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러티브 도학교재로서의 금남 최부 『표해록(漂海錄)』 연구 시맨틱 큐레이션 방법을 기반으로

pattern
이동: 둘러보기, 검색
최원재는 시맨틱 데이터 큐레이션 방법을 기반으로 한 내러티브 도학교재로서의 최부(崔薄) 『표해록(漂海錄)』 연구를 통해
최부 『표해록』을 교육학적 관점에서 최초로 분석했다.


1488년 여름 도학 교육자 최부는 명나라에서 귀국한 후 조선 중심의 내러티브 도학교재《금남표해록》을 저술했다.




喪人臣崔溥自濟州漂流。泊甌東。過越南。經燕北。以今六月十四日。到靑坡驛。敬奉傳旨。


상인(喪人)인 신(臣) 금남 최부는 제주(濟州)로부터 표류해서

구동(甌東)에 배를 대고, 월남(越南)을 지나 연북(燕北)을 거쳐,

올 6월 14일에 청파역(靑坡驛)에 도착하여

삼가 전지(傳旨)를 받들어 이번 길의 일지를 편집하여 바치나이다.


I, Ch'oe Pu, while in mourning, went adrift from Cheju,

landed east of Ou, and passed from south of Yüeh to north of Yen.

On the 14th Day of this Sixth Month I reached Ch’ðngp’a Station

and respectfully received a Royal edict for a diary of the journey.

I have compiled it and now submit it.




최부는 부친상을 듣고 제주에서 나주로 향하던 중 표류하여 다음의 경로를 따라 명나라에서 조선으로 귀국하였다.



이를 3D로 보면 당시 최부 시점의 색다른 느낌을 추체험할 수 있다.


최부는 서사적 논픽션이라는 내러티브 방식으로 당시 사회가 요구했던 윤리적 요소를 딱딱하지 않게 등장인물 간 대화 가운데 전달하였다.


최부는 귀국 여정에서 소재를 잡아 독자들이 도학 메시지를 읽을 수 있는 에피소드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당시 기초 도학교재 《소학》의 무미건조함을 대체할 수 있는 도학교재를 만들었다.


예를 들어 음사에 빠져있던 최부 종자들 42명이 최부와의 동행 여정에서 감화되어 친도학 성향으로 바뀌는 내용이 나온다. 다음의 시맨틱 데이터는 이를 네트워크 그래프로 보여준다.



이야기 내내 상복을 입고 있는 최부는 상복을 통해 효와 충에 대한 해석을 독자들에게 요구한다.



그리고 이야기 전개과정이 조선과 조선인 중심이다. 이는 조선맥락화다. 최부는 조선맥락의 교재를 만들어 중국교재 《소학》과의 차별화를 목적했다.



최부는 조선맥락화의 일환으로 조선인의 골육지친을 중시했다.



최부의 메시지는 교재답게 찬반토론, 문답이라는 교재형식으로 전달된다.



시맨틱 웹(semantic Web)은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다.


이 역시 사용자의 해석을 기반으로 한다.


1488년 최부가 도학을 가르치기 위해 서사적 논픽션이라는 내러티브를 이용했다면 532년 후 2020년 최원재는 이를 증명하기 위해 시맨틱 웹이라는 디지털 데이터 내러티브를 활용했다.





《금남표해록》은 기행일기가 소설적 색채로 결합하여 실천윤리적 내용을 담은 저작으로 조선후기 『삼강명행록』, 『오륜전전』 등 윤리소설에도 영향을 끼쳤고,


그 도학정신적 측면은 이후 동학농민운동기에도 영향을 끼칠 정도였다.


이번 연구를 위해서 만든 디지털 《금남표해록》에서는 원문, 한글 번역본(박원호 고려대 교수), 영어 번역본(John Meskill), 중국어 번역본(《崔溥<飘海录>评注》葛振家)을 모두 한번에 볼 수 있다.


윤리적 메시지를 담고 있는 날짜 앞에는 를, 조선맥락화가 보이는 날짜 앞에는 를 표시했다.


《금남표해록》권1

성화(成化)23년 정미년 가을 9월 17일 홍치(弘治)원년(1488) 무신년 정월 30일 윤 정월 1일 1월 2일 1월 3일 1월 4일 1월 5일 1월 6일 1월 7일 1월 8일 1월 9일 1월 10일 1월 11일 1월 12일 1월 13일 1월 14일 1월 15일 1월 16일 1월 17일 1월 18일 1월 19일 1월 20일 1월 21일 1월 22일 1월 23일 1월 24일 1월 25일 1월 26일 1월 27일 1월 28일 1월 29일 2월 1일 2월 2일 2월 3일 2월 4일


《금남표해록》권2

2월 5일 2월 6일 2월 7일 2월 8일 2월 9일 2월 10일 2월 11일 2월 12일 2월 13일 2월 14일 2월 15일 2월 16일 2월 17일 2월 18일 2월 19일 2월 20일 2월 21일 2월 22일 2월 23일 2월 24일 2월 25일 2월 26일 2월 27일 2월 28일 2월 29일 2월 30일 3월 1일 3월 2일 3월 3일 3월 4일 3월 5일 3월 6일 3월 7일 3월 8일 3월 9일 3월 10일 3월 11일 3월 12일 3월 13일 3월 14일 3월 15일 3월 16일 3월 17일 3월 18일 3월 19일 3월 20일 3월 21일 3월 22일 3월 23일 3월 24일 3월 25일


《금남표해록》권3

3월 26일 3월 27일 3월 28일 3월 29일 4월 1일 4월 2일 4월 3일 4월 4일 4월 5일 4월 6일 4월 7일 4월 8일 4월 9일 4월 10일 4월 11일 4월 12일 4월 13일 4월 14일 4월 15일 4월 16일 4월 17일 4월 18일 4월 19일 4월 20일 4월 21일 4월 22일 4월 23일 4월 24일 4월 25일 4월 26일 4월 27일 4월 28일 4월 29일 4월 30일 5월 1일 5월 2일 5월 3일 5월 4일 5월 5일 5월 6일 5월 7일 5월 8일 5월 9일 5월 10일 5월 11일 5월 12일 5월 13일 5월 14일 5월 15일 5월 16일 5월 17일 5월 18일 5월 19일 5월 20일 5월 21일 5월 22일 5월 23일 5월 24일 5월 25일 5월 26일 5월 27일 5월 28일 5월 29일 6월 1일 6월 2일 6월 3일 6월 4일


《금남표해록》 『입느냐 벗느냐 그것이 문제로다』
최원재가 각색한 현대식 《금남표해록》



"이 저작물상의 디지털 지도는 CesiumJs Library( http://CesiumJs.com )와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에서 제공하는 공간정보 시각화 인터페이스 도구( http://dh.aks.ac.kr/Edu/wiki/index.php/3D_지도 )를 이용하여 제작하였습니다."
틀:Semantic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