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예술
sillokwiki
[펼치기] 정치 |
---|
[펼치기] 경제 |
---|
[펼치기] 사회 |
---|
[접기] 문화 | |
---|---|
인문학 | 역사, 지리, 어문학, 유학, 서학, 율학 |
과학 | 천문, 역법, 산학, 재이·기상 |
의학·약학 | 병명, 병세, 약재, 처방 |
예술 | 음악, 미술, 연극, 정재, 건축 |
종교 | 민간신앙, 불교, 도교, 천주교·기독교 |
의례 | 흉례 |
[펼치기] 생활·풍속 |
---|
[펼치기] 교육·출판 |
---|
[펼치기] 왕실 |
---|
"예술" 분류에 속하는 문서
다음은 이 분류에 속하는 문서 687개 가운데 200개입니다.
(전 페이지) (다음 페이지)ㄱ
- 가(架)
- 가경(歌磬)
- 가공(歌工)
- 가관(葭管)
- 가금(歌琴)
- 가기(歌妓)
- 가동(歌童)
- 가면무동(假面舞童)
- 가면잡희(假面雜戱)
- 가무규식(歌舞規式)
- 가무동(歌舞童)
- 가무여아(歌舞女兒)
- 가무여아(歌舞女兒)
- 가사(歌辭)
- 가서(嘉瑞)
- 가송(歌頌)
- 가요(歌謠)
- 가요청(歌謠廳)
- 가종(歌鐘)
- 가화(假畵)
- 가흥청(假興淸)
- 각(桷)
- 각(角)
- 간(間)
- 간각(間閣)
- 간무(干舞)
- 간척(干戚)
- 감군은(感君恩)
- 갑기(甲器)
- 갑번(匣燔)
- 개기(開基)
- 개석(蓋石)
- 개첨석(蓋簷石)
- 개초(蓋草)
- 개판(蓋板)
- 거말정(鉅末釘)
- 건고(建鼓)
- 견양(見樣)
- 결채(結綵)
- 겸내취(兼內吹)
- 경(磬)
- 경거(磬虡)
- 경기(京妓)
- 경모궁악(景慕宮樂)
- 경성도서관(京城圖書館)
- 경연연(經筵宴)
- 경제(磬制)
- 계면조(界面調)
- 계석(階石)
- 계언병(戒言屛)
- 계체석(階砌石)
- 계회도(契會圖)
- 고(鼓)
- 고려악(高麗樂)
- 고주(高柱)
- 고취(鼓吹)
- 고취악(鼓吹樂)
- 곡연(曲宴)
- 공신영정(功臣影幀)
- 공인(工人)
- 공자영정(孔子影幀)
- 공장(供帳)
- 공척보(工尺譜)
- 관가도(觀稼圖)
- 관왕묘(關王廟)
- 관음현상도(觀音現相圖)
- 관풍각(觀豐閣)
- 관현맹인(管絃盲人)
- 광대(廣大)
- 광범문(光範門)
- 광정문(光政門)
- 광판(廣板)
- 광희(廣熙)
- 광희악(廣熙樂)
- 괘불(掛佛)
- 교방(敎坊)
- 교방가요(敎坊歌謠)
- 교방고(敎坊鼓)
- 구변(九變)
- 구성(九聲)
- 굴토(掘土)
- 궁상각치우(宮商角徵羽)
- 궁조(宮調)
- 궁현(宮懸)
- 귀인(歸仁)
- 규식지희(規式之戲)
- 금강산도(金剛山圖)
- 금강산도(金剛山圖)
- 금마문(金馬門)
- 금석문(金石文)
- 금척(金尺)
- 기계목(機械木)
- 기영회도(耆英會圖)
- 기자묘(箕子墓)
ㄴ
ㄷ
- 다병(茶甁)
- 다종(茶鍾)
- 단양문(端陽門)
- 단청(丹靑)
- 달고목(橽古木)
- 달성공원(達城公園)
- 당비파(唐琵琶)
- 당상악(堂上樂)
- 당악(唐樂)
- 당악정재(唐樂呈才)
- 당적(唐笛)
- 당하악(堂下樂)
- 대각(大角)
- 대금(大琴)
- 대금(大笒)
- 대부등(大不等)
- 대부등(大不等)
- 대아련(大牙鍊)
- 대유(大猷)
- 대적(大笛)
- 대접쇠(大楪鐵)
- 대평소(大平簫)
- 도기소(陶器所)
- 도리(道里)
- 도만(塗墁)
- 도배(塗褙)
- 도배지(塗褙紙)
- 도벽지(塗壁紙)
- 도성도(都城圖)
- 독(牘)
- 독경(篤慶)
- 독립문(獨立門)
- 돈의문(敦義門)
- 동(棟)
- 동국지도(東國地圖)
- 동기(童妓)
- 동동(動動)
- 동동사(動動詞)
- 동망(銅網)
- 동명왕묘(東明王墓)
- 동연(銅硯)
- 동자목(童子木)
- 동철승(銅鐵繩)
- 등가(登歌)
- 등가악장(登歌樂章)
- 등왕각도(滕王閣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