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거(磬虡)
sillokwiki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경거 |
한글표제 | 경거 |
한자표제 | 磬虡 |
상위어 | 악기(樂器) |
분야 | 문화/예술/음악 |
유형 | 물품·도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조선 |
집필자 | 이정희 |
용도 | 악기틀의 부속품 |
재질 | 나무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경거(磬虡) |
경(磬)을 걸어놓고 연주하기 위해 사용한 악기틀[架子].
개설
특경(特磬)이나 편경(編磬)처럼 하나 혹은 여러 개의 경돌을 걸어놓고 연주하기 위해 쓰이는 악기틀을 칭한다.
형태
경거(磬簴)는 네모 모양을 기본으로, 윗부분은 아치 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위에 목공작이 얹혀 있다. 봉황 머리 모양[鳳頭]으로 장식한 후 꿩꼬리[雉尾]를 7층으로 늘어뜨렸고, 오리나 기러기 모양의 밑받침으로 활용되고 있다.
『악학궤범(樂學軌範)』에 의하면 이년목(二年木), 가래나무[楸木], 상수리나무[橡木]를 경거의 재료로 삼았다고 한다. 그러나 봉황 머리 모양으로 장식된 부분, 밑받침으로 만든 오리나 기러기 모양의 조각상은 유자나무[椵木]로 제작하였다고 한다.
『세종실록』 「오례」, 『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 『악학궤범』에는 공통적으로 『주례도(周禮圖)』에 기록된 경거 관련 내용을 동일하게 소개해놓았다. 즉 『주례도』에 경거는 깃[羽] 종류로 장식하는데 뾰족한 부리[銳啄]·째진 입술[決吻]·촘촘한 눈[數目]·기다란 목[顅脰]·작은 몸체[小體]·위로 쳐진 배[騫腹]와 같은 것이며, 그 소리가 맑고 드날리면서 멀리 들린다면 경에 적당하다고 기록되어 있다[『세종실록』 오례 길례 서례 악기도설 경거]. 이렇게 경거를 깃으로 장식했다는 『주례도』의 내용은 꿩꼬리를 늘어뜨렸던 조선시대의 경거와 연계된다. 조선시대 경거의 형태와 제도는 변화되지 않은 채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주례도(周禮圖)』
- 『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
- 『악학궤범(樂學軌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