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극(太極)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태극 |
한글표제 | 태극 |
한자표제 | 太極 |
관련어 | 본체론(本體論), 팔괘(八卦), 태극원기(太極元氣), 통체일태극(統體一太極), 각구일태극(各具一太極) |
분야 | 문화/인문학/유학 |
유형 | 개념용어 |
집필자 | 조장연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태극(太極) |
만물을 생성하고 본원(本源)으로서 만물이 생성되기 이전부터 존재하는 궁극적 실체.
개설
『주역』에서는 "역에는 태극이 있고 태극이 양의를 낳으며, 양의가 사상을 낳고 사상이 팔괘를 낳는다[易有太極 是生兩儀 兩儀生四象 四象生八卦]"고 하여 태극→양의→사상→팔괘라는 생성론(生成論)적인 도식을 기술하고, 태극(太極)을 본원으로 제시하고 있다. 정현(鄭玄)에 의하면, 태극은 원래 북극성을 의미하는 말이었다고 한다. ‘극’은 ‘중(中)’자와 통하고, 북극성은 하늘의 중심에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역(周易)』「계사전(繫辭傳)」에서는 이것을 음양(陰陽)이 나뉘기 이전부터 존재하는 실재, 곧 통체(統體)를 가리키는 것으로써 사용하였으며, 그로부터 이것은 동양 사상에서 본체론(本體論)의 중심 개념으로 등장하였다. 『주역』의 「단전(彖傳)」에서는 건곤(乾坤), 즉 음양을 우주의 본체로 보아 건원(乾元)은 만물의 궁극적인 시원으로, 그리고 곤원(坤元)은 만물을 생성할 수 있는 모체로 보려는 음양이원론(陰陽二元論)적 우주관이 내재되어 있었으나, 위와 같은 「계사전」의 언급으로 인해 일원론(一元論)적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주역』에서는 그것이 어떠한 성질을 가지는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으며, 『주역정의(周易正義)』나 『한서(漢書)』「율력지(律曆志)」에서는 후대의 견해와는 달리 ‘태극원기(太極元氣)’의 설을 그대로 수용하여 태극을 천지(天地)가 미분(未分)되어 있을 때 원기가 응결되어 있는 상태로 이해함으로써, 태극을 본원으로서의 의미로 보전하면서도 기(氣)의 관점에서 일원기(一元氣)로 파악하였다.
내용 및 특징
북송(北宋)의 주돈이(周敦頤)는 『주역』의 관점을 계승하여 『태극도설(太極圖說)』에서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음양→오행(五行)→만물이라는 생성론적 도식을 제시하고 태극을 역시 궁극적인 실체로서 파악하였으나, 그도 또한 태극이 이(理)인지 기(氣)인지에 대해서는 확정하지 않았다. 소옹(邵雍)도 태극을 모든 주체와 존재의 근거로서 수용하면서 『황극경세서』에서 "마음이 태극이다[心爲太極]"라고 하여 심(心)과 태극을 동일시하는 독특한 견해를 제시하였으나 태극의 성격을 어떻게 규정지을 것인가에 대해서는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다. 이렇게 다양하게 이해되어 온 태극의 성격에 대해 명확한 규정을 내린 것은 주희(朱熹)였다. 그는 북송 제유(諸儒)의 학설을 집대성하여 태극을 이(理)로 단정하였다. 즉 그는 「태극도해(太極圖解)」에서 태극을 ‘동(動)하여 양(陽)이 되고 정(靜)하여 음(陰)이 되는 소이(所以)의 본체’로 규정하고 현상에 속하는 형이하(形而下)의 배후에 존재하는 이체(理體)로서 태극을 정립하였다. 이 외에도 ‘조화의 기틀이며 품휘의 바탕[造化之樞紐 品彙之根抵也]’·‘본연지묘(本然之妙)’·‘형이상지도(形而上之道)’·‘천지만물을 총괄하는 이[總天地萬物之理]’라고 다양하게 규정함으로써 다각적으로 태극의 본질을 설명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일음일양(一陰一陽)하는 소이를 도(道)로 보는 정이(程頤)의 견해를 계승한 것이다. 주희에 의해서, 자연과 인간의 근거로서의 이(理)는 태극과 동일시되었으며, 태극을 기로 파악하는 견해는 배척되었다. 주희의 존재론은 현상계를 이(理)와 기(氣)로 설명하지만, 그 궁극적인 근거는 이체로서의 태극이었다. 이렇게 하여 태극은 만리(萬理)의 총명(聰名)으로서의 의미를 부여받았다. 또한 개개 사물마다에 모두 극(極)이 존재하기 때문에 모든 사물의 공통된 근거로서의 태극과 개개 사물에 내재하는 극, 곧 이치로서의 태극을 구별할 때에는 각각 통체일태극(統體一太極)과 각구일태극(各具一太極)이라는 말을 사용한다. 통체일태극은 모든 사물의 공통된 근거로서의 태극이며, 각구일태극은 개개 사물에 내재하는 개별화된 태극이다. 태극이 모든 존재의 근거로서 자리잡음에 따라 그것은 단지 자연계의 본체로서의 의미뿐만이 아니라 인간 존재의 근거로서도 의미를 부여받았다. 주희는 태극을 『중용(中庸)』의 ‘천명(天命)’과 연결하여 성(誠) 또는 실리(實理)의 단서(端緖)로 삼아, 지고무상(至高無上)하며 절대적인 선(善)으로 판단하였다. 이것은 태극을 인륜도덕의 형이상적 근거로 삼으려는 데 그 목적과 의의가 있다. 그에 따라 태극은 인간에게 내재화되어 인간의 고유한 본성[性]으로서 의미를 부여받게 되었다. 후대의 정주학자인 육롱기(陸隴其)는 「태극론(大極論)」에서 이것을 "태극은 만리의 총명이니 하늘에 있으면 명(命)이 되고, 사람에게 있으면 성(性)이 된다."고 표현하였다. 이와 같이 태극을 인간과 사물을 포함한 모든 존재의 궁극적 실체로 파악하는 견해는 후대의 정주학자 모두에게 공통된 것이었다. 그러나 정주학에서의 견해와는 달리 육구연(陸九淵)은 태극을 황극(皇極)과 같은 것으로 봄으로써 태극의 ‘극’을 중(中)이라고 해석하는 데 그치고 있다. 또한 태극을 여전히 기의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학자들도 있었다. 그 가운데에서도 명대(明代)의 왕정상(王廷相)과 나흠순(羅欽順), 청대(淸代)의 대진(戴震) 등 기철학자들은 주희의 이체태극론(理體太極論)에 반론을 가하여 태극을 천지가 생겨나기 이전의 혼돈청허(混沌淸虛)한 기로 파악함으로써 모든 존재의 근원을 일원기로 이해하는 견해를 제시하기도 하였다. 근대의 손문(孫文)도 태초에 태극이 동(動)하여 전자(電子)를 낳고 전자가 원소(元素)를, 원소가 물질을, 물질이 지구를 만들었다고 하여 태극을 만물생성의 제1원인으로 파악하였다. 이는 우주생성론 또는 진화론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유물론적 관점에서 볼 때 태극이 우주만물의 원기(元氣)로서 전자를 생성한다는 것은 소박한 유물론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다.
조선에서 태극에 대한 논변을 본격적으로 전개한 학자는 이언적(李彦迪)이다. 그는 「망기당 조한보에게 보내는 편지[與曺忘機堂漢輔書]」에서 주리론(主理論)적 관점으로 태극을 정의하고 있다. 그는 주희의 입장에 서서 조한보의 견해를 비판하고, 주돈이의 무극이태극(無極而太極)은 도(道)의 극지(極至)·시원(始源)으로서 만물의 기틀이며 결코 노장철학에서 말하는 허무(虛無)의 의미가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그 후 이황(李滉)은 태극을 천리(天理)로 이해한 주희의 관점을 수용하여 주리설을 제시하였는데, 이에 따라 태극은 조선성리학의 우주론 및 본체론의 가장 중요한 개념이 되었다.
참고문헌
- 『태극도설(太極圖說)』
- 『성리대전(性理大全)』
- 고지마 쓰요시 저, 신현승 역, 『송학의 형성과 전개』, 논형, 2003.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강좌 한국철학』, 예문서원,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