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사(法師)
sillokwiki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법사 |
한글표제 | 법사 |
한자표제 | 法師 |
관련어 | 삼장법사(三藏法師), 불교(佛敎), 무학(無學) |
분야 | 문화/종교/불교 |
유형 | 개념용어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강호선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법사(法師)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인조실록』 7년 윤4월 27일, 『정조실록』 16년 윤4월 24일 |
수행과 전법에 뛰어난 업적을 남긴 승려라는 의미로, 승려를 높여 이르던 말.
개설
법사(法師)는 산스크리트어 ‘Dharmācārya’의 뜻을 한자로 옮긴 것이다. 불법에 밝고 경전 해석을 잘하며, 수행과 전법(傳法)에 뛰어난 업적을 남긴 승려를 가리키는데, 중국에서는 특히 인도와 서역에서 불경을 들여와 한역(漢譯)하는 데 공헌한 승려를 삼장(三藏) 법사(法師)라고 불렀다. 조선시대에는 고승에 대한 일반적인 존칭으로 사용되었다.
내용 및 특징
조선시대에 법사라는 용어는 승려의 업적을 기려 하사하는 칭호가 아니라 고승 일반에 대한 존칭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1629년(인조 7)에 왜사(倭使)로 조선에 들어온 승려 현방(玄方)은 조선에 온 이유를, 법사를 만나 불법을 배우고 읽히기 위해서라고 하였다(『인조실록』 7년 윤4월 27일). 이때의 법사는 불교의 가르침에 밝은 고승을 가리키는 보통명사로 쓰였다. 휴정(休靜)의 『청허집(淸虛集)』이나 선수(善修)의 『부휴집(浮休集)』을 비롯한 조선후기 승려의 여러 문집에서는 승려를 높여 부르는 말로 널리 쓰였다. 정조 연간에 석왕사(釋王寺)를 무학(無學) 대사를 봉향하는 곳으로 사액하면서 ‘개종입교 보조법안 광제공덕 익명흥운 대법사(開宗立敎 普照法眼 廣濟功德 翊命興運大法師)’라는 호를 내렸는데(『정조실록』 16년 윤4월 24일), 여기에서도 법사는 무학에 대한 일반적인 존칭으로 사용되었다.
참고문헌
- 杜繼文·黃明信 編, 『佛敎小辭典』, 上海辭書出版社, 2001.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