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통성정(心統性情)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성리학에서 심이 성과 정을 포괄하거나 주재한다는 말.

개설

성리학에서 심(心), 성(性), 정(情)에 대한 관념은 심통성정(心統性情)으로 요약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심이 심의 본성인 성과 심의 작용인 정을 겸한다는 것인데, 이는 북송의 장재(張載)에 의해서 천명되었다. 장재는 성을 통체(統體)로서의 천지지성(天地之性)과 개별자로서의 기질지성(氣質之性)으로 구분하였다. 천지지성은 덕목으로는 인·의·예·지이며, 기질지성은 희·노·애·락·애·오·욕의 정이다. 심은 성과 정을 통섭하고 있기 때문에, 의지적 작용에 의해 칠정을 절도에 맞는 중절의 본연의 상태, 즉 천지지성이 드러나는 상태에 이르게 할 수 있다.

이처럼 심을 성정의 통섭이라고 하였던 장재의 견해에 대해 주희는 정이(程頤)의 ‘성즉리(性卽理)’와 함께 성리학에 공헌한 바가 가장 크다고 하였다. 성은 심의 체가 되고, 정은 심의 작용이 되기 때문에 심은 체용으로서 성정을 포괄한다고 이해한 것이다. 이에 성즉리는 심 활동의 본질 내지 법칙이 되는 것이다.

심통성정의 또 다른 중요한 의미는 심이 성정을 주재한다는 것, 즉 심이 성정을 통솔 관리한다는 것이다. 심의 미발 상태에도 지각이 어둡지 않은 것은 심이 성을 주재하기 때문이고, 심의 리발한 경우에도 품행이나 절도가 어긋나지 않는 것은 심이 정을 주재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내용 및 특징

조선에서 심통성정의 용어가 거론되기 시작한 것은 이황이 『성학십도』를 선조에게 올리면서부터이다. 『성학십도』가운데 여섯 번째가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였다(『선조수정실록』 1년 12월 1일). 이후 기대승이 「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는 정복심이 만든 것이나, 이황(李滉)이 중도(中圖)와 하도(下圖)에 온당치 않은 곳이 있어서 다시 고쳐 만들었다고 평하기도 하였다(『선조실록』 2년 6월 20일). 이후 효종 1년 경상도진사(進士)유직(柳稷) 등 900여 인이 성혼과 이이를 배척한 상소에서 이황의 심통성정도는 천명도(天命圖)와 함께 체(體)와 용(用), 현(顯)과 미(微)를 섬세하고도 극진하게 규명하였다고 주장하였다(『효종실록』 1년 2월 22일).

『조선왕조실록』의 기사에서 심통성정에 대해 가장 깊은 이해를 보인 인물은 정조이다. 정조는 명덕(明德)에 대해서 ‘허령(虛靈)’은 마음에 속하고, ‘모든 이치가 갖추어져 있다[具衆理]’는 성품에 속하며, ‘모든 일에 응한다[應萬事]’는 정(情)에 속하는 것으로서, 명덕에 대한 설명은 주자가 언급한 것처럼 장횡거의 심통성정의 학설이 가장 정밀하다고 평가하였다(『정조실록』 24년 3월 28일).

참고문헌

  • 한국사상연구회, 『조선유학의 개념들』, 예문서원, 2002.
  • 유교사전편찬위원회 편, 『유교대사전(儒敎大辭典)』, 박영사, 1990.
  • 陳來, 『朱子哲學硏究』, 中國: 華東師範大學,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