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고(雷鼓)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뇌고 |
한글표제 | 뇌고 |
한자표제 | 雷鼓 |
상위어 | 악기(樂器) |
관련어 | 천신제(天神祭) |
분야 | 문화/예술/음악 |
유형 | 물품·도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조선 |
집필자 | 이정희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뇌고(雷鼓)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종실록』 12년 2월 19일 |
제례악을 연주할 때 사용된 북.
개설
뇌고(雷鼓)는 조선시대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천신제(天神祭)에 사용했던 북이다.
연원 및 변천
뇌고는 1116년(고려 예종 11) 중국 송나라에서 대성아악(大晟雅樂)이 전래될 때 유입된 악기 목록에 없으며 고려시대에 사용된 예가 드러나지 않는다. 조선 세종대부터 구체적인 용례가 나타나며 대한제국기까지 지속적으로 활용되었다. 풍운뢰우제(風雲雷雨祭)와 산천성황제(山川城隍祭) 같은 천신에 올리는 제사 때 뇌도(雷鼗)와 함께 진설되어 제례악을 연주하였고, 고종황제 즉위 이후에는 원구제가 시행되면서 원구 궁가(宮架)에 편성되어 원구제례악을 연주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뇌고는 하늘 제사에만 사용된 악기였는데, 그 이유는 우레[雷]가 하늘의 소리라는 맥락 때문이었다.
또한 뇌고는 북면의 수, 색채, 재료에서도 하늘을 상징하고 있다. 뇌고의 북면은 6면인데, 천신제의 강신악(降神樂)을 여섯 번 반복 연주하는[六變] 것과 통한다. 북에 검은 칠을 한 이유도 하늘을 검다[玄]고 보는 생각을 반영한 것이다. 뇌고 제작 때 말가죽을 사용하는데, 건(乾)이 말[馬]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형태
뇌고의 형태는 한 면만 쳐서 연주할 수 있는 원추형의 북 6개를 달아놓은 모습이다. 그러나 『세종실록』「오례』의 뇌고는 양면을 칠 수 있는 북 4개가 그려져 있다. 이는 처음에는 정강성(鄭康成)의 설에 따라 뇌고가 8면으로 제작되었으나 세종 중기에 진양의 설에 따라 6면으로 제작할 것을 주장한 박연의 건의가 채택되어(『세종실록』 12년 2월 19일), 6면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이다. 즉, 『세종실록』「오례」 길례서례(吉禮序例)에는 박연의 건의 이전에 제작된 것이 실려 있는 것이다.
성종대의『악학궤범』에 기록된 뇌고의 치수는 가죽면 지름 각각 1자, 통 길이 각각 1자 2치 7푼이다. 뇌고는 헌가에 진설되어 진고(晉鼓)와 동시에 치는 방식으로 연주하였다.
참고문헌
- 『주례(周禮)』
- 『악서(樂書)』
- 『악학궤범(樂學軌範)』
- 『춘관통고(春官通考)』
- 『대한예전(大韓禮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