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통기국(理通氣局)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리의 보편성과 기의 국한성으로 성리학의 본체론과 현상론을 설명하는 이이의 핵심적 이론.

개설

이이(李珥)는 리(理)와 기(氣)의 개념적 차이에 의해 ‘리는 통하고 기는 국한된다’는 리통기국설을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 근저에는 ‘리는 무형(無形)이고 기는 유형(有形)이다’는 논지가 있다. 이이는 리통기국설을 가지고 서경덕(徐敬德)이 공간적으로 가득하고 시간적으로 생멸이 없다는 기론 즉 일기장존론(一氣長存論)을 비판한다. 이이에 의하면 기는 유형한 존재이므로 시공간적으로 국한된다는 것이다. 이이의 이 학설은 성리학을 한층 진보시켰다는 평을 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호학파 학인뿐만 아니라 영남학파 일부 학인들에게도 영향을 끼쳤다.

내용 및 특징

이이는 리와 기가 원래 서로 분리되지 않음을 강조한다. 이러한 강조는 리와 기가 하나의 존재로 보이게 된다. 이이는 이를 해소하기 위해 리와 기의 개념을 분명히 한다. 이이는 "리는 무형(無形)이고 기는 유형(有形)이며, 리는 무위(無爲)이고 기는 유위(有爲)이다."고 하면서 무형·무위하면서 유형·유위의 주재가 되는 것은 리이고 유형·유위하면서 무형·무위의 그릇이 되는 것은 기라고 하였다. 이이는 무형과 유형의 관점에서 ‘리는 통하고 기는 국한된다’는 리통기국설을 도출한다. 리통기국설은 노불(老佛)의 영향이라고 하기도 하나 주희(朱熹)의 리동기이설(理同氣異說)에 연원을 둔 것으로 보인다. 주희의 리동기이설은 정이(程頤)의 리일분수설에서 유래한다.

이이는 평소 생각하던 리통기국설을 성혼(成渾)의 서한을 받고 전하는데, 그 내용에는 서경덕(徐敬德)의 일기장존론(一氣長存論)을 부정하는 것이 있다. 때문에 서경덕의 일기장존론과 비교함으로써 더욱 분명해진다. 서경덕은 형이상과 형이하를 모두 기로 보면서 형이상을 선천(先天)으로, 형이하를 후천(後天)으로 여겼다. 서경덕의 이러한 일기장존설도 리와 기가 분리되지 않았다는 기본 전제에서 출발한다는 것이다.

이이 역시 리와 기의 서로 분리되지 않은 점을 강조하지만, 그가 말하는 리는 무형·무위하면서 유형·유위의 주재이고, 기는 유형·유위하면서 무형·무위의 그릇이다. 즉 리는 기의 주재(主宰)이고 기는 리를 담고 있는 그릇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리하여 이이는 서경덕은 기의 지극하고 오묘한 곳은 알았어도 리의 궁극성을 투철하지 못하였다고 평하였다. 특히 서경덕이 담일청허(湛一淸虛)한 묘(妙)에 대해 기가 ‘물(物)에 있지 아니함이 없다[無物不在]’고 생각한 것은 그 위에 리통기국의 이치가 있음을 간과한 것이라고 하였다.

리통기국설에 따르면, 리는 본래 선후도 없고 본말도 없지만 모든 존재에 있는 리 자체의 본연이기 때문에 리통(理通)이고, 기는 형적에 간섭되어 선후도 있고 본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청탁(淸濁)·후박(厚薄)·조박(糟粕) 등과 형태의 차이가 있고 편정(偏正)·승강(升降)·비양(飛揚) 등과 같은 작용이 있어 모든 사물이 다르게 드러나기 때문에 기국이다. 즉 리통은 본연지리의 통일성을 의미하고 기국은 유한한 형상과 질료의 다양성을 말하는 것이다.

즉 모난 그릇과 둥근 그릇은 서로 다르지만 그 속에 담겨진 물은 서로 같다는 비유를 들어 설명하는 바, 물은 그릇 모양에 따라 서로 차이가 있지만 실제로는 그릇의 형태에 따라 다르게 보일 뿐이지 물의 본연성은 전혀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이의 리통기국설은 기정진(奇正鎭)의 리일분수설과 임성주(任聖周)의 기일분수설(氣一分殊說)과 더불어 한국 성리학의 중요한 특징을 나타낸다.

변천

‘리통(理通)’이란 어휘가 보이기 시작한 것은 세종 때부터이다. 이 뜻은 ‘이치에 통하다’의 의미이다. 이와 연관된 어휘를 보면, ‘문리통(文理通)’·‘리통사생(理通死生)’·‘의리통창(義理通暢)’ 등이 있다. ‘문리통’은 ‘이치에 통하다’, 중종 때 보인 ‘리통사생’이란 말은 ‘이치가 사생에 통달하다’의 의미이고, 영조 때 보인 ‘의리통창(義理通暢)’이란 말은 ‘의리가 통달하여 펼쳐진다’의 의미이다. ‘기국(氣局)’이란 어휘가 보이기 시작한 것은 연산군 때부터이다. 이 뜻은 ‘기도(氣度)’와 같은 의미로, ‘기개와 도량’의 뜻이다. 숙종 때 보인 ‘지편기국(地褊氣局)’이란 말은 ‘지역이 치우치고 기질이 국한되다’의 의미로 전개되었다. 두 어휘는 성리학적 용어와 동떨어진 의미로 전개되었고, 성리학적 용어 쓰인 것 역시 단편적이다.

성리학적 용어로 등장한 것은 숙종대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이 이유 없이 무함(誣陷)을 당하는 것과 박성의(朴性義) 등의 상소를 분변하는 내용에서 보인다. 상소 가운데 이이(李珥)는 이황(李滉)의 정견(正見) 리기호발설(理氣互發說)을 하나의 잘못으로 여기고 성혼(成渾)과 논쟁하면서 "리(理)는 통하고 기(氣)는 국한되어 이기(理氣)가 서로 섞이지 못한다."는 하였다. 부응교(副應敎)송광연(宋光淵)교리(校理)이돈(李墩) 등은 이것이 바로 주염계(周濂溪)가 태극(太極)을 논한 학설과 주자가 육상산(陸象山)의 편지에 답한 것과 합치되는 것이어서, 의리(義理)로 강력하게 의논하고 명백하게 분별하여 지극히 당연한 데로 귀일하였다고 변론하였다(『숙종실록』 7년 9월 30일).

참고문헌

  • 『율곡전서(栗谷全書)』
  • 윤사순, 『한국유학사』, 지식산업사, 2012.
  • 이상익, 『기호성리학연구』, 한울아카데미, 1998.
  • 철학사전편찬위원회, 『철학사전』, 중원문화, 1987.
  • 현상윤 저, 이형성 교주, 『현상윤의 조선유학사』, 심산, 2010.
  • 유교사전편찬위원회, 『유교대사전』, 박영사,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