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角)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군영에서 사용한 지휘·통신용 관악기.

개설

각(角)은 고대부터 지휘·통신에 사용한 단음(單音) 관악기이다. 각은 크기에 따라 대각(大角)·중각(中角)·소각(小角)의 세 종류가 있으며, 제작 재료는 뿔[角]·나무[木]·은(銀)·동(銅) 등이다. 은으로 만든 대각의 용도에 관한 특별한 설명이 없고, 나무로 만든 대각은 군영의 훈련과 궁중의 제향에 사용하였다. 조선전기에는 대각·중각·소각과 같이 크기별로 구분하여 사용하였으나, 조선후기에는 동대각·목대각과 같이 재료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했다. 각 연주자를 고려시대에는 취각군, 조선초기에는 취각(吹角) 혹은 취라치[吹螺赤]라고 했다. 조선초기에 각으로 하는 신호에는 영(令)·전(戰)·촉(促)·보(報)의 네 종류가 있었다. 영은 대각으로 하는 신호이고, 전은 소각으로 하는 신호이며, 촉은 대각으로 하는 것과 소각으로 하는 것이 있는데, 대각의 촉은 진퇴(進退)에 쓰고, 소각의 촉은 교전(交戰)에 썼다. 보는 대장이 명령[令]하지 않았는데 각 위(衛)가 스스로 전각(戰角)을 부는 것을 말한다. 조선후기에는 북과 함께 야간에 순라군(巡邏軍)의 출동을 명령하는 신호로 사용하거나 대열의(大閱儀)에서 각 영(營)의 대장을 불러 일어나 오고 물러나는 명령을 할 때 사용했다. 각을 한글로 쥬라라고 하는데, 발라(哱囉)를 쥬라라고도 했다. 각은 현재 일부 지역에서 농악을 연주하는 향토 악기로 전승되고 있다.

각은 단음 악기이므로 음악적으로 별다른 의미를 가지기 어렵다. 그러나 군영의 훈련에 주요하게 사용된 악기이므로 군영의 음악과 관련이 있고, 노부에 빠지지 않고 진설된 점에서 행악을 연주하는 악대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이외 각 계통의 악기에 발라가 있는데, 붉은색 관악기인 점, 쥬라로 불린 점, 대각과 용도가 같은 점 등이 각과 동일하다.

연원 및 변천

고구려·백제·신라에서 고취악의 연주에 각을 사용한 기록이 있다. 그럼에도 삼현삼죽(三絃三竹)과 같이 역사적 정통성을 가진 향악기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이 악기가 특수 용도에 쓰였음을 의미한다. 고려시대에는 의종대에 의위(儀衛)와 노부(鹵簿)를 상정함에 따라 여기에 각이 포함되었고, 각 연주자를 취각군이라 했다. 취각군은 취라군과 함께 군영 악대로서 행악 연주에 주요한 역할을 했다. 조선전기에는 군영에 각 연주자인 취라치가 있었고, 군사의 좌작진퇴(坐作進退)의 절도를 질서 정연하게 하거나 노부 행렬에서 각을 연주하는 연주 집단을 취각이라 했다. 취각은 대가노부·소가노부·법가노부에 각각 4대씩 배설되는데, 대가노부와 법가노부에는 네 명으로 구성된 취각 연주 집단이 3대, 여섯 명으로 구성된 취각 집단이 1대, 모두 4대의 취각이 배설되었다. 소가노부는 취각이 4대인 것은 대가·법가와 같으나, 규모면에서 2명씩 감소되었다. 대각과 소각은 형명과 노부에 사용했고, 중각은 노부에만 사용하였다. 이외에 조선전기에는 각이 종묘제례 일무와 향악정재 「정대업」 의물로도 사용하였다. 조선후기에는 취각 대신 취고수가 성립되었고, 각도 동대각과 목대각의 두 종류를 사용했다. 이와 같이 군영에서는 각을 꾸준히 사용하였으나, 향악정재 「정대업」 정재 의물로는 언제까지 사용하였는지 분명하지 않다. 1895년 군영이 해체된 이후 목대각은 민간으로 전승되었고, 동대각은 나발로 흡수되었다.

형태

각은 오랫동안 전승되는 동안 동일한 형태를 유지한 것이 아니라, 여러 차례 변화과정을 거쳤다. 고구려시대 각의 형태는 벽화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대부분 길게 구부러진 형태이고, 재료는 뿔로 보인다. 조선초기의 대각은 대구(大口, [bell])가 짧고 둥근 형태이다. 각의 색은 붉은색과 검은색의 두 종류가 있는데, 붉은색은 제향에 사용했다. 소각의 대구는 황동이나 소뿔로 만들지만, 자루는 나무로 만들고 주칠(朱漆)을 했다.

생활·민속 관련 사항

나무로 만든 각과 발라는 민간으로 전승되었고, 명칭으로 분류하면 각 계통과 고동(告東)의 두 종류가 있다. 각 계통의 명칭으로는 영각·농각·땡각·목덩강 등이 있다. 부산 인근 수영에서는 영각, 동래에서는 농각이라 하고, 대구 인근 고산에서는 땡각 또는 목덩강이라고 한다.

고동은 농촌 지역에서 두레 작업을 할 때 신호용으로 쓰이다가 최근에는 농악이나 농청놀이 등에 쓰인다. 경상북도 청도 차산에서는 고동, 마산에서는 죽고동 또는 목고동이라고도 한다.

참고문헌

  • 이숙희, 『조선후기 군영악대 취고수·세악수·내취』, 태학사, 2007.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