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맥(氣脈)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기맥 |
한글표제 | 기맥 |
한자표제 | 氣脈 |
관련어 | 맥(脈), 용(龍), 용맥(龍脈), 지맥(地脈) |
분야 | 생활·풍속/풍수 |
유형 | 개념용어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김두규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기맥(氣脈) |
산의 정기가 흘러가는 맥.
개설
기맥, 지맥(地脈), 맥(脈), 용(龍), 용맥(龍脈), 산 능선 등과 같은 용어들은 풍수에서 정확하게 구분되어 정의된 개념이 아니다. 풍수서와 풍수학인마다 동일한 사물에 대해 다른 명칭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정하게 약속된 개념 정의가 없다. 다만 지기(地氣)가 흐르는 맥이라는 데에서는 모두 동의한다. 지맥을 따라 흐르는 지기의 강약, 대소, 청탁 등은 다를 수밖에 없는데, 이 역시 풍수서마다 다른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내용 및 특징
조선조 지관 선발 고시과목 가운데에서는 『탁옥부(琢玉賦)』, 『명산론(明山論)』, 『감룡경(撼龍經)』, 『의룡경(疑龍經)』이 기맥이란 용어를 보통명사로 사용한다. 지기가 흐르는 맥이라는 의미의 지맥 혹은 용맥 혹은 용(龍)으로 표현할 수 있다.
용과 맥의 구분 시도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명확하게 구분하기란 어렵다. 또한 조선조 지관 선발고시 과목에서는 이와 같은 개념 정의보다는 기맥을 담지하는 것을 용으로 보고, 그 용의 종류를 세분화하여 기맥이 어떠한가를 설명한다.
『명산론』에서는 용을 다음과 같이 열두 가지, 즉 생룡(生龍), 복룡(福龍), 응룡(應龍), 읍룡(揖龍), 왕룡(枉龍), 살룡(殺龍), 귀룡(鬼龍), 겁룡(劫龍), 유룡(遊龍), 병룡(病龍), 사룡(死龍), 절룡(絶龍)으로 분류한다. 이 가운데 네 가지 용은 좋은 기맥이 흐르는 용으로 보고, 나머지 8개는 나쁜 기맥이 흐르는 것으로 본다. 조종산(祖宗山)에서 출발하여 크게 엎드리고, 작게 솟고, 살아 있는 뱀이 물을 가르는 것과 같고, 딱따구리가 공중을 나는 것같이 하면서, 입수(入首)가 단정하고, 안산이 분명하면 이것을 생룡이라고 하여 좋은 기맥이 흐르는 것으로 보았다. 반면에 산 능선의 좌우가 뾰족뾰족하고 날카로운 것을 살룡이라 하여 나쁜 기맥이 흐르는 것으로 보았다.
변천
기맥, 용맥, 지맥, 용 등의 용어가 풍수 서적마다 풍수학인마다 혼용되어 사용해 왔으며, 특히 조선초기에 기맥이란 용어가 풍수에서 많이 언급된다. 후기에 들어서는 인체의 기맥이나 문학적 비유어로 활용되는 경향을 보인다.
참고문헌
- 『동림조담(洞林照膽)』
- 『지리정종(地理正宗)』
- 『탁옥부(琢玉賦)』
- 서선계·서선술 저, 김동규 역, 『인자수지』, 불교출판사, 1989.
- 양균송 저·김두규 교감역주, 『감룡경·의룡경』, 비봉출판사, 2009.
- 채성우 저·김두규 역해, 『명산론』, 비봉출판사, 2002.
- 村山智順 저·최길성 역, 『조선의 풍수』, 민음사, 1990.
- 최창조 역주, 『청오경·금낭경』, 민음사, 1993.
- 최창조, 『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1984.
- 호순신 저·김두규 역해, 『지리신법』, 비봉출판사,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