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陰陽)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우주 만물을 구성하고 세계의 모든 운동을 창출해내는 상반된 성질의 두 가지 기본 요소 또는 양태.

개설

음양(陰陽)은 전국시대(戰國時代) 중기에 천지 만물의 생멸변화(生滅變化)를 기(氣)의 모임과 흩어짐으로 설명하면서 대두된 개념이다. 이 개념은 원래 음(霒)과 양(昜)으로 구름이 낀 것과 해가 뜬 것을 의미하는 글자였는데, 뒤에 음(陰)과 양(陽)으로 쓰이면서 산(山)의 응달[북쪽]과 양달[남쪽]을 가리키는 것으로 정착하였다. 음양은 이후 추위와 더위, 하늘과 땅, 여성과 남성 등 모든 존재를 상대적으로 구분하는 범주이자 그 변화의 중추로 활용되었다. 음양 개념에 대한 철학적 전개는 『역전』 즉 『십익』과 추연(鄒衍)으로 대표되는 음양가(陰陽家)에 의해서였다. 『역전』「계사전(繫辭傳)」에서는 음양이 천도와 함께 결합되어 도덕형이상학의 이론적 토대가 되었으며, 추연은 음양과 오행을 결합시킨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에 의해 자연과 인간의 시공간적 구조를 설명하였다. 음양은 한대(漢代) 동중서(董仲舒)의 천인감응설(天人感應說)에 영향을 끼쳤으며, 송대(宋代) 성리학(性理學)의 자연관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내용 및 특징

음양은 춘추시대 이전까지만 해도 양지와 음지를 뜻하는 글자였으며, 대부분의 경우 함께 사용되지 않았다. 춘추시대에 들어오면 음양은 천(天)에서 발생한 육기(六氣) 가운데의 이기(二氣)로 확장된다. 『춘추좌씨전』「소공(昭公)」 원년(元年)에 "천에는 육기가 있는데, 이것이 내려와 오미(五味)를 낳고 오색(五色)이 되고 오성(五聲)으로 표현되며 …… 육기란 음(陰)·양(陽)·풍(風)·우(雨)·회(晦)·명(明)이다. 이것이 나뉘어 사시(四時)가 된다."는 기록이 보이는데, 음양은 각각 육기 속의 하나의 기(氣)로 인식되고 있다. 이것은 천체에 대한 오랜 관찰에서 비롯된 것으로, 음양은 추위와 더위의 상반된 성질로서 기라는 실물로 이해되었다.

또한 『춘추좌씨전』「소공」 21년과 24년의 기록에는 일식의 원인을 양이 음을 이기지 못해서 나타난 것으로 설명하였고, 『국어』「주어하」에서 백양보(伯陽父)가 지진의 발생 원인을 "양이 엎드려 나올 수 없고 음이 숨어버려 올라갈 수 없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하였다. 이 기록은 춘추시대에 이미 음양이 풍·우·회·명의 사기(四氣)와 구분하여 음양을 천지의 기로 파악하고 있었음을 말해준다. 음양은 사기에 비해 보다 추상적이었기 때문에 인간의 합리적인 상상을 하는 데 유용하였고, 그 상상에 대한 제약도 상대적으로 작았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현상들에 대해 강력한 해석력을 가지고 연관되어 설명되었다.

전국시대에 들어서면 음양은 세계관으로 확장된다. 『순자』「천론(天論)」에는 천지의 변화와 음양의 조화라는 구절이 있으며, 「예론(禮論)」에는 하늘과 땅이 합해져서 만물이 생성되고 음과 양이 교접하여 변화가 일어난다는 설명이 보이는데, 여기에서 음양은 천지와 동의어로 사용하고 있다. 『장자』「천하(天下)」와 『예기』「제의(祭義)」 등에서는 『역전』을 음양 사상의 근원, 혹은 그 집대성이라고 하였으니, 「계사하(繫辭下)」에서 건(乾)은 양물(陽物)이고 곤(坤)은 음물(陰物)이라고 한 것은 음양을 만물 생성의 실체로 본 것이다. 또 「계사상(繁辭上)」에서는 한번 음하고 한번 양하는 것을 도(道)라고 하였다. 이를 통해서 음양은 자연의 변화를 이끄는 실체이자 총체로 이해되었으며, 그 자체가 대대(對待)·통일(統一)·법칙성 등을 지닌 것으로 간주되었다. 추연(鄒衍)은 음양과 독립적으로 전개되던 오행을 결합시켜, 천문학·방술(方術) 등 당대의 이론들을 음양·오행의 관념을 주축으로 조직하고 체계적인 학설을 수립하였다. 추연의 이러한 학설은 당시의 위정자나 학자들에게 크게 호응을 얻지 못하였으나 한왕조(漢王朝)에 이르러서는 보편적인 사상으로 유행하였다.

한대(漢代)의 동중서(董仲舒)는 양은 존귀하고 음은 비천한 것이라고 규정하고 이것을 통해 삼강(三綱)의 도리를 세우고자 하였으며, 그것의 근거를 천(天)에서 구하였다. 송대(宋代)에 이르러 주돈이(周敦頤)는 음양을 태극(太極), 오행과 관련지어 설명하였는데, 그는 『태극도설(太極圖說)』에서 태극이 음양을 낳고 음양이 오행을 낳는다는 구도에서 오행은 하나의 음양이고 음양은 하나의 태극이라고 설명하여, 음양 속에 태극이, 오행 속에 태극과 음양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그는 또 음양과 오행의 정기(精氣)가 결합되어 모든 사물을 형성하는데, 이 때 양은 남성을, 음은 여성을 낳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의 이러한 학설은 주희에 의해 종합되어 성리학의 자연관으로 자리 잡았으며, 동양 문화 전반에 걸쳐 핵심적인 이론으로 인식되었다.

참고문헌

  •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 『역전(易傳)』
  • 『국어(國語)』
  • 『장자(莊子)』
  • 『순자(荀子)』
  • 『예기(禮記)』
  • 고회민 지음, 신하령·김태완 옮김, 『상수역학』, 신지서원, 1994.
  • 양계초 외 지음, 김홍경 옮김, 『음양오행설의 연구』, 신지서원, 1993.
  • 최영진, 『역학사상의 철학적 탐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7.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