회(落成法會), 경찬도량(慶讚道場), 경찬법석(慶讚法席), 경찬법회(慶讚法會)라 칭하기도 한다.
연원 및 변천
단군시대부터 고려말까지의 역사를 기록한 『동국통감』에 1070년(고려 문종 24) 흥왕사(興王寺)의 자씨전(慈氏殿)이 완성되어 왕이 가서 이를 축하하는 경성대회(慶成大會)를 베풀고 하룻밤을 자고 왔다는 기록이 있는데, 경찬회에 대한 기록 중 가장 오래된 것이다. 법회를 ‘대회(大會)’로 표현하고 대부분 1~4일 동안 진행되었다는 기록을 보면 대규모의 법회였던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고려사』에는 1087년(고려 선종 4)에 황금탑(黃金塔)을 조성한 후, 1097년(고려 숙종 2) 국청사(國淸寺)가 완공된 후 경찬회를 열었고, 1250년(고려 고종 37) 8월 고종이, 1285년(고려 충렬왕 11) 11월과 1289년 10월 충숙왕이 법회를 열었다는 기록이 보인다. 이를 통해 고려말기까지 경찬회가 지속적으로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절차 및 내용
조선전기에도 경찬회의 전통이 이어지는데 태종 때 원주 치악산에 있는 각림사 승려들이 절을 중건하고 경찬회를 열었다는 기록과(『세종실록』 17년 5월 20일), 1434년(세종 16) 양주 회암사에서 절을 중수하고 승려들이 경찬회를 열었다는 기록이 있다(『세종실록』 16년 4월 10일).
1440년(세종 22) 흥천사 사리각에서 경찬회를 열었는데, 사람들이 많이 모여 많은 재물을 허비한다는 이유로 좌정언(左正言)박적선(朴積善)이 경찬회를 그만둘 것을 아뢰었으나 왕이 허락하지 않았다(『세종실록』 22년 7월 3일). 세종은 2년 후인 1442년(세종 24) 3월 24일에도 흥천사에서 사리탑을 중창(重創)하고 5일 동안 경찬회를 베풀기도 하였다.
1447년(세종 29) 수양대군이 어머니 소헌왕후를 위해 양평 용문사에 보전(寶殿)을 짓고, 불상 2구와 보살상 8구를 봉안한 뒤 다음 해에 경찬회를 열고, 용문사를 죽은 자의 명복을 비는 사찰인 원찰(願刹)로 삼았다.
세종은 1448년(세종 30)에 내불당이 완공되자 성대한 규모로 경찬회를 열었다. 이때 불당 밖의 건천(乾川)에서 음식을 나누어 주었는데 700~800명 되는 사람들이 모여 소비한 쌀이 2,570여 석에 달했다. 또한 경찬회를 위해 새로 곡을 지어 관현(管絃)에 올리고, 악기를 만들어서 공인(工人) 50명과 무동(舞童) 10명으로 부처에게 음성공양(音聲供養)을 하도록 하였는데, 종(鍾)·경(磬)·범패(梵唄)·사(絲)·죽(竹)으로 이루어진 법회 소리가 사찰 밖에까지 퍼졌다고 전한다. 경찬회가 끝나고는 수양대군이 경찬회의 모습을 그림으로 그리고 계문(契文)을 지어, 모임에 참여한 사람의 이름을 써서 축(軸)을 만들어 나누어 주었다(『세종실록』 30년 11월 21일) (『세종실록』 30년 11월 25일). 이듬해 1월에도 내불당에서 4일 동안 경찬회를 열었다(『세종실록』 31년 1월 18일).
1465년(세조 11) 원각사(圓覺寺)가 낙성되자 세조는 성대한 규모로 경찬회를 열었다. 경찬회의 법회 의식에 동참한 승려의 수만 128명에 달했고, 2만여 명의 승려가 경찬회에 참석했다(『세조실록』 11년 4월 7일). 1486년(성종 17)에 비구니들의 승방인 정업원(淨業院) 중수 후에도 경찬회가 열렸는데, 이를 두고 사헌부 대사헌박건(朴楗) 등이 "부녀자들이 탄 가마가 길에 연이어 있고 흉년임에도 시주를 많이 해서 재물을 헛되이 소비한다."는 내용의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성종실록』 17년 12월 11일).
이처럼 조선전기에는 왕실과 관련된 사찰의 중창 공사가 끝날 때마다 왕실 주도의 경찬회가 열리는 것이 관례였다. 하지만 1486년의 기록을 끝으로 실록에서는 더 이상 경찬회에 관한 기사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로 볼 때 조선중기 이후에는 왕실에서 주도하는 대규모의 경찬회는 더 이상 열리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사찰에서의 경찬회 전통은 조선후기까지 계속 이어졌으며, 오늘날까지도 낙성회(落成會), 경찬법회 등의 이름으로 그 명맥이 이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동국통감(東國通鑑)』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