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牘)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전기 궁중 의식에서 무무(武舞)를 춤출 때 그 주위에 놓았던 의물(儀物)의 하나.

개설

독(牘)은 조선전기에 궁중의 제례와 회례연(會禮宴)에 수반되었던 무무의 주위에 놓였다. 진고(晉鼓)를 치는 소리에 맞추어, 두 손으로 독을 잡고 땅을 다지듯 바닥에 내려 찧는 방식으로 연주하였다. 독은 춤을 절제하는 기능이 있다고 『주례도(周禮圖)』정사농의 주[註釋]에 밝혀져 있다.

연원 및 변천

독에 관한 기록은 조선초기 세종대부터 찾아볼 수 있다. 세종대의 경우 궁중에서 각종 제사를 올릴 때 수반되었던 춤과, 회례연을 거행할 때 추는 춤의 하나인 무무에서 사용되었다. 독은 춤추는 사람의 주변에 놓이는 의물의 하나였다. 제례 의식에서는 한 개, 회례연에서는 두 개가 쓰였다. 즉 사직 제례의 춤 대열에서는 동쪽에 한 개, 종묘·풍운뢰우·선농·선잠·우사·문묘 제례의 춤 대열에서는 서쪽에 한 개가 설치되었다. 회례연에서는 무무의 동쪽과 서쪽에 각각 한 개씩 합이 두 개 진설되었다[『세종실록』 오례 길례 서례 악현도] [『세종실록』 오례 가례 서례 악현도].

『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와 『악학궤범(樂學軌範)』에 의하면 성종대에는 풍운뢰우·선농·선잠·우사·문묘 제례의 무무에만 독이 진설되어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성종대에는 종묘제례와 회례연의 무무 주위에 독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세종대와 차별된다.

형태

초[燭]와 비슷한 모습이다. 대나무를 주재료로 삼았다. 『악학궤범』에 의하면 성종대에 사용된 독의 치수 전체 길이 5자 7치 2푼, 위 끝에서 구멍까지 8치 5푼, 두 구멍의 지름 2치 5푼이다.

한편 중국 문헌인 『문헌통고(文獻通考)』에는 독의 재료, 치수, 모습에 대해 묘사해놓았다. 그에 따르면 독은 대나무로 만들며, 크기는 5치이고 긴 것은 7자이며 짧은 것은 3자인데, 속이 비어 통(筩)과 같으며 밑바닥이 없고, 그 끝에 두 구멍이 있으며 검붉은 색으로 그림을 그린다고 한다.

300px

참고문헌

  • 『주례도(周禮圖)』
  • 『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
  • 『악학궤범(樂學軌範)』
  •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通考)』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