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奏議)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정에서 신하가 정무에 관해 아뢰는 공문.

개설

주의(奏議)에는 여러 형식이 있지만, 체제는 동일하다. 전국시대에는 신하가 왕에게 올리는 글을 상서(上書)라고 하였다. 진(秦)나라 때는 상서를 주(奏)라고 불렀으며, 한나라 때는 장(章)·주(奏)·표(表)·의(議)의 네 종류로 구분하였다. ‘장’은 은혜에 감사할 때, ‘주’는 죄과를 고발할 때, ‘표’는 어떤 사실을 진술하고 청구할 때, ‘의’는 다른 의견을 내세우고 논박할 때 사용했다. 한나라 이후에는 상서·장·주·표·의 이외에 소(疏)·서(書)·봉사(封事)·찰자(札子)·탄사(彈事)·전(牋)·대책(對策) 등이 생겨났다. 상소의 종류들을 묶어서 주장(奏章), 장표(章表), 주소(奏疏)라고 부르기도 한다.

내용 및 특징

주의체 산문의 주요 형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장(章)은 장(章)·표(表)·주(奏)·기(記)의 총칭으로, 제왕에게 감사의 뜻을 표시하는 글을 가리킨다. 표(表)는 일의 단서를 밝혀 윗사람에게 고하는 글이다. 후한 때 성행했다. 진나라의 이밀(李密)이 「진정표(陳情表)」를 지은 이래, 표는 주장(奏章)의 일종이 되었다. 당송시대 이후로는 논사(論事)·청권(請勸)·경하(慶賀)·천거(薦擧)·사면(辭免)·공물(貢物) 등에도 사용했다. 조선시대 사역원(司譯院)의 연혁과 중국 및 일본과의 외교 관계를 기록한 『통문관지(通文館志)』에는 신년을 축하하기 위해 중국 황제에게 보낸 「정조하표(正朝賀表)」의 형식이 실려 있다. 장과 표는 모두 한나라와 진(晉)나라 때는 산문으로 지었으나, 당나라와 송나라 때는 변려문으로 지었다.

주(奏)는 신하가 제왕에게 올리는 고장(告狀)을 말한다. 위진시대 이후로는 정무의 진술·간언·가송·예학 의론을 모두 주라고 하였다. 한나라 때는 상소(上疏)·주서(奏書)·상주(上奏)라고도 불렀다. 후세에는 주장(奏章)을 총칭하는 말로 쓰이기도 하여, 그로부터 주의(奏議)·주장(奏狀)·주전(奏牋)·주장(奏章)·주찰(奏札)·주소(奏疏)·주본(奏本) 등의 명칭이 파생되었다. 의(議)는 정치를 토의하고 대책을 세우는 것이다. 특별히 어떤 일에 대해 상이한 의견을 표시하는 반박 논문을 박의(駁議)라고 한다.

대(對)는 왕의 질문에 응하여 신하가 대답하는 글이다. 그 가운데 대책(對策)조서(詔書)의 순문(詢問)에 대답하여 정견을 진술하는 것이다. 과거 시험에서는 시책(試策)을 이용했다. 상서(上書)는 신하가 제왕에게 올리는 의견서를 말한다. 소(疏)는 조목을 나누어 진술한다는 뜻으로, 한나라 때 문체로 확립되었다. 차자(箚子)는 찰자(札子)라고도 한다. 봉사(封事)는 제왕에게 올리는 주장을 가리키는데, 검은 주머니에 밀봉했기 때문에 그렇게 부른다. 탄사(彈事)는 주탄(奏彈)이라고도 하는데, 마치 탄환으로 새를 맞추듯이 죄악을 탄핵한다는 뜻이다.

변천

고려시대에는 인종 때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지어 바치면서 「진삼국사표(進三國史表)」도 함께 올렸는데, 이 글은 진서표(進書表)의 명문으로 손꼽힌다. 조선시대에도 주의체 산문을 매우 중시했다. 지식인들은 상소와 대책의 문체를 늘 사용했으므로 평소에 작법을 익혀 두었다. 상소문의 경우 당나라 때 위징(魏徵)이 지은 「간태종십사소(諫太宗十事疏)」를, 대책문의 경우 송나라 때 소식(蘇軾)이 지은 책문을 모범으로 삼았다. 조선 인조 때의 학자 이식(李植)은 「작문모범(作文模範)」에서, 육지(陸贄)와 주희(朱熹)의 주의(奏議)에 글을 통달한 뒤에야 조정(朝廷)의 상하 사령(辭令)에 관한 글을 지을 수 있다고 하였다. 성종 때의 문신 양성지(梁誠之)의 졸기에 따르면, 그는 자신이 올렸던 소장(疏章)을 모아 『남원군주의(南原君奏議)』를 간행했다고 한다(『성종실록』 13년 6월 11일). 중종 및 선조 연간에는 『전책정수(殿策精粹)』·『동인책선(東人策選)』·『동국장원책(東國壯元策)』·『책문(策文)』 등이 목활자로 제작되었으며, 중국에서도 대책을 모은 『속문범(續文範)』이 목판 인쇄되었다.

참고문헌

  • 심경호, 『한문산문의 미학』(개정증보), 고려대학교출판부, 2012.
  • 심경호, 「『續文範』 해제」, 『續文範卷之二』, 계명대학교출판부, 2009.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