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중삭(慢中數)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전통음악에서 음악의 속도를 나타내는 말.

개설

만중삭(慢中數)은 음악의 속도에 따른 용어로 일(一)·이(二)·삼(三), 만(慢)·평(平)·삭(數), 만기(慢機)·중기(中機)·급기(急機), 혹은 일기(一機)·이기(二機)·삼기(三機) 등으로 표기된다. 이러한 것을 전통음악에서는 세틀 형식 또는 삼기형식(三機形式)이라고 한다.

내용 및 특징

‘만’은 속도가 가장 느리기 때문에 느린 박을 복잡한 가락으로 메워주며, ‘중(中)’은 ‘만’과 ‘삭’의 중간 속도로 가락의 변화 없이 속도만 조금 빨라진다. 마지막 ‘삭’은 삼기 중 가장 빠른 속도이기 때문에, 곡을 빠르게 하기 위해 장식음은 덜어주지만 골격 가락은 유지하면서 연주한다. 이와 같은 세틀 형식은 아악·당악에는 없고 「정과정(鄭瓜亭)」·「진작(眞勺)」·「정읍(井邑)」·「동동(動動)」·「만전춘(滿殿春)」·「처용가(處容歌)」등의 고려가요 같은 향악에만 있다. 때문에 이를 향악의 한 형식이라 할 수 있다.

변천

만중삭은 고려 때부터 쓰이던 용어로 음악의 속도와 관련이 있다. 만중삭이란 용어가 나타나는 문헌은 『악학궤범』·『경국대전』·『대동운부군옥』 등이며, 악보로는 『세종실록』 악보, 『대악후보』, 『시용향악보』, 『양금신보(洋琴新譜)』 등이다.

『경국대전』악공(樂工)향악(鄕樂)취재(取才)조에 의하면, 삼진작보(三眞勺譜)·진작 사기(四機)·봉황음(鳳凰吟) 삼기(三機)·치화평(致和平) 삼기(三機)·정과정 삼기(三機)·정읍 이기(二機)의 이름이 보인다. 또한 『악학궤범』 시용향악정재도의(時用鄕樂呈才圖儀)의 내용 가운데 아박무(牙拍舞)에서는 동동 만기·동동 중기, 무고(舞鼓) 춤에는 정읍 만기·정읍 중기·정읍 급기, 학연화대처용무합설(鶴蓮花臺處容舞合設) 중 전도(前度) 처용무에서는 처용 만기 즉 봉황음 일기·봉황음 중기·봉황음 급기의 이름이 보인다.

『양금신보』에서도 “지금 쓰이고 있는 대엽(大葉)의 만·중·삭은 모두 과정(瓜亭) 삼기곡(三機曲) 중에서 나온 것이다.”라는 기록이 나타나 있다.

T00001933 01.PNG

표에 의하면, 만·중·삭, 만·평·삭, 일·이·삼, 일기·이기·삼기, 만기·중기·급기 등 사용 용어는 다르지만, 내용은 같다.

『대동운부군옥』은, “악부(樂府)의 진작에는 일(一)·이(二)·삼(三)·사(四)가 있는데, 이는 그 소리의 느리고 빠른 장단을 말한다. 일의 진작은 가장 느리고, 이·삼·사로 내려가면서 여기에 버금한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세종실록』·『대악후보』·『양금신보』 등 고악보에 전하는 악곡에 나타나는 만중삭의 특징은, 느리고 빠른 속도뿐 아니라 가락의 복잡하고 성김에도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요컨대 만은 가장 느리고 가락이 복잡하고, 중은 빨라지면서 가락이 조금 단순해지고, 삭은 더 빨라지면서 가락이 많이 단순해진다.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악학궤범(樂學軌範)』
  • 『대동운부군옥(大東韻府群玉)』
  •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
  • 『양금신보(洋琴新譜)』
  • 『대악후보(大樂後譜)』
  • 장사훈. 『최신 국악총론』, 세광음악출판사,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