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학(吏學)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시대에 외교와 사대 업무와 관련한 지식을 가르치는 학문 분야.

개설

이학(吏學)은 1406년(태종 6)에 십학(十學)의 하나로 설치되었으며 승문원(承文院)에서 관장하였다.

내용 및 특징

이학은 십학의 하나로 고려말인 1390년(고려 공양왕 2)에 처음으로 설치하였다. 『고려사(高麗史)』「백관지(百官志)」에 따르면 예학(禮學)은 성균관, 악학(樂學)은 전의시(典儀寺), 병학(兵學)은 군후소(軍候所), 율학(律學)은 전법시(典法寺), 자학(字學)은 전교시(典校寺), 의학(醫學)은 전의시(典醫寺), 풍수음양학(風水陰陽學) 등은 서운관(書雲觀), 이학(吏學)은 사역원(司譯院)에 각각 속하였다.

조선을 건국하면서 십학에서 이학, 풍수음양학, 악학 등은 폐지하고 1393년(태조 2)에 육학(六學)을 설치하였다(『태조실록』 2년 10월 27일). 그러다가 1406년(태종 6)에 이학을 유학(儒學), 무학(武學), 역학(譯學), 음양풍수학(陰陽風水學), 의학, 자학, 율학, 산학(算學), 악학과 함께 십학의 하나로 설치하였다(『태종실록』 6년 11월 15일). 이학에 제조관(提調官)을 두고, 현직 관리와 산관(散官) 모두 4품 이하의 관직자로서 사중월(四仲月: 음력 2, 5, 8, 11월)에 고시(考試)하게 하여 출척(黜陟)의 증빙 자료로 삼게 하였다.

1418년(세종 즉위)에 이학 교육과 취재 실무를 담당할 인원을 추가 배치하였다. 제조를 보좌하는 참좌관(參佐官)으로 제거(提擧)와 별좌(別坐)을 두어 교육과 평가를 담당하였다(『세종실록』 즉위년 12월 17일). 1423년(세종 5)에는 이학제조가 2명으로 증가하였다(『세종실록』 5년 3월 24일). 그리고 1462년(세조 8)에 이학의 제조와 별좌를 폐지하면서 교육 업무를 승문원 당상관이 감독하도록 하였다(『세조실록』 8년 3월 21일).

우리나라에서는 사대하는 데 있어서 역학을 중시하여 개국 초부터 의관자제(衣冠子弟)를 뽑아서 이학을 익히도록 장려하였다. 전(前) 교리이변(李邊)은 문과에 급제하고도 오히려 이학을 즐겨하여 자기의 임무로 생각하고 책을 놓지 않아 사역원의 학생들이 모두 교훈 받기를 원하였다고 한다(『세종실록』 11년 9월 6일). 이학을 가르치기 위해 특명으로 상중(喪中)에도 벼슬을 시키기도 하였다.

1430년(세종 12)에 이학 취재에서 평가할 과목으로 『서경(書經)』, 『시경(詩經)』, 『사서(四書)』, 『노재대학(魯齋大學)』, 『직해소학(直解小學)』, 『성재효경(成齋孝經)』, 『소미통감(小微通鑑)』, 『전후한이학지남(前後漢吏學指南)』, 『충의직언(忠義直言)』, 『동자습대원통제(童子習大元通制)』, 『지정조격(至正條格)』, 『어제대고(御製大誥)』, 『박통사(朴通事)』, 『노걸대(老乞大)』, 『사대문서(事大文書)』, 『등록제술(謄錄製述)』, 『주본(奏本)』, 『계본(啓本)』, 『자문(咨文)』이 정해졌다(『세종실록』 12년 3월 18일). 이후 『경국대전』에서 이학과 자학이 빠지고 화학(畵學)과 도학(道學)이 신설되었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경국대전(經國大典)』
  • 『대전회통(大典會通)』
  • 이성무, 『한국 과거제도사』, 민음사, 1997.
  • 한우근 외, 『역주 경국대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5.
  • 김대식, 「조선 초 십학 제도의 설치와 변천」, 『아시아교육연구』12-3, 2011.
  • 이남희, 「조선후기 잡과교육의 변화와 특성」,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13-1, 2014.
  • 이성무, 「조선초기의 기술관과 그 지위」, 『혜암유홍렬박사 화갑기념사학논총』, 1971.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