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27일

pattern
이동: 둘러보기, 검색

過淮安府。是日雨。淮陰驛對岸馬頭城門外有漂母祠。其北又有胯下橋。卽韓信寄食受辱之地。驛又與遞運所接遞夫廠相對。自驛棹舟。傍淮安府。府卽舊東楚州。實東南重鎭。其舊城內。有府治,山陽縣治,淮安衛及都堂府,總兵府,御史府等諸司。舊城之東。又築新城。新城之中。有大河衛。餘司未及設。新舊城間。隔一里許。湖水襟帶于兩城之內外。而城與人居。皆在平島中。過自南渡門而北。至淮河。其間有金龍四大王廟,浮橋亭,龍興塔,鍾樓殿,雷神店,西湖河,嘴老和尙塔,鈔廳,板閘,移風閘,鳳翥門,工部廠,淸江閘,騰蛟起鳳門,淸江輻輳門,淸江閘,常盈倉門,天妃廟,東嶽仁聖宮,靈慈宮,平江恭襄侯廟,漕運府,總廠東街,總廠西街,福興閘,玄帝 祠,佑聖祠,新藏閘。又其間有鳳陽中都,鳳陽左衛,龍虎右衛,龍江左衛,豹韜衛,豹韜前衛,淮安衛,大河衛,鎭江衛,高郵衛,楊州衛,儀眞衛,水軍左衛,水軍右衛,府軍前衛,泗州衛,邳州衛,壽州衛,長淮衛,廬州衛等。淮南江北江南諸衛。會于此造船。俱有廠。大抵大江淮河四五百里間。地多大浸巨湖。如邵伯湖,高郵湖,界首湖,白馬湖等湖之大者。四面無際。是日。冒大雨過淮河。一名黃河。臣問諸傅榮曰。以禹貢觀之。黃河過積石,龍門,華陰,底柱,大伾諸山。又過洚水,大陸。爲九河爲逆河。東北入于海。淮水過桐柏山。會泗沂。東入于海。林之奇以謂河下流兗受之。淮下流徐受之。然則淮與河。源出不同。流派不同。入海之地亦不同。今合爲淮河。何也。榮曰。在我 大明朝。鑿河路注之淮。合流入海。河失故道。與禹貢有異云云。淮河實衆水所潨。黃河與淮水合流爲西河。濟,漯,汶水。與洙泗水合流。又會汴水。又東會于沂水爲東河。西河水色黃。故謂之黃河。東河水色靑。故謂之淸河。二河合流于此。摠謂之淮河。河廣可十餘里。深無底。水流暴急。河邊有耿七公神祠。又有龜山臨河。趙鑑語臣曰。此山足有神物。狀如獼猴。縮鼻高額。靑軀白首。目光若電。諺傳大禹治水時。以大索鎖此物。命住于此。俾淮水安流。今人有圖此物之形者。免淮濤風水之難。臣曰。此眞怪誕不經之說。不足信也。鑑默然。臣等過河遡東河而上。至淸口驛。夜經淸河縣。至泊無人煙之岸。嘗聞淸河縣治。有韓信城,甘羅城。夜過不能見。



회안부(淮安府)를 지났습니다.

이 날은 비가 내렸습니다.

회음역의 건너편 언덕 마두성문(馬頭城門) 밖에는 표모사(漂母祠)가 있고, 그 북쪽에는 과하교(胯下橋)[1]가 있었으니, 곧 한신(韓信)이 밥을 얻어먹고 욕을 당했던 곳이었습니다.

회음역은 또 체운소와 접해 있고 체부창(遞夫廠)과 서로 마주보고 있었습니다.

회음역에서 노를 저어 회안부에 다가가니, 회안부는 곧 옛날의 동초주(東楚州)로서 실로 동남방의 중요한 진(鎭)이었습니다.

그 구성(舊城)의 안에 회안부치(淮安府治)·산양현치(山陽縣治)·회안위(淮安衛)와 도당부(都堂府)· 총병부(總兵府)·어사부(御史府) 등의 여러 관사(官司)가 있었습니다.

구성의 동쪽에 또 신성(新城)을 쌓았는데, 신성의 안쪽에 대하위(大河衛)가 있었으며, 나머지 관사는 미처 세우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신성과 구성은 사이가 1리가량 떨어져 있었는데, 호수가 두 성의 안팎을 둘러싸고 있었으며, 성과 인가는 모두 평도(平島)안에 있었습니다.

남도문(南渡門)을 지나 북쪽으로 가서 회하(淮河)에 이르니, 그 사이에 금룡사대왕묘(金龍四大王廟)·부교정(浮橋亭)·용흥탑(龍興塔)·종루전(鐘樓殿)·뇌신점(雷神店)·서호하취(西湖河嘴)·노화상탑(老和尙塔)·초청(鈔廳)·판갑(板閘)·이풍갑(移風閘)·봉저문(鳳翥門)·공부창(工部廠). 청강갑(淸江間), 등교기봉문(騰蚊起鳳門)·청강폭주문(淸江輻藤門)·청강갑(淸江閘)·상영창문(常盈倉門)·천비묘(天起廟)· 동악인성궁(東嶽仁聖宮)·영자궁(靈慈宮) · 평강공양후묘(平江恭襄侯廟)·조운부(遭運府). 총창동가(總廠東街)·총창서가(總廠西街)·복흥갑(福興閘)·현제사(玄帝祠).우성사(佑聖祠)·신장갑(新藏閘)이 있었습니다. 또 그 사이에 봉양중도(鳳陽中都)·봉양좌위(鳳陽左衛)·용호우위(龍虎右衛)·용강좌위(龍江左衛)·표도위(豹韜衛)·표도전위(豹韜前衛)·회안위(淮安衛)·대하위(大河衛)·진강위(鎭江衛)·고우위(高郵衛)·양주위(楊州衛)·의진위(儀眞衛)·수군좌위(水軍左衛)·수군우위(水軍右衛)·부군전위(府軍前衛)·사주위(泗州衛)·비주위(亞州衛)·수주위(壽州衛)·장회위(長淮衛)·여주위(廬州衛) 등이 있었습니다. 회남(淮南)·강북·강남의 여러 위(衛)가 이곳에 모여 배를 만드는데 모두 선창(船廠)이 있었습니다. 무릇 장강과 회하(淮河)의 400-500리 사이의 땅은 소백호(邵伯湖)·고우호(高郵湖)·계수호(界首湖)·백마호(白馬湖) 등과 같은 큰 호수에 침식당했으니, 큰 호수는 4면으로 끝이 없었습니다.

이 날 큰비를 무릅쓰고 회하를 건넜는데 황하(黃河)라고도 불렀습니다.

신이 부영에게 묻기를,

“<우공>을 살펴보면, 황하는 적석(積石)·용문(龍門)·화음(華陰)·저주(底柱)·대비(大伾) 등 여러 산을 지나고, 또 홍수(降水)와 대륙(大陸)을 지나 구하(九河)가 되고, 역하(逆河)가 되어 동북으로 흘러 바다에 들어가고, 회수는 동백산(桐柯山)을 지나 사수(泗水)와 기수(淨水)를 만나 동으로 흘러 바다에 들어가게 됩니다.

임지기(林之奇)는, '황하[2]의 하류는 연주(州)가 받고, 회수의 하류는 서주(徐州)가 받는다'라 하였으니, 그렇다면 회수와 황하는 연원도 같지 않고 지류의 갈림도 같지 않고, 바다에 들어간 땅도 또한 같지 않은데 지금 합하여 회하가 된 것은 무슨 이유입니까?”라고 하였습니다.

부영은,

“우리 명나라 조정이 황하[3]의 수로를 파서 회수에 유입시켜, 합류해서 바다로 들어가게 하였으므로 황하는 옛 길을 잃게 되었으니 <우공>과는 다른 점이 있습니다”라고 운운하였습니다.

회하는 실로 여러 물이 모이는 강입니다. 황하와 회수가 합류하여 서하(西河)가 되고, 제수(濟水)·탑수(漯水)·문수(汶水)가 수수(洙水)·사수(泗水)와 합류하여 또 변수(汴水)를 만나고, 다시 동으로 흘러 기수(所水)를 만나 동하(東河)가 됩니다.

서하는 물 빛깔이 누렇기 때문에 황하라 이르고, 동하는 물 빛깔이 푸르기 때문에 청하(淸河)라 이릅니다.

두 강물이 합하여 이곳으로 흐르니 회하라고 부르는 것입니다.[4]

강의 너비는 10여 리나 되고 깊이는 끝이 없으며, 물의 흐름은 사납고 급하였습니다.

강가에는 경칠공신사(秋七公神祠)가 있었고, 또 귀산(龜山)이 강과 접해 있었습니다.

조감이 신에게 말하기를,

“이 산 밑에는 신물(神物)이 있는데, 모양은 원숭이와 같으며 주름진 코, 높은 이마, 푸른 몸뚱이, 흰 머리털에 눈빛이 번개와 같습니다. 전해 오는 속담에, '우왕이 홍수를 다스릴 때 큰 새끼로 이 신물을 잡아매어 이곳에 살면서 회수가 편안히 흐르게 하도록 명했다고 합니다. 요즈음 사람들이 이 신물의 형상을 그려서 갖고 있으면 풍랑의 조난을 면한다고 합니다” 라고 하였습니다.

신이 말하기를,

“이는 참으로 터무니없고, 사리에 맞지 않는 말이니 믿을 것이 못 됩니다”라고 하였습니다.

조감은 잠자코 있었습니다.

신 등은 회하를 거쳐 동하를 거슬러 올라가서 청구역(淸口驛)에 이르렀습니다. 밤에 청하현(淸河縣)을 지나서 인가가 없는 기슭에 정박하였습니다. 청하현치(淸河縣治)에 한신성(韓信城)과 감라성(甘羅城)이 있다는 말을 일찍이 들었으나, 밤에 지나가 볼 수 없었습니다.




二十七日

过淮安府。是日雨。淮阴驿对岸,码头城门外,有漂母祠,其北又有胯下桥,即韩信寄食受辱之地。驿又与递运所接,递夫厂相对。自驿棹舟,傍淮安府。府即旧东楚州,实东南重镇。其旧城内,有府治、山阳县治、淮安卫及都堂府、总兵府、御史府等诸司。旧城之东,又筑新城。新城之中,有大河卫,余司未及设。新旧城间,隔一里许,湖水襟带于两城之内外,而城与人居皆在平岛中。过自南渡门而北至淮河。其间,有金龙四大王庙、浮桥亭、龙兴塔、钟楼殿、雷神店、西湖河嘴、老和尚塔、钞厅、板闸、移风闸、风翥门、工部厂、清江闸、腾蛟起风门、清江辐辏门、清江闸、常盈仓门、天妃庙、东岳仁圣宫、灵慈宫、平江恭襄侯庙、漕运府、总厂东街、总厂西街、福兴闸、玄帝祠、佑圣祠、新藏闸。又其间,有风阳中都、凤阳左卫、龙虎右卫、龙江左卫、豹韬卫、豹韬前卫、淮安卫、大河卫、镇江卫、高邮卫、扬州卫、仪真卫、水军左卫、水军右卫、府军前卫、泗州卫、邳州卫、寿州卫、长淮卫、庐州卫等。淮南、江北、江南诸卫会于此,造船俱有厂。大抵大江、淮河四五百里间,地多大浸巨湖,如邵伯湖、高邮湖、界首湖、白马湖等。湖之大者,四面无际。是日冒大雨过淮河,一名黄河。臣问诸傅荣曰:“以《禹贡》观之,黄河过积石、龙门、华阴、底柱、大任诸山,又过洚水、大陆为九河,为逆河,东北入于海。淮水过桐柏山,会泅、沂,东入于海。林之奇以谓,河下流兖受之,淮下流徐受之。然则淮与河源出不同,流派不同,入海之地亦不同。今合为淮河何也?”荣曰:“在我大明朝,凿河路,注之淮,合流入海。河失故道,与《禹贡》有异云云。淮河实众水所潀。黄河与淮水合流为西河;济、漯、汶水与洙、泅水合流,又会汴水,又东会于沂水为东河。西河水色黄,故谓之黄河;东河水色青,故谓之清河。二河合流于此,总谓之淮河。河广可十余里,深无底,水流暴急。河边有耿七公神祠,又有黾山临河。赵鉴语臣曰:“此山足有神物,状如猕猴,缩鼻高额,青躯白首,目光若电。谚传:大禹治水时,以大索锁此物,命住于此,俾淮水安流。今人有图此物之形者,免淮涛风水之难。”臣曰:“此真怪诞不经之说,不足信也。”鉴默然。臣等过河,溯东河而上,至清口驿。夜,经清河县至泊无人烟之岸。尝闻清河县治有韩信城、甘罗城,夜不能见。




27th Day. Passing Huai-an Prefecture. This day it rained.

On the bank opposite Huai-yin Station, outside Ma-t'ou-ch'eng Gate, was P’iao-mu Shrine. North of it was K’ua-hsia Bridge, which was the place where Han Hsin ate another's food and was disgraced.63 The station was opposite the transfer station keeper's storehouse, adjoining the transfer station. From the station, we rowed the boats alongside Huai-an Prefecture. The prefecture had been the old Tung-ch'u Department, an important control point for the southeast. Inside the old wall were the prefectural capital, the seat of Shan-yang County, Huai-an Garrison, and various posts, for the Surveillance organization [Tu-tang-fu], Regional Command [Tsung-ping-fu], Censoring organization [Yü-shih-fu], and others. East of the old wall, a new wall had been built. The Ta-ho Garrison was inside the new wall, but other posts had not yet been established. There was a space between the new and old walls of about one li. The water of the lake flowed round the walls inside and out, but both the walls and the houses were on flat islands. We left from Nan-tu Gate and went north. We came to the Huai River. In the interval had been [numerous structures and garrisons). Garrisons for the regions south of the Huai and north and south of the Yangtze were gathered there to build boats, and they all had shipyards.

In general, for the four or five hundred li between the Yangtze River and the Huai River, the land has many big swamps and huge lakes. Of the lakes, the big ones like Shao-pu Lake, Kao-yu Lake, Chieh-shou Lake, and Pai-ma Lake seem to stretch endlessly in all directions. This day we braved heavy rain and passed the Huai River, also called the Huang [Yellow] River. I asked Fu Jung about that: “According to Yü kung, the Huang River passes the Chi-shih, Lung-men, Hua-yin, Ti-chu, and Ta-p'ei mountains and then passes the Chiang-shui and Ta-lu, becoming the Chiu-ho and Ni-ho and entering the sea in the northeast. The Huai River passes the T’ung-po Mountains, joins the Ssu and I and enters the sea in the east.64 Lin Chih-ch’i65 thinks that the lower reaches of the [Huang] River lie in Yen and the lower reaches of the Huai in Hsü. Then the sources of the Huai and the [Huang] River are not the same, their courses not the same, and the places where they enter the sea not the same. How is it that now you put the Huai and the Huang River together?” Jung said, “Under our Ming Court, we have channelled the bed of the Huang River and made it flow into the Huai; they flow into the sea together. The Huang River has lost its old course and is different from that in Yü kung.”

The Huai River truly receives many waters. The Huang River and Huai River flow together as the West River. The Chi, T'a, and Wen rivers flow together with the Chu and Ssu rivers and then join the Pien River and to the east meet the I River to become the East River. The water of the West River is yellow, so it is called Yellow River. The water of the East River is green, so it is called Green River. The two rivers flow together there; combined, they are called Huai River. The river is more than ten li wide, it is bottomless, and the current is violent. On the bank of the river was Keng-ch'i-kung-shen Shrine, and Mt. Kuei overlooked the river. Chao Chien said to me, “There is a god at the foot of that mountain. He looks like a Macacus monkey; he has a turned-up nose, high forehead, blue body, and white head. His eyes flash like lightning. The legend is that when the Great Yü channelled the waters, he bound that creature with a great rope and ordered him to live there and make the Huai flow quietly. Today, people who have pictures of that creature are spared trouble from wind and waves on the Huai.” I said, “There is nothing in the classics about this extraordinary tale; I cannot believe it.” Chien was silent.66 [We went up the East River and stopped at night near Ch'ing-ho County.]




  • 기후
  • 지명
  • 고증(고사)
  • 언어(어원)
  • 지리
  • 건축물
  • 토목
  • 기술(선박제작)
  • 환경(침식)
  • 고증(장소:우공의 내용과 실제)
  • 언어(어원)
  • 동물
  • 풍습(속담,미신)
  • 풍습(부적)
  • 심리(유학:미신에 대해서)
  • 시간
  • 고증(하려고 했으나 못함)



  1. 胯下之辱(과하지욕) 가랑이 사이로 기어서 지나가는 치욕
  2. [동양화가 말을 걸다 “물을 물로 봤다가는 큰코다친다”]
  3. 황허 물, 10분의 1로 줄어… 中 '낙타 경제' 온다, 조선일보, 2018.12.31
  4. 회하를 알면 삼국지가 더 재밌다! 삼국지 지명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