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포진(宣沙浦鎭)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 평안북도 철산부 곽산에 설치한 수군진.

개설

선사포(宣沙浦)는 조선전기에 노강(老江)·광량(廣梁) 등과 함께 삼포(三浦)로 불렸다. 선사포가 의주에서 한양으로 가는 길목에 있는 까닭에, 조선전기에 삼포는 내륙에 있는 평안남도 안주목을 방비하는 데 동원되었다. 16세기 선사포에 수군진이 설치되었다가 혁파되었다. 17세기에 선사포진이 복설되었고, 19세기에는 수군첨절제사가 파견되었다.

P00012557 01.PNG

설립 경위 및 목적

선사포는 평안북도 철산부(鐵山府) 선천(宣川)과 곽산(郭山) 고을에 있다. 이 지역은 왜구가 출몰하지 않는 곳이어서 조선전기에는 내륙인 평안남도 안주목을 방비하는 데 동원되었다(『성종실록』 10년 12월 1일).

선사포에 수군진이 언제 설치되었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다만 1509년(중종 4)에 이미 수군진이 설치되어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중종실록』 4년 9월 29일).

조선후기에는 중국과 조선을 연결하는 주요 포구로 기능하였다.

조직 및 역할

15세기에 선사포는 바닷길보다 내륙 지역을 방비하는 데 주력하였다. 평안남도 안주목의 방비와 부역을 담당하였다.

17세기에는 중국과 조선을 연결해 주는 중요 포구로 기능하였다. 따라서 중국에 파견된 사은겸동지사(謝恩兼冬至使) 등이 귀국할 때 선사포에 정박하여 행장을 검문받았다(『인조실록』 3년 4월 6일).

「철산부지도」에 따르면 19세기에는 선사포진에 수군첨절제사가 파견되었으며, 관방시설로 봉수대와 전선 등이 배치되고, 목마 244필이 방목되었다.

변천

16세기에 중앙 관료들의 선사포진을 곽산에서 밀곶(密串)으로 옮겨 왜구를 방어하자고 제안하였으나, 실행되지 않았다(『중종실록』 4년 9월 29일). 16세기에 선사포진성이 소실되었으며, 17세기에 병안도병사 정익(鄭榏)의 상소로 군비가 정비되었다(『인조실록』 25년 3월 19일). 「철산부지도」에 따르면, 19세기 선사포진에 수군 진성, 봉수, 목장이 개설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참고문헌

  • 「철산부지도(鐵山府地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