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인문학
sillokwiki
[펼치기] 정치 |
---|
[펼치기] 경제 |
---|
[펼치기] 사회 |
---|
[접기] 문화 | |
---|---|
인문학 | 역사, 지리, 어문학, 유학, 서학, 율학 |
과학 | 천문, 역법, 산학, 재이·기상 |
의학·약학 | 병명, 병세, 약재, 처방 |
예술 | 음악, 미술, 연극, 정재, 건축 |
종교 | 민간신앙, 불교, 도교, 천주교·기독교 |
의례 | 흉례 |
[펼치기] 생활·풍속 |
---|
[펼치기] 교육·출판 |
---|
[펼치기] 왕실 |
---|
"인문학" 분류에 속하는 문서
다음은 이 분류에 속하는 문서 223개 가운데 200개입니다.
(전 페이지) (다음 페이지)ㄱ
ㅂ
ㅅ
- 사고전서(四庫全書)
- 사단칠정(四端七情)
- 사론(史論)
- 사문난적(斯文亂賊)
- 사문난적(斯文亂賊)
- 사부(辭賦)
- 사성(四聲)
- 사언(四言)
- 사초(史草)
- 삼노오경(三老五更)
- 삼재(三才)
- 상분(嘗糞)
- 상성(上聲)
- 상제(上帝)
- 상형(象形)
- 서(序)
- 서곤체(西崐體)
- 선악(善惡)
- 선양(禪讓)
- 선천(先天)
- 설(說)
- 설음(舌音)
- 성경도(盛京圖)
- 성리학(性理學)
- 성선(性善)
- 성악(性惡)
- 성정(性情)
- 성주사고(星州史庫)
- 성학(聖學)
- 세초(洗草)
- 소(疏)
- 속음(俗音)
- 순음(脣音)
- 시정기(時政記)
- 시중(時中)
- 신독(愼獨)
- 실록(實錄)
- 실사구시(實事求是)
- 심통성정(心統性情)
- 쌍성(雙聲)
ㅇ
- 아송(雅頌)
- 아음(牙音)
- 악장(樂章)
- 애사(哀辭)
- 야사(野史)
- 양능(良能)
- 양능(良能)
- 양명학(陽明學)
- 양지(良知)
- 양지(良知)
- 어제시(御製詩)
- 언해(諺解)
- 역어(譯語)
- 역학(易學)
- 연서(連書)
- 연서(連書)
- 연의(衍義)
- 연행(燕行)
- 연행록(燕行錄)
- 열녀(烈女)
- 열녀(烈女)
- 열전(列傳)
- 열전(列傳)
- 영사시(詠史詩)
- 예의(例義)
- 예의(例義)
- 예학(禮學)
- 예학(禮學)
- 오대산사고(五臺山史庫)
- 오음(五音)
- 오행(五行)
- 완물상지(玩物喪志)
- 우언(寓言)
- 운서(韻書)
- 운학(韻學)
- 원(原)
- 원행(園幸)
- 원형이정(元亨利貞)
- 위기지학(爲己之學)
- 위올진(偉兀眞)
- 유(諭)
- 윤집궐중(允執厥中)
- 율려(律呂)
- 율려(律呂)
- 율시(律詩)
- 율시(律詩)
- 음식남녀(飮食男女)
- 음양(陰陽)
- 이두(吏讀)
- 이두(吏讀)
- 이마두(利瑪竇)
- 이영보래(以影補來)
- 이학(吏學)
- 인물성(人物性)
- 인성(因聲)
- 인심도심(人心道心)
- 입성(入聲)
- 입성(立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