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위(右衛)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우위 |
한글표제 | 우위 |
한자표제 | 右衛 |
상위어 | 오위(五衛) |
관련어 | 중위(中衛), 전위(前衛), 후위(後衛), 좌위(左衛) |
분야 | 정치/군사·국방/편제 |
유형 | 개념용어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김종수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우위(右衛)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종실록』 3년 8월 12일 |
조선전기 오위(五衛)의 하나로서 호분위(虎賁衛)라고 칭한 군사 조직.
내용
조선 개국 초 고려 중앙군 조직은 2군 6위를 합하여 이르는 8위(八衛)였는데 여기에 태조이성계(李成桂)의 친병(親兵)을 바탕으로 하는 의흥친군좌위(義興親軍左衛)와 의흥친군우위((義興親軍右衛)를 덧붙여 10위의 중앙군 조직을 갖추었다. 이후 1394년(태조 3)에 10위를 10사(十司)로 개칭하였고, 1418년(태종 18)에는 12사로 증설해 왕궁의 시위에 치중하였다.
그런데 1451년(문종 1)에 전시 군사체제와 평시 군사체제를 합치시키려는 움직임이 나타나 평시 군사체제인 12사를 5사로 개편하였으며, 1457년(세조 3)에는 5사를 5위(衛)로 개명하였다. 이로써 5위 제도가 성립하게 되었는데 『경국대전』에 따르면 우위(右衛)에는 중앙군으로는 족친위(族親衛), 친군위(親軍衛), 팽배(彭排)가 속하였고, 지방군은 중부(中部), 좌부(左部), 우부(右部), 전부(前部), 후부(後部) 등으로 나누어 각각 소속시켰다. 이 중 중부에는 평안도 안주 진관군사가, 좌부에는 의주·구성·삭주 진관군사 창성·창주·방산·인산진 군사가, 우부에는 성천 진관군사가, 전부에는 영변·강계·벽동 진관군사, 벽단·만포·고산리·위원·이산·영원진 군사가, 후부에는 평양 진관군사가 속하였다. 오위 조직은 16세기 이후 수포제(收布制)가 성행하면서 크게 동요하였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훈련도감을 비롯한 오군영이 설치되어 중앙군 조직의 중심을 이루게 되면서 유명무실해지고 말았다.
용례
兵曹啓 諸道軍士 不分隷於五衛 則大閱時 衣甲章色相雜 且無體統之義 以京畿慶尙全羅道屬中衛 平安道屬前衛 忠淸道屬左衛 黃海道屬右衛 江原咸吉道屬後衛 衣色各依方色 上王從之(『세종실록』 3년 8월 12일)
참고문헌
- 민현구, 『朝鮮初期의 軍事制度와 政治』, 韓國硏究院, 1983.
- 千寬宇, 『近世朝鮮史硏究』, 一潮閣, 1979.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