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탁(淸濁)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훈민정음에서 초성을 조음 방법에 따라 분류한 기준.

개설

청탁(淸濁)은 훈민정음의 청음(淸音)과 탁음(濁音)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오늘날의 중국 베이징어를 기준으로 보면 폐쇄음·파찰음·마찰음 등은 모두 청음이고, 비음과 유음은 탁음이다.

한편, 청탁은 훈민정음의 초성 분류 방법 중 하나로, 조음 위치에 따라 오음(五音)으로 구분하고, 이를 다시 소리의 청탁에 따라 전청(全淸), 차청(次淸), 전탁(全濁), 불청불탁(不淸不濁)으로 나누었다.

내용 및 특징

오늘날의 중국 베이징어를 기준으로 보면 파열음·파찰음·마찰음 등은 모두 청음(淸音) 즉 무성음이고, 비음과 유음은 유성음인 탁음(濁音)이다. 현대 중국어에서는 폐쇄음과 파찰음을 다시 송기(送氣)와 불송기(不送氣)로 구분하고 있는데, 이는 각각 유기음(有氣音)과 무기음을 의미한다. 현대 중국어에서 보이는 폐쇄음과 파찰음 사이의 유기성 대립은 중세에도 존재했을 것이며, 이는 『훈민정음』의 자음 체계 수립에도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추정된다.

훈민정음에서는 현대 언어학과 마찬가지로, 초성의 체계를 조음 방법에 따라 구분하였다. 조음 방법에 따른 구분은 소리의 청탁을 기준으로 전청·차청·전탁·불청불탁 등 네 가지로 분류하였는데, 이는 평음(平音)·격음(激音)·경음(硬音)·공명자음(共鳴子音) 등으로 구분하는 오늘날의 분류 방식과 비슷하다. 그에 비해 마찰·파열·파찰 등 다른 조음 방법은 기준으로 언급하지 않았다(『세종실록』 28년 9월 29일).

초성 즉 자음을 청탁에 따라 구분하면, 오늘날의 평음 곧 예사소리인 전청과 격음 곧 거센소리인 차청이 청음 계열에 속하였다. 전청에는 ‘ㄱ, ㄷ, ㅂ, ㅈ, ㅅ, ㆆ’ 등이 있었고, 차청에는 ‘ㅋ, ㅌ, ㅍ, ㅊ, ㅎ’ 등이 있었다. 청음에 속하지 않는 것을 탁음이라고 하였는데, 전탁에는 ‘ㄲ, ㄸ, ㅃ, ㅉ, ㅆ, ㆅ’ 등이, 유성 자음 계열에 속하는 불청불탁에는 ‘ㆁ, ㄴ, ㅁ, ㅇ, ㄹ, ㅿ’ 등이 각각 해당하였다. 그런데 전탁 계열의 초성들은 각자병서(各字竝書)에 의해 기본자를 나란히 겹쳐 쓰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 까닭에 훈민정음의 초성 체계에서 제외되었다. 그에 비해 1448년(세종 30)에 편찬된 『동국정운(東國正韻)』의 23자모(字母) 체계에는 포함되었는데, 『동국정운』에 실려 있는 신숙주(申叔舟)의 서문을 살펴보면 청탁은 물론이고 칠음(七音)과 사성(四聲) 등을 세밀히 살펴 자모 체계 수립의 기본으로 삼았음을 알 수 있다. 칠음은 오음에 반설음인 ‘ㄹ’과 반치음인 ‘ㅿ’이 포함된 것으로, 훈민정음의 자음 체계에도 반영되었다. 다만 특이한 것은 중국과 달리 우리말에는 탁성이 없다는 점을 언급하면서도 실제 23자모에는 전탁을 포함시켰다는 점이다(『세종실록』 29년 9월 29일).

현대 중국어에서 청탁을 구분하는 방식을 참고하면, 중세 국어의 전탁자는 오늘날과 같은 경음 즉 된소리가 아니라 [g], [d] 등의 유성음을 나타냈을 가능성이 크다. 실제로 전탁자 중 순우리말의 어두 표기에 사용된 것은 ‘ㅆ’과 ‘ㆅ’ 두 자음밖에 없었다. 그 외의 전탁자들은 모두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에 사용되다가, 1465년(세조 11)에 간행된 『원각경언해(圓覺經諺解)』부터 각자병서가 일괄적으로 폐지되면서 곧 사라졌다. 또한 실제 우리말의 된소리는 ‘ㅅ’계열의 합용병서(合用竝書)를 이용하여 ‘[米]’ 등으로 표기되었다. 한편, 불청불탁의 경우는 오늘날 비음과 유음으로 남아 있는데, 공명(共鳴) 자질을 갖춘 초성들을 여기에 포함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중세 국어의 자음 분류 기준 가운데 하나인 청탁은 현실 중국어와 중세 국어의 표음 방식 등을 고려해 볼 때, 초성을 무성인 청음과 유성인 탁음으로 구분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탁성의 경우, 우리말 체계와는 무관하게 중국 운학의 체계를 수용한 것이다.

참고문헌

  • 『훈민정음(訓民正音)』
  • 『동국정운(東國正韻)』
  • 박종국, 『훈민정음』, 정음사, 1976.
  • 박창원, 『중세국어 자음 연구』, 한국문화사, 1996.
  • 이기문, 『國語史槪說』(新訂版), 태학사, 1998.
  • 이영월, 「훈민정음 초성체계 재해석」, 『中國學硏究』42, 2007.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