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음(牙音)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훈민정음에서 ‘ㄱ, ㅋ, ㆁ’ 등 어금니에서 나는 소리를 이르는 말.

개설

아음(牙音)은 발음할 때 혀의 뒷부분이 놓이는 위치가 어금니가 있는 자리이기 때문에 붙은 이름으로, 원래 중국 음운학에서 성모(聲母)를 분류하는 오음(五音) 가운데 하나이다. 1443년(세종 25)에 창제된 훈민정음의 자음 17자 가운데 아음은 ‘ㄱ, ㅋ, ㆁ’ 등이다. 그러나 현대 국어에서는 ‘ㄱ, ㅋ, ㄲ’과 함께 ‘ㅇ’을 연구개음으로 분류한다.

내용 및 특징

아음은 혀의 뒷부분을 연구개에 접근시키거나 닿게 하여 폐에서 나오는 공기의 흐름을 막았다가 개방하면서 내는 소리이다. 아음의 창제자에는 ‘ㄱ, ㅋ, ㆁ’ 등이 있다. 이 중 기본자는 ‘ㄱ’인데, ‘ㄱ’은 혀의 뒷부분이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뜬 것이다. ‘ㅋ’은 ‘ㄱ’보다 소리가 세기 때문에 ‘ㄱ’에 획을 더하여 만들었다. 그러나 옛이응으로 불리는 ‘ㆁ’은 후음의 기본자인 ‘ㅇ’에 획을 더하여 만들었다. 이는 초성으로 사용될 때 그 소리가 ‘ㅇ’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조음 기관의 모양을 본떠 기본자를 만들고, 이를 바탕으로 조음 방법에 따라 획을 더하여 가획자(加劃字)를 만들었다. 그리고 기본자의 모양을 달리하여 이체자(異體字)를 만들었다.

300px

아음에 대한 언급이 『조선왕조실록』에 처음으로 등장하는 것은 15세기의 일이다. 『세종실록』에는 1446년(세종 28)에 완성된 『훈민정음』「어제(御製)」가 실려 있는데, 여기에 ‘ㄱ’은 아음이니 ‘군(君)’자의 첫 발성(發聲)과 같고, 가로로 나란히 붙여 쓰면 ‘규(虯)’자의 첫 발성과 같으며, ‘ㆁ’은 ‘업(業)’자의 첫 발성과 같다고 하여, 아음의 음가(音價)와 사용법이 기록되어 있다(『세종실록』 28년 9월 29일).

변천

현대 국어에서는 아음의 ‘ㆁ’이 문자 체계에서 사라지고, ‘ㄱ, ㅋ, ㄲ’과 ‘ㅇ’이 연구개음으로 분류된다. 연구개음은 혀의 뒷부분을 연구개에 접근시키거나 닿게 하여 내는 소리이다.

참고문헌

  • 강규선·황경수, 『훈민정음 연구』, 도서출판청운, 2006.
  • 강신항, 『수정증보 훈민정음연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3.
  • 김무림·김옥영, 『국어음운론』, 새문사, 2009.
  • 박병채, 『국어발달사』, 세영사, 1996.
  • 박창원, 『훈민정음』, 신구문화사, 200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