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생활·풍속
sillokwiki
[펼치기] 정치 |
---|
[펼치기] 경제 |
---|
[펼치기] 사회 |
---|
[펼치기] 문화 |
---|
[접기] 생활·풍속 | |
---|---|
의생활 | 의복, 관모, 대, 이, 직물, 제구 |
식생활 | 음식, 식기 |
풍속 | 놀이, 행사 |
주생활 | 이동수단 |
가례 | 관례, 혼례, 상례, 제례, 통례 |
교화 | |
풍수 |
[펼치기] 교육·출판 |
---|
[펼치기] 왕실 |
---|
"생활·풍속" 분류에 속하는 문서
다음은 이 분류에 속하는 문서 839개 가운데 200개입니다.
(전 페이지) (다음 페이지)ㄱ
- 가대(家代)
- 가묘(家廟)
- 가사(袈裟)
- 가산(假山)
- 가자(茄子)
- 가혈(假穴)
- 가화어(加火魚)
- 각서(角黍)
- 각선(却膳)
- 간룡(幹龍)
- 간산(看山)
- 간장(艮醬)
- 갈구(葛屦)
- 감선(減膳)
- 감여술(堪輿術)
- 감자(柑子)
- 감저(甘藷)
- 감주(甘酒)
- 감투(坎頭)
- 감합(甘蛤)
- 갑(匣)
- 갑주(甲胄)
- 강롱(岡壟)
- 강사포(絳紗袍)
- 개빙사한(開氷司寒)
- 개자(芥子)
- 개장(芥醬)
- 개장(開帳)
- 개장복(改葬服)
- 개책관(介幘冠)
- 개화(改火)
- 갱(羹)
- 건시(乾柿)
- 건어(乾魚)
- 건저(乾猪)
- 건치(乾雉)
- 건포도(乾葡萄)
- 견자(絹子)
- 견전(遣奠)
- 겹고(裌袴)
- 겹군(裌裙)
- 겹단령(裌團領)
- 겹의(裌衣)
- 겹장삼(裌長衫)
- 경번갑(鏡幡甲)
- 경복(輕服)
- 경칩(驚蟄)
- 계(罽)
- 계(髻)
- 계담(罽毯)
- 계빈(啓殯)
- 계음(禊飮)
- 고계(高髻)
- 고단(庫緞)
- 고도어(古道魚)
- 고정립(高頂笠)
- 고초장(苦椒醬)
- 곡비(哭婢)
- 곤룡포(袞龍袍)
- 공단(貢緞)
- 공복(公服)
- 공상아문(供上衙門)
- 공상육사(供上六司)
- 공상육사(供上六司)
- 공정책(空頂幘)
- 공제복(公除服)
- 과두(裹肚)
- 과어(瓜魚)
- 과자(瓜子)
- 과하주(過夏酒)
- 과협(過峽)
- 관(冠)
- 관곽(棺槨)
- 관복(冠服)
- 관자(貫子)
- 관처용(觀處容)
- 관희(觀戲)
- 광어(廣魚)
- 괴혈(怪穴)
- 교대(絞帶)
- 구기자(枸杞子)
- 구나(驅儺)
- 구류평천관(九旒平天冠)
- 구육(狗肉)
- 구의(裘衣)
- 구저(韭菹)
- 구피의(狗皮衣)
- 군복(軍服)
- 궐채(蕨菜)
- 궤식(饋食)
- 규(圭)
- 규대(圭袋)
- 규채(葵菜)
- 근저(芹菹)
- 금관(金冠)
- 금관(金冠)
- 금귤(金橘)
- 금반하엽(金盤荷葉)
- 금잠(金簪)
- 금잠(金簪)
- 금주령(禁酒令)
- 금침(衾枕)
- 기년복(朞年服)
- 기맥(氣脈)
- 기복(起伏)
- 기청제(祈晴祭)
- 길경(桔梗)
- 길복(吉服)
ㄴ
ㄷ
- 다담(茶啖)
- 다시마(多士麻)
- 다식(茶食)
- 단령(團領)
- 단문복(袒免服)
- 단수(腶脩)
- 단오제(端午祭)
- 담복(淡服)
- 담복(禫服)
- 담포(淡袍)
- 담해(醓醢)
- 답교(踏橋)
- 답호(塔胡)
- 당유자(唐柚子)
- 당혜(唐鞋)
- 대구어(大口魚)
- 대나례(大儺禮)
- 대대(大帶)
- 대렴(大斂)
- 대례복(大禮服)
- 대맥(大麥)
- 대삼(大衫)
- 대상복(大祥服)
- 대수방령(大袖方領)
- 대양산(大陽傘)
- 대여(大轝)
- 대오행(大五行)
- 대하(大蝦)
- 대합(大蛤)
- 대홍소저사(大紅素紵絲)
- 대홍유견포복(大紅油絹包袱)
- 도(桃)
- 도(稻)
- 도검(桃劍)
- 도국(圖局)
- 도다익(都多益)
- 도대(絛帶)
- 도미죽(稻米粥)
- 도병(稻餠)
- 도선지설(道詵之說)
- 도어(刀魚)
- 도판(桃板)
- 도포(道袍)
- 동뢰연상(同牢宴床)
- 동물원(動物園)
- 동아(冬瓜)
- 동정귤(洞庭橘)
- 동채(茼菜)
- 동향(冬享)
- 두건(頭巾)
- 두부(豆腐)
- 두수(頭須巾)
- 두죽(豆粥)
- 두탕(豆湯)
- 등석(燈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