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경(篤慶)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독경 |
한글표제 | 독경 |
한자표제 | 篤慶 |
상위어 | 정대업지곡(定大業之曲) |
관련어 | 보태평지악(保太平之樂), 휼독기경(遹篤其慶) |
분야 | 문화/예술/음악 |
유형 | 작품 |
집필자 | 배인교 |
상세유형 |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독경(篤慶) |
종묘제례 의식에서 아헌례와 종헌례를 행할 때 연주하는 「정대업지곡(定大業之曲)」의 두 번째 곡.
개설
조선 세종대에 회례연에 쓰기 위해 만든 「보태평지악」과 「정대업지악」이 세조대에 종묘제례악으로 사용되면서 일부 개작되었는데, 「독경(篤慶)」은 세조대에 새롭게 개작된 곡이다. 세조대에 채택된 종묘제례악은 그 후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기간에 중지되었다가 다시 연주되었으며, 음악적 변화를 겪은 후에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내용 및 특징
「독경」은 종묘제례 의식에서 아헌례와 종헌례를 행할 때 연주하는 「정대업지곡」의 두 번째 곡이다. 인입장인 소무 다음에 이어서 헌가에서 연주하며, 일무는 제일변(第一變)으로, 무무(武舞) 중 「독경」에 해당하는 춤을 춘다. 세종대에 회례악으로 사용할 목적으로 「정대업지악」을 창작했을 당시의 제1변 역시 「독경」이었으며, 1변 안에 1편이 있었다.
세조대에 종묘제례악으로 정대업을 개작하면서 제1변을 「독경」이라 한 후 악장을 축소하고, 조를 바꾸기는 하였으나 선율은 세종대 만들어진 「독경」의 선율과는 전혀 다르다. 「독경」은 악장의 제3구인 ‘휼독기경(遹篤其慶)’에서 ‘독(篤)’과 ‘경(慶)’의 글자를 따서 지은 이름이다.
「독경」의 악장을 살펴보면, 이것은 태조 이성계의 고조부인 목조(穆祖)이안사(李安社)의 무공을 노래한다. 북쪽 지방을 정벌한 후 백성들에게 선치를 베풀어 왕업의 기초를 닦았다는 내용이다. 『세종실록』의 독경장에 관한 설명은 “목조가 알동에 살 때 5천 호의 장이 되었으며, 왕업(王業)의 일어남이 이로부터 시작되었다[穆祖居斡東 長五千戶所 王業之興自此始].”로 되어 있다. 그러나 『대악후보』의 독경장 설명을 보면, “익조가 알동에 있을 때 야인들이 장차 노인들을 해치는 것을 고하니, 드디어 적도로 피함에 물이 깊으나 배가 없고 기세가 매우 급하였으나 마침내 서둘러 물러나 건널 수 있었다. 목조가 알동에 살 때 5천 호의 장이 되었으며, 왕업(王業)의 일어남이 이로부터 시작되었다[翼祖在斡東 野人將害之老嫗以告 遂避之赤島 水深無舟勢甚急水 忽退渴乃得渡 穆祖居斡東 長五千戶所 王業之興自此始].”라고 적고 있어, 목조에 관한 설화에 익조에 관한 것까지 덧붙여 있다.
세종대의 「독경」은 4언 12구의 한시이며, 세조대의 「독경」은 4언 4구로 축소되었다. 세종대와 세조대의 「독경」의 악장은 다음과 같다.
세종대 「독경」
於皇聖穆 厥猶允塞 宅彼朔方 肇我王迹
始建牙纛 衆乃預附 仁威以溥 疇不畏慕
聿受帝祉 其慶則篤 則篤其慶 命于東國
세조대 「독경」
於皇聖穆 建牙于朔 遹篤其慶 肇我王迹
「독경」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면, 세종대에 만들어진 「독경」은 남려·황종·태주·고선·임종의 다섯 음으로 이루어진 5음음계를 사용하며, 선법은 남려가 중심음인 남려궁 계면조의 음악이며, 제 1대강에서 음악이 시작된다. 박(拍)은 악장의 각 구에 한 번씩 들어가며, 박 넷을 합하여 하나의 리듬형을 이룬다. 세종대 「독경」의 리듬형은 32정간 8행에 ‘고요편고쌍편고(拍) 편고쌍편고요편(拍) 쌍편고요편고쌍(拍) 고요편고고편쌍고(拍)’이며, 전체 32정간 24행의 길이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이러한 패턴을 3회 반복한다. 종지 선율을 보면, 악장의 마지막 구인 ‘명우동국(命于東國)’에 ‘고선-태주-태주-황종-남려’의 선율을 배정함으로써 중심음인 남려음을 향해 하행종지하였다.
이에 비해 세조대에 새롭게 올려진 「독경」은 세종대의 것에서 악장만 취하였을 뿐, 선율은 전혀 연관성이 없다. 그 이유는 세조대의 「독경」은 보태평에서 목조를 칭송하는 곡인 기명의 선율을 취하여 올렸기 때문이다. 즉, 황종궁 평조의 기명을 황종궁 계면조로 변조한 것으로, 세조대의 악보인 오음약보 즉, 궁상하일이지보로 기보한 것을 보면, 두 악보가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악보로는 같은 악보로 보이지만, 선법이 평조와 계면조로 다르기 때문에 실제 음악은 다르게 된다. 오음악보 즉, 궁상하일이지보의 각 음이 평조 계면조에서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독경」의 리듬형을 살펴보면, ‘고요편고쌍편고(拍) 편고쌍편고요편(拍) 쌍편고요편고쌍(拍) 고요편편고편쌍고(拍)’로 역시 보태평의 기명과 동일하며, 이러한 장단형을 한 번만 연주한다. 박은 악장의 매 구마다 한 번씩 들어가며, 16정간 1행에 악장의 글자 하나씩을 배치한 것 역시 같다. 그러나 현행에 와서는 각 구에 박이 한 번씩 들어가는 것 외에는 규칙적인 리듬형을 찾아볼 수 없다.
보태평의 기명이 ‘하사-하삼-하이-하삼-하사-하오’, 즉 ‘태주-중려-임종-중려-태주-황종’의 선율로 종지하는 것처럼, 정대업의 「독경」 역시 악장의 마지막 두 글자인 ‘왕적(王迹)’에 ‘하사-하삼-하이-하삼-하사-하오’, 즉 ‘협종-중려-임종-중려-협종-황종’의 선율을 놓고 있기 때문에 하3에서 하5로 순차적으로 내려오면서 종지하는 모습은 동일하다.
현재 정대업을 반복해서 연주할 경우, 인출장인 영관과 인입장인 소무를 건너뛰어 독경부터 연주한다. 관악기들은 간음을 연주하며, 태평소는 사용하지 않는다.
의의와 평가
「독경」은 비록 세조대에 만들어진 곡이나, 그 기원은 세종대이다. 세종대에 만들어진 곡을 청황종으로 이조(移調)시켜 만든 곡이므로, 세종대의 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독경」을 통해 세종대의 음악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 『대악후보(大樂後譜)』
- 『시용무보(時用舞譜)』
- 김기수, 『국악전집 8 종묘제례악』, 국립국악원, 1980.
- 리은표, 『宗廟大祭笏記解說』, 全州李氏大同宗約院, 1975.
- 문화재관리국, 『중요무형문화재해설 음악편』, 문화공보부 문화재관리국, 1985.
- 문화재청, 『종묘제례· 종묘제례악』, 문화재청 무형문화재과, 2001.
- 성경린·장사훈, 『무형문화재조사보고서 제3호 종묘제례악』, 문화재관리국, 1964.
- 장사훈, 『최신국악총론』, 세광음악출판사, 198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9.
- 정연숙, 「종묘제례악의 간음(間音)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