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초기 군령(軍令)과 군정(軍政) 등을 총괄하던 관서.

개설

고려말기인 1391년(고려 공양왕 3) 이성계 세력은 병권을 장악하고 관리하기 위해 종래의 오군체제를 삼군체제로 바꾸면서 삼군도총제부(三軍都摠制府)를 설치했다. 이를 조선 건국 후 1393년(태조 2) 9월에 개칭한 것이 바로 의흥삼군부이다.

의흥삼군부가 설치되면서 태조의 친위 부대인 의흥친군위(義興親軍衛)의 좌·우위와 고려시대 이래 2군 6위의 8위를 합쳐 3군 10위를 통솔하도록 조치했다. 또한 고려 이래 상장군·대장군의 회의처였던 중방(重房)을 폐지하면서 의흥삼군부를 군령과 군정을 총괄하는 중추 기관으로 격상시켰다.

의흥삼군부는 설치 당시 10위를 중·좌·우의 3군으로 나누고 각 군마다 종친·대신들을 절제사로 임명해 이들을 통솔하도록 했다. 아울러 중앙군 이외에도 각 도의 상번 군사로 편제된 시위패(侍衛牌)를 소속시켰다.

의흥삼군부가 군사 최고기관의 역할을 하게 된 것은 정도전(鄭道傳)이 판사에 임명되어 직책을 수행하면서부터였다. 하지만 의흥삼군부는 자체적으로 군사력을 거의 보유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10위가 통솔을 맡을 뿐, 사병(私兵)이 혁파되기 전까지 삼군은 사실상 각 절제사에 영속(領屬)되어 있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의흥삼군부는 설치 당시 10위를 중·좌·우의 3군으로 나누고 각 군마다 종친·대신들을 절제사로 임명해 이들을 통솔하도록 했다. 아울러 중앙군 이외에도 각 도의 상번 군사로 편제된 시위패(侍衛牌)를 소속시켰다.

의흥삼군부가 군사 최고기관의 역할을 하게 되었던 것은 정도전이 판의흥삼군부사에 임명되어 직책을 수행하면서부터였다. 하지만 의흥삼군부는 자체적으로 군사력을 거의 보유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10위가 통솔을 맡을 뿐, 사병이 혁파되기 전까지 삼군은 사실상 각 절제사에 영속되어 있었다.

따라서 의흥삼군부는 처음에 최고의 군령·군정기관이라고는 했지만 실제로는 중앙군을 이루는 무반(武班) 군사들을 통할하는 데 불과했다. 소속 기관으로는 진무소(鎭撫所)와 사인소(舍人所)가 있었다.

의흥삼군부는 본래 10위를 통솔하는 한편, 번상 숙위하는 각 도 주군(州郡)의 병사인 시위패를 진무소에 소속시켜 두었다. 이러한 제도는 절제사들과 사적 영속 관계에 있던 시위패를 규제하려는 목적이 반영된 조치였다. 하지만 사병 혁파 이전의 목표로 제시되었을 뿐 실제 효과는 크지 않았다. 한편 사인소를 설치했던 것은 대소양반의 자제 및 사위·조카 등을 선발해 경사(經史)·율문(律文)·산수(算數)·사어(射御) 등을 가르쳐 숙위에 충당하고자 했기 때문이었다. 아울러 이들의 자질에 따라 무장으로 발탁하여 등용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

이후 정종대 의흥삼군부가 삼군부로 개칭되고 기능이 점차 확대되면서 고려 이래의 제도를 본받아 군기(軍機)·군정·숙위·경비 등의 업무를 모두 총괄하게 되었다. 의흥삼군부의 기능이 강화되고 확대됨에 따라 건국 당시 군사 기능을 담당했던 중추원(中樞院)은 사실상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

변천

1393년(태조 2) 조정에서는 삼군총제부를 고쳐 의흥삼군부로 삼고, 중방을 폐지했다(『태조실록』 2년 9월 14일). 이 조치를 통해 역사 기록에 최초로 의흥삼군부의 이름이 나타나게 된다. 1400년(정종 2) 도평의사사(都評議使司)를 의정부로 고치면서 중추원에서 관장하던 군무의 일부를 흡수하면서 의흥삼군부를 삼군부로 개칭했다. 아울러 삼군 직임을 맡은 자는 오로지 삼군에만 나아가게 하고, 의정부에는 참예하지 못하도록 결정했다(『정종실록』 2년 4월 6일). 하지만 태종대까지도 삼군부란 명칭만 사용한 것이 아니라 의흥삼군부란 명칭을 함께 사용하고 있었다.

태종은 즉위 후 하륜(河崙)에게 관제 개편 임무를 맡겨 의흥삼군부를 다시 승추부(承樞府)로 개칭했다. 그리고 조영무(趙英茂)를 판승추부사로 임명했다(『태종실록』 1년 7월 13일).

1409년(태종 9) 병조에 집중되어 있던 군사 업무를 분산시키기 위해 삼군진무소(三軍鎭撫所)를 최고 군령기관으로 새로 설치하고 군사를 지휘하게 했다. 그러나 다시 의흥부로 고쳐 군정은 병조가, 군령은 의흥부가 담당하도록 했다. 1412년 7월 의흥부가 다시 혁파되고 군령·군정권이 병조로 넘어갔으나 1414년을 전후로 진무소가 다시 부설되었다. 결국 세조대에 이르러 중앙 군제가 오위(五衛)에 기반한 오위도총제(五衛都摠制) 체제로 개편되면서 사라지게 되었다.

참고문헌

  • 윤훈표, 『麗末鮮初 軍制改革硏究』, 혜안, 2000.
  • 한충희, 『朝鮮初期 官衙硏究』, 국학자료원, 2007.
  • 박옥걸, 「朝鮮前期 國防體制의 성격에 대하여」, 『白山學報』45, 백산학회, 1995.
  • 한충희, 「朝鮮初(태조 2년~태종 1년) 義興三軍府 硏究」, 『啓明史學』5, 계명사학회, 1994.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