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일원(安逸院)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8년 1월 30일 (화) 14:24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왕실의 비빈이나 궁녀들이 선왕의 사후에 머무르던 비구니원.

개설

안일원(安逸院)은 원래 고려시대 때 개경에 있던 왕실 비구니 사찰이었다. 이후 조선시대에도 창덕궁 인근에 안일원이라는 사찰이 운영되었는데, 정업원(淨業院)과 함께 왕실 비빈들의 기도처로 역할하였다. 조선초기의 『조선왕조실록』 기록에서는 정업원과 안일원을 각각 다른 사찰로 일컫고 있으며, 중기 이후에는 정업원의 이칭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내용 및 특징

안일원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고려사』의 "1383년(고려 우왕 9) 우왕이 안일원으로 갔는데 그곳은 비구니가 사는 절이었다."는 기사이다. 비구니절이라는 설명밖에 없어 사찰의 구체적인 성격은 알 수 없지만, 왕이 행차한 점으로 미루어 볼 때 왕실과 긴밀한 관련이 있는 절이라는 사실만은 확인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단종대에 처음으로 안일원에 관한 기사가 등장하는데, 1455년(단종 3)에 윤사로가 세조에게, 금성대군이 안일원 주지의 족친인 안조술(安祖述)에게 말을 주었다는 내용을 아뢰었다(『단종실록』 3년 5월 10일). 또 1499년(연산군 5)에는 왕이 대궐 뒤로 사람이 왕래하는 것을 금하라는 조치를 내리면서 광지문의 군대 초소를 안일원 북쪽으로 옮기라고 명을 내리기도 했다(『연산군일기』 5년 2월 26일). 이 기사들을 통해 조선초부터 안일원이라는 사찰이 도성 내에 존재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 1517년(중종 12) 대사헌최숙생이 중종에게 아뢴 내용 가운데 "여승이라는 것은 가장 상서롭지 못한 것인데 아직까지 안일원과 자수궁이 존재하고 있으니 그로 인한 화가 지금 어찌 없겠습니까. 근래에 여승의 집을 헐고 환속시켰으나 그 뿌리가 남아 있지 않겠습니까."(『중종실록』 12년 8월 20일)라고 말하는 내용이 등장한다. 최숙생은 정업원을 철폐시키는 데 앞장선 인물로, 정업원이 폐지된 이후에도 여전히 도성 내에 왕실 비구니원이 존재하고 있음을 중종에게 지적한 것이다.

이처럼 조선전기 안일원은 정업원과 함께 왕실 비구니원으로 기능하던 사찰이었다.

조정 신료들의 항의가 제기된 이후, 안일원 또한 정업원과 마찬가지로 철폐된 것으로 보인다. 1524년(중종 19) 5월 8일 안일원의 재목과 기와를 사람들이 주워 가져갔다는(『중종실록』 19년 5월 8일) 기사를 통해 1524년에 이미 안일원이 혁파된 사실을 알 수 있다.

안일원은 정업원과 종종 혼용되었다. 1546년(명종 1) 7월 26일 기사에는 "전날의 정업원 곧 안일원으로, 전날에 여승들이 거처하다가 지금은 폐지되었다."라고 하고 있어 안일원이 정업원의 다른 명칭임을 알 수 있다. 또 명종 즉위 후 정업원을 새로 수리하려는 왕실의 결정에 대해 사간원이 그 부당함을 간하는 중에 "정업원은 세속에서 말하는 안일원으로 일찍이 비구니들과 삿된 무리의 소굴이 되었다가, 선왕대에 이르러 그 무리를 축출하고 그 건물을 비워 그대로 폐기된 지 40년에 이르렀다."는 내용이 있는데, 이를 통해 안일원이 세속에서 정업원을 일컫는 용어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명종실록』 1년 7월 29일).

이처럼 안일원과 정업원이 혼동되어 불린 것은 두 사찰이 모두 왕실 비구니원이었던 데다 창덕궁 인근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안일원과 정업원은 고려대부터 왕실 여성들이 출가하는 사찰이었기 때문에 두 절이 종종 동일 사찰로 혼동된 것이다.

중종대에 정업원과 안일원이 철폐된 이후 정업원은 명종초 문정왕후에 의해 인수궁 부속 불당으로 중창된 반면 안일원은 재건되지 않았다. 문정왕후에 의해 복설된 정업원 또한 임진왜란 당시 불에 타 사라지고 말았다.

하지만 임진왜란 이후에도 정업원과 안일원 소속 비구니들은 여전히 창덕궁 인근에 초막을 짓고 살면서 정업원과 안일원 비구니임을 자처했다. 1607년(선조 40) 5월 4일에 사헌부에서는 이교를 엄금할 것 등을 간하면서 "정업원·안일원 등의 옛터는 전일 선왕(先王)의 후궁이 거주하던 별처(別處)로 궁궐에서 아주 가까운 곳인데 지금 여승(女僧)이라 불리우는 자들이 많이 들어가 집을 짓고 감히 전철을 따르고 있다."며 이를 엄히 다스려 바로잡으라고 요청하였다. 이로 볼 때 안일원을 비롯한 왕실 비구니원의 여승들이 계속 도성 내에 비구니원을 운영하면서 지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들이 도성에서 완전히 퇴출된 것은 1661년(현종 2)에 이르러서였다. 현종은 왕실 비구니원으로 기능하던 인수원과 자수원을 철폐시키고 여기에 소속된 비구니들은 동대문 밖으로 이주시키거나 환속시켰다(『현종실록』 2년 2월 12일).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관계망

불교(佛敎) 표제어
불교개념

가유왕(迦維王) · 감로(甘露) · 견성성불(見性成佛) · 금강륜(金剛輪) · 금강수(金剛樹) · 금강지(金剛地) · 담무갈보살(曇無竭普薩) · 도솔천(兜率天) · 미타국(彌陁國) · 범천(梵天) · 복전(福田) · 사라쌍수(沙羅雙樹) · 사리분신(舍利分身) · 사장(社長) · 사중(四衆) · 석가(釋迦) · 수타미(須陀味) · 아승지(阿僧祗) · 억불(抑佛) · 우화(雨花) · 윤회설(輪廻說) · 제석(帝釋) · 좌선(坐禪) · 직지인심(直指人心) · 진언(眞言) · 참선(參禪) · 팔정도(八正道) · 해탈문(解脫門) · 화장(華藏)

불교공간

강경당(講經堂) · 계단(戒壇) · 내불당(內佛堂) · 내원당(內願堂) · 대장경판당(大藏經板堂) · 미륵당(彌勒堂) · 법연(法筵) · 봉선전(奉先殿) · 비보사찰(裨補寺刹) · 사리전(舍利殿) · 수륙사(水陸社) · 안일원(安逸院) · 어실각(御室閣) · 어필각(御筆閣) · 원당(願堂) · 원당촌(願堂村) · 인수궁(仁壽宮) · 재궁(齋宮) · 절수사찰(折受寺刹) · 정업원(淨業院) · 정업원구기(淨業院舊基) · 총림(叢林) · 판교원(板橋院) · 향상회관(向上會館)

불교문헌

경률론소(經律論疏) · 대선첩문(大選帖文) · 대장경(大藏經) · 시경도목(試經都目) · 참학입선첩(參學入選帖) · 패엽경(貝葉經)

불교물품

가사(袈裟) · 괘번(掛幡) · 괘불(掛佛) · 두루(兜樓) · 발우(鉢盂) · 번당(幡幢) · 범패(梵唄) · 법기(法器) · 보살봉(菩薩棒) · 부도(浮圖) · 불유(佛油) · 불자(拂子) · 불탱(佛幀) · 삼보인(三寶印) · 신당퇴미(神堂退米) · 요발(鐃鈸) · 의발(衣鉢) · 장삼(長衫) · 축원패(祝願牌) · 하등(河燈)

불교의식

경찬회(慶讚會) · 경행(經行) · 구병정근(救病精勤) · 금경법석(金經法席) · 기신재(忌晨齋) · 기양법석(祈禳法席) · 기우보공재(祈雨報供齋) · 나한재(羅漢齋) · 다비(茶毗) · 대상재(大祥齋) · 무차대회(無遮大會) · 문수법회(文殊法會) · 반승(飯僧) · 방생연(放生宴) · 백고좌법석(百高座法席) · 백재(百齋) · 법화법석(法華法席) · 북방흑룡기우제(北方黑龍祈雨祭) · 불공(佛供) · 불재(佛齋) · 사대연성법석(四大緣成法席) · 삼성재(三聖齋) · 소상재(小祥齋) · 소재법석(消災法席) · 수륙재(水陸齋) · 승재(僧齋) · 십이인연법석(十二因緣法席) · 안거작법(安居作法) · 안거회(安居會) · 약사정근(藥師精勤) · 연등회(燃燈會) · 연비(燃臂) · 연수도량(延壽道場) · 연종환원(年終還願) · 우란분재(盂蘭盆齋) · 장경도량(藏經道場) · 전경법석(轉經法席) · 점등(點燈) · 점안법회(點眼法會) · 정근기도(精勤祈禱) · 진언법석(眞言法席) · 초재(初齋) · 초혼(招魂) · 추천재(追薦齋) · 축수재(祝壽齋) · 칠칠재(七七齋) · 팔관회(八關會) · 하안거(夏安居) · 화엄법석(華嚴法席)

불교법제

거승위전(居僧位田) · 계율(戒律) · 교서관(校書館) · 교종도회소(敎宗都會所) · 금승절목(禁僧節目) · 내원당완호지법(內願堂完護之法) · 도첩제(度牒制) · 모연(募緣) · 법손노비(法孫奴婢) · 부녀상사금지(婦女上寺禁止) · 보살계(菩薩戒) · 사사노비(寺社奴婢) · 사사전(寺社田) · 사위전(寺位田) · 삼십육사(三十六寺) · 선과(禪科) · 선과첩(禪科帖) · 선시(選試) · 선종도회소(禪宗都會所) · 성중승인금제조(城中僧人禁制條) · 수륙전(水陸田) · 승록사(僧錄司) · 승역(僧役) · 승인추핵조(僧人推劾條) · 승인호패법(僧人號牌法) · 승직(僧職) · 시납전(施納田) · 염불향도(念佛香徒) · 의승방번전(義僧防番錢) · 정전(丁錢) · 향도(香徒)

종파

교종(敎宗) · 남산종(南山宗) · 도문종(道門宗) · 마하연(摩訶衍) · 백련교(白蓮敎) · 법사종(法事宗) · 선교양종(禪敎兩宗) · 선종(禪宗) · 소자종(疏字宗) · 시흥종(始興宗) · 신인종(神印宗) · 오교양종(五敎兩宗) · 자은종(慈恩宗) · 조계종(曹溪宗) · 중도종(中道宗) · 중신종(中神宗) · 천태종(天台宗) · 청련교(靑蓮敎) · 총남종(摠南宗) · 총지종(摠持宗) · 화엄종(華嚴宗)

사찰

가림사(嘉林寺) · 가지사(迦智寺) · 각림사(覺林寺) · 감로사(甘露寺) · 강서사(江西寺) · 개경사(開慶寺) · 개암사(開庵寺) · 개태사(開泰寺) · 건봉사(乾鳳寺) · 건성사(乾聖寺) · 견암사(見岩寺) · 경복사(景福寺) · 경천사(敬天寺) · 계룡사(鷄龍寺) · 계봉사(鷄鳳寺) · 공림사(公林寺) · 관음굴(觀音窟) · 관음사(觀音寺) · 광덕사(廣德寺) · 광명사(廣明寺) · 광암사(光巖寺) · 광흥사(廣興寺) · 국분사(國分寺) · 귀주사(歸州寺) · 금사사(金沙寺) · 금장사(金藏寺) · 기림사(祇林寺) · 길상사(吉祥寺) · 낙산사(洛山寺) · 내제석원(內帝釋院) · 능침사(陵寢寺) · 단속사(斷俗寺) · 대자암(大慈庵) · 덕천사(德泉寺) · 도갑사(道岬寺) · 도량사(道場寺) · 동학사(東鶴寺) · 동화사(桐華寺) · 만덕사(萬德寺) · 만연사(萬淵寺) · 만의사(萬義寺) · 명통사(明通寺) · 무량사(無量寺) · 무위사(無爲寺) · 문수사(文殊寺) · 미륵사(彌勒寺) · 백련사(白蓮寺) · 백암사(白巖寺) · 백운사(白雲寺) · 범굴사(梵窟寺) · 법주사(法住寺) · 법천사(法泉寺) · 법화사(法華寺) · 보광사(普光寺) · 보련사(寶蓮寺) · 보현사(普賢寺) · 복세암(福世菴) · 복천사(福泉寺) · 봉덕사(奉德寺) · 봉선사(奉先寺) · 봉원사(奉元寺) · 봉은사(奉恩寺) · 봉정사(鳳停寺) · 북신사(北神寺) · 사나사(舍那寺) · 삼화사(三和寺) · 상원사(上院寺) · 서봉사(瑞峰寺) · 석남사(石南寺) · 석왕사(釋王寺) · 선운사(禪雲寺) · 선원사(禪源寺) · 성불사(成佛寺) · 성주사(聖住寺) · 소요사(逍遙寺) · 송광사(松廣寺) · 송림사(松林寺) · 수종사(水鐘寺) · 순천사(順天寺) · 숭효사(崇孝寺) · 승가사(僧伽寺) · 신광사(新光寺) · 신륵사(神勒寺) · 신암사(神巖寺) · 신혈사(神穴寺) · 심원사(深源寺) · 쌍봉사(雙峰寺) · 쌍봉사(雙鳳寺) · 안국사(安國寺) · 안암사(安巖寺) · 안양사(安養寺) · 앙암사(仰庵寺) · 억정사(億正寺) · 연경사(衍慶寺) · 연굴사(演窟寺) · 연복사(演福寺) · 영국사(寧國寺) · 영명사(永明寺) · 영통사(靈通寺) · 오봉사(五峰寺) · 왕륜사(王輪寺) · 용문사(龍門寺) · 용주사(龍珠寺) · 용천사(龍泉寺) · 운부사(雲浮寺) · 원각사(圓覺寺) · 월광사(月光寺) · 월암사(月巖寺) · 월영사(月影寺) · 월정사(月精寺) · 유점사(楡岾寺) · 은해사(銀海寺) · 인각사(麟角寺) · 인왕사(仁王寺) · 자복사(資福寺) · 자운사(慈雲寺) · 자혜사(慈惠寺) · 장곡사(長谷寺) · 장안사(長安寺) · 장의사(藏義寺) · 적산사(積山寺) · 전등사(傳燈寺) · 정곡사(亭谷寺) · 정수사(淨水寺) · 정양사(正陽寺) · 정인사(正因寺) · 정토사(淨土寺) · 조포사(造泡寺) · 중흥사(重興寺) · 지천사(支天寺) · 진관사(津寬寺) · 창성사(彰聖寺) · 천왕사(天王寺) · 청계사(淸溪寺) · 청룡사(靑龍寺) · 태안사(胎安寺) · 토당사(土堂寺) · 통도사(通度寺) · 패엽사(貝葉寺) · 표훈사(表訓寺) · 학림사(鶴林寺) · 해인사(海印寺) · 향림사(香林寺) · 현성사(賢聖寺) · 화엄사(華嚴寺) · 화장사(華藏寺) · 회강사(會剛寺) · 회암사(檜巖寺) · 효의사(曉義寺) · 흥교사(興敎寺) · 흥국사(興國寺) · 흥덕사(興德寺) · 흥룡사(興龍寺) · 흥복사(興福寺) · 흥천사(興天寺)

승려(僧侶)

감역승(監役僧) · 강주승(講主僧) · 거사(居士) · 국사(國師) · 내원당감주(內願堂監主) · 노승(奴僧) · 대사(大師) · 대선(大選) · 대선사(大禪師) · 대신승(代身僧) · 대처승(帶妻僧) · 도승(度僧) · 도승통(都僧統) · 도총섭(都摠攝) · 매골승(埋骨僧) · 모화승(募化僧) · 무도첩승(無度牒僧) · 밀원(密員) · 방장(方丈) · 번승(番僧) · 법사(法師) · 보살계제자(菩薩戒弟子) · 부역승(赴役僧) · 북한승장(北漢僧將) · 분수승(焚修僧) · 비구니(比丘尼) · 사경승(寫經僧) · 사리(闍梨) · 사미(沙彌) · 사승(使僧) · 산성승(山城僧) · 산성총섭(山城總攝) · 선사(禪師) · 승장(僧匠) · 승통(僧統) · 안거승(安居僧) · 역자승(驛子僧) · 연화승(緣化僧) · 왕사(王師) · 용면(龍眠) · 원주승(院主僧) · 율사(律師) · 의승장(義僧將) · 입선(入選) · 작두승(作頭僧) · 작법승(作法僧) · 장교승(將校僧) · 주지승(住持僧) · 죽반승(粥飯僧) · 중덕(中德) · 증명법사(證明法師) · 지음승(持音僧) · 차비승(差備僧) · 참학승(參學僧) · 총섭(摠攝) · 출신승(出身僧) · 판교종사(判敎宗師) · 판선종사(判禪宗師) · 팔도도총섭(八道都摠攝) · 향화승(香火僧) · 호승(胡僧) · 화주승(化主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