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편제
sillokwiki
[접기] 정치 | |
---|---|
행정 | 관청, 관직·관품, 관속, 문서·행정용어, 정책, 인신·패·표, 행정구획 |
인사 | 선발, 임면, 관리, 녹훈 |
사법 | 법제, 재판, 행형, 치안, 죄목 |
용어 | |
군사·국방 | 병참, 방어시설, 통신, 병법·훈련법, 병기, 전쟁, 편제 |
외교 | 사행, 접빈, 외교문서, 외교사안 |
정치운영 | 정쟁·정론, 정변, 통치행위 |
언로용어 |
[펼치기] 경제 |
---|
[펼치기] 사회 |
---|
[펼치기] 문화 |
---|
[펼치기] 생활·풍속 |
---|
[펼치기] 교육·출판 |
---|
[펼치기] 왕실 |
---|
"편제" 분류에 속하는 문서
다음은 이 분류에 속하는 문서 313개 가운데 200개입니다.
(전 페이지) (다음 페이지)ㄱ
- 가덕진(加德鎭)
- 가리포진(加里浦鎭)
- 가전별초(駕前別抄)
- 가정(家丁)
- 감문위(監門衛)
- 갑사(甲士)
- 갑산진(甲山鎭)
- 강릉진(江陵鎭)
- 객병(客兵)
- 건주삼위(建州三衛)
- 겸영장(兼營將)
- 경주진(慶州鎭)
- 공궐위장(空闕衛將)
- 공주진(公州鎭)
- 관군(館軍)
- 광량진(廣梁鎭)
- 광주진(廣州鎭)
- 교련관(敎鍊官)
- 교련병대(敎鍊兵隊)
- 교사(敎師)
- 교사대(敎師隊)
- 국출신(局出身)
- 궁전색(弓箭色)
- 궐군(闕軍)
- 귀성진(龜城鎭)
- 근장군사(近仗軍士)
- 금군(禁軍)
- 금병(禁兵)
- 금오위(金吾衛)
- 금오위(金吾衛)
- 금위대장(禁衛大將)
- 금위영(禁衛營)
- 기고관(旗鼓官)
- 기병(騎兵)
- 기사(騎士)
- 기수(旗手)
- 기연해방영(畿沿海防營)
- 기정병(騎正兵)
- 기총(旗摠)
- 기패관(旗牌官)
- 김해진(金海鎭)
ㅂ
ㅅ
- 사도진(蛇渡鎭)
- 사부(射夫)
- 사수(射手)
- 산산진(蒜山鎭)
- 살수(殺手)
- 삼군(三軍)
- 삼군문(三軍門)
- 삼수병(三手兵)
- 삼수진(三水鎭)
- 삼척진(三陟鎭)
- 상주진(尙州鎭)
- 선군(船軍)
- 선기대(善騎隊)
- 선사포진(宣沙浦鎭)
- 성천진(成川鎭)
- 소근진(所斤鎭)
- 속오군(束伍軍)
- 속오법(束伍法)
- 수군(水軍)
- 수성군(守城軍)
- 수어군(守禦軍)
- 수어대장(守禦大將)
- 수어청(守禦廳)
- 수원진(水原鎭)
- 수첩군(守堞軍)
- 수첩군관(守堞軍官)
- 수파(守把)
- 순령수(巡令手)
- 순무영(巡撫營)
- 순영(巡營)
- 순천진(順天鎭)
- 승호군(陞戶軍)
- 시위군(侍衛軍)
- 시위별패(侍衛別牌)
- 신선(新選)
- 신호위(神虎衛)
- 십사(十司)
ㅇ
- 아기수(兒旗手)
- 아동대(兒童隊)
- 안동진(安東鎭)
- 안흥진(安興鎭)
- 암영(暗營)
- 양주진(楊州鎭)
- 어영대장(御營大將)
- 어영청(御營廳)
- 연호군(煙戶軍)
- 영변진(寧邊鎭)
- 영병대장(領兵大將)
- 영장(營將)
- 영종진(永宗鎭)
- 영진군(營鎭軍)
- 영흥진(永興鎭)
- 오영군문(五營軍門)
- 오차진(吾叉鎭)
- 옹영(甕營)
- 요동도지휘사사(遼東都指揮使司)
- 요동총병관(遼東總兵官)
- 요동포정사(遼東布政使)
- 용호영(龍虎營)
- 용호영(龍虎營)
- 우림위(羽林衛)
- 우열군관(右列軍官)
- 우열군관(右列軍官)
- 우위(右衛)
- 원주진(原州鎭)
- 월곶진(月串鎭)
- 월곶진(月串鎭)
- 위도진(蝟島鎭)
- 위소(衛所)
- 위장(衛將)
- 유격(遊擊)
- 유방군(留防軍)
- 유방군(留防軍)
- 유원위(柔遠衛)
- 유진군(留鎭軍)
- 유진군(留鎭軍)
- 유황군(硫黃軍)
- 유황군(硫黃軍)
- 육군무관학교(陸軍武官學校)
- 응사군(鷹師軍)
- 응양위(鷹揚衛)
-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
- 의흥위(義興衛)
- 의흥친군위(義興親軍衛)
- 이장(里將)
- 이장(里將)
- 익(翼)
- 익속군(翼屬軍)
- 일번내금위(一番內禁衛)
- 일사(一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