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행(五行)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우주만물을 유형화할 때 사용되는 다섯 가지 범주로 목·화·토·금·수를 지칭함.

개설

오행(五行)은 인간의 삶에 필수적인 조건이라는 점에서 상징화되어, 각각의 특유한 기(氣)가 우주 만물의 존재와 작용의 유래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여기서 ‘행(行)’은 ‘둘러싸다’, ‘돌아다닌다’는 의미이다. 서양의 4원소설이 그냥 원소 자체라면 오행은 목(木)·화(火)·토(士)·금(金)·수(水)의 다섯 가지 속성을 만들어내는 기의 작용으로 불 등의 원소와는 다르다. 이 용어는 『서경(書經)』「홍범(洪範)」에 처음 나오지만, 여기서는 단순히 고대 농경 문화에 필요한 요소로서 그 일반적인 성격을 언급한 정도였다. 이후 전국시대의 추연(鄒衍)은 오행이 일정한 법칙에 따라 순환한다고 생각하였다. 그는 고향 제나라에서 유행하던 음양과 오행에 관한 민간 신앙과 이론을 조합해 음양오행설이라는 철학 체계를 구축했다. 음양과 오행은 서로 보충하고 이뤄주는 관계로서, 음양은 오행의 작용으로 활발하게 되는 것이며, 오행의 상생(相生)과 상승(相勝)은 계속 돌고 도는 것이라고 하였다. 음양과 오행은 『주역』과 『서경』이라는 서로 다른 경전에서 유래한 개념이었으나, 자연의 원리를 추상화한 것이라는 공통점이 두 이론의 결합을 가능케 하였다. 따라서 만물은 음양과 오행의 작용에 의해서 생성되어진 것이라는 인식이 보편화되었으며, 계절·방위·색채 등의 갖가지 사물에 이를 배당시켰다. 이로 인해 음양의 변화를 다루는 역학에서는 한대 이후로 자연스럽게 오행을 함께 다루는 것이 일반화되었으며, 송나라 주돈이(周敦頤)의 『태극도설(太極圖說)』에서는 음양과 오행의 운행이 우주 만물의 기초임을 재확인하였다.

P00015185 01.PNG

P00015185 02.PNG

내용 및 특징

추연은 자연에 순응하는 것이 오덕상생(五德相生), 인사(人事)에서 일어나는 것이 오덕상승(五德相勝)이라고 규정하고, 오덕상생은 천시(天時)에, 오덕상승은 인사(人事)에 쓰인다고 하였다. 그 내용은 목(木)이 토(土)를, 금(金)이 목을, 화(火)가 금을, 수(水)가 화를, 토가 수를 이긴다는 것으로, 이것을 오행상승설(五行相勝說: 五行相剋說)이라고 하며, 목이 화를, 화가 토를, 토가 금을, 금이 수를 낳는 순서가 오행 상생의 관계이다. 또한 역대 왕조에 배당해서 그 변천의 순서를 체계화하였는데, 이것을 역사 법칙에까지 적용한 것이 오덕종시설(五德終始說)이다. 한대 이후 정착이 되어 중국의 전설적인 통치자로 전해지는 오제(五帝)도 뒤에 등장한 오행상생설(五行相生說)에 기초하여 그 계승이 설명되는데, 복희(伏羲: 木德), 신농(神農: 火德), 황제(皇帝: 土德), 소호(少皞: 金德), 전욱(顓頊: 水德)의 순이다. 이후 한나라의 동중서(董仲舒)를 비롯한 유학자들이 분서갱유 이후 유교를 재정립하면서 음양오행을 끌어들인 설명을 하였으며, 이는 유교의 국교화와 함께 동아시아 문화권에 오행 사상을 널리 퍼뜨리는 계기가 되었다.

T00015185 01.PNG

전한(前漢) 초기까지는 오행상승설이 성행했지만, 말기가 되면서 이러한 순환 관계에 대립하여 오행상생설(五行相生說)이 우세하게 되었다. 오행 이론은 근대 이전까지 동아시아 자연관의 전형적인 모델이 되었으며, 음악·미술·서예·건축·풍수·의학·병법 등 다방면에서 보편적인 문화 양식으로 정착되었다.

참고문헌

  • 김석진, 『주역전의대전역해』, 대유학당, 1996.
  • 고회민 지음, 신하령 외 옮김, 『상수역학』, 신지서원, 1994.
  • 廖名春 外, 『周易硏究史』, 湖南出版社, 1991.
  • 朱伯崑 外, 『周易知識通覽』, 齊魯書社, 1993.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