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8일

pattern
이동: 둘러보기, 검색

過魯橋驛。是日陰。自南陽閘。過棗林閘。至魯橋驛。驛前有魯橋閘。東道齊魯。西連鉅野。南引淮楚。北抵京師。四通之路。閘西有黑硯池。池水黑。有太監姓劉者封王赴京。其旌旗甲冑。鍾鼓管絃之盛。震盪江河。及是閘。劉以彈丸亂射舟人。其狂悖如此。陳萱曰。此舟中內官。如此歪爲。傅榮問諸臣曰。貴處亦有此太監否。臣曰。我國內官。只任宮中洒掃傳命之役。不任以官事。榮曰。 太上皇帝信任宦官。故若此。刑餘人。持重權爲近侍。文武官皆趨付之。萱曰。醫道佛三法。貴國何重。臣曰。我國重儒術。醫方次之。有佛而不好。無道法。萱曰。成化 皇帝最重道佛二法。今 新皇帝一切禁之。臣問曰。貴地今當大明之時。皆稱大唐。何也。榮曰。此無他。因大唐時傳習之舊而云。習俗然也。臣又問曰。自我到此。貴地人皆指我等曰。大大的鳥也機。此何等語也。榮曰。此日本人呼我處大人之訓。此方人恐你等從日本來。故有此言。臣等自魯橋閘。過通利王廟,魯津橋。至玉樓橋。東魯諸水。交流于此。又過師家莊,下上鋪,仲家鋪,仲家淺閘。至新閘。傅榮謂臣曰。此閘。卽都水監丞也。先不華所建也。會通河至此地。沙土瀢沱。水勢散渙。不能負舟。前後置牐。自新店至師氏莊。猶淺澁有難處。每漕船過此。上下畢力。終日叫號。進寸退尺。必資車於陸而運。自立此新牐以後。舟行得其安且順也云云。牐之東。有河神祠。西有公署。署南有遐觀臺。臺上構亭以東。與鄒嶧山對。扁曰瞻鄒。臣等過其牐。夜過新店閘以行。



노교역(魯橋驛)을 지났습니다.

이 날은 흐렸습니다.

남양갑에서 조림갑(聚林閘)을 지나 노교역에 이르니 노교역 앞에 노교갑(魯橋閘)이 있었는데 동쪽으로는 제로(齊魯) 지방으로 통하고, 서쪽으로는 거야현(鍾野縣)과 접하고, 남쪽으로는 회초(淮楚)와 이어지고, 북쪽으로는 경사에 이르게 되니 사방으로 통하는 길이었습니다.

노교갑 서쪽에는 흑연지(黑視池)가 있었는데 흑연지의 물은 검었습니다.

성이 유(劉)라는 태감이 왕을 봉하고 북경으로 갈 때, 정기(産旗), 갑주(甲骨), 종고(鍾鼓), 관현(管絃)의 성대함이 천지를 진동시켰는데, 이 갑문에 와서는 유(劉) 태감이 탄환으로 뱃사람을 향해 함부로 쏘니 그의 난폭한 행동이 이와 같았습니다.

진훤이 말하기를, “이 배의 내관(內官)이 이같이 못된 짓을 하는 것이오”라고 하였습니다.

부영은 신에게 묻기를, “귀국에도 이런 태감이 있습니까?”라고 하였습니다.

“우리나라의 내관들은 궁중에서 청소하는 일과 왕명을 전달하는 일만 맡고 관부의 일은 맡지 않습니다."

부영이 말하기를, “태상황제(太上皇帝)께서 환관을 신임했던 까닭에 이 같은 궁형(宮刑)을 받은 사람들이 막중한 권력을 쥐고 근시(近侍)가 되어 문· 무관들이 모두 이에 빌붙게 되었습니다” 라고 하였습니다.

진훤이 말하기를, “의술, 도교, 불교의 세 가지 가운데 귀국에서는 어떤 것을 중하게 여깁니까?”라고 하였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유술(儒術)을 중히 여기고 의방(醫方)은 그 다음이며, 불교는 있지만 좋아하지 않고 도법(道法)은 없습니다."

“성화황제(成化皇帝)께서는 도교, 불교의 두 가지 법을 가장 중하게 여겼는데, 지금 신황제(皇帝)께서 일절 이를 금지시켰습니다.”

신이 묻기를, “귀국은 지금 대명(大明)의 시대를 당했는데도 모두 대당(大唐)[1][2][3]이라 일컫는 것은 무슨 이유입니까?”라고 하였습니다.

부영이 말하기를, “이는 다름이 아니라 대당 시대부터 전습되어 오던 대로 일컫는 것이니 습속이 그러하기 때문이지요”라고 하였습니다.

“우리가 귀국에 도착한 이후로 사람들이 모두 우리들을 가리켜 '높으신 오야지[大大的鳥也機]라 말하니 이것은 무슨 말입니까?[4] [5][6]

“이는 일본인이 우리나라의 '대인(大人)'을 그렇게 부르는 훈(訓)입니다. 이 지방 사람들은 당신들이 일본에서 왔을까 하여 그런 말을 하게 된 것입니다.”

신 등이 노교갑에서 통리왕묘(通利王廟), 노진교(魯津橋)를 지나 오루교(五樓橋)에 이르니, 동로(東魯) 지방의 여러 갈래의 물이 서로 만나 이곳으로 흐르고 있었습니다.

또 사가장(師家莊)의 상포(上鋪)·하포(下鋪), 중가포(仲家鋪), 중가천갑(仲家淺閘)을 지나서 신갑(新閘)에 이르렀습니다.

부영이 신에게 다음과 같은 말들을 하였습니다.

“이 수문은 곧 도수감승(都水監丞) 야선불화(也先不華)가 세운 것입니다. 회통하(會通河)가 이곳에 이르면 모래 섞인 흙이 물에 밀리고 수세가 흩어져서 배를 띄울 수 없었으므로 앞뒤에 수문을 설치하였습니다. 신점(新店)에서 사씨장(師氏莊)까지는 오히려 물이 얕아 어려운 곳이 있으므로, 조운 선박이 이곳을 지날 적마다 상하가 힘을 다해서 종일 부르짖어도 한 치를 나아가면 한 자를 물러나게 되므로 반드시 육지에서 수레를 이용하여 운반하여야 했는데, 이렇게 새 수문을 만든 이후로는 배의 운행이 안전하고 순조롭게 되었습니다.”

수문의 동쪽에는 하신사(河神祠)가 있고 서쪽에는 공서(公署)가 있었으며 공서의 남쪽에는 하관대(遐觀臺)가 있었습니다.

하관대 위에는 정자를 건축하여 동쪽으로 추역산(鄒嶧山)과 마주보게 하고는 편액을 첨추(瞻鄒)라고 하였습니다.

신 등은 그 수문을 지나서 밤에 신점갑(新店閘)을 거쳐 갔습니다.



8th Day. Passing Lu-ch'iao Station. This day was cloudy.

From Nan-yang Lock we passed Tsao-lin Lock and came to Lu-ch'iao Station, in front of which was Lu-ch'iao Lock. There was a crossroads, going east to Ch'i and Lu, linking in the west with Chü-yeh, leading south to Huai and Ch’u, and reaching the capital in the north. West of the lock was Black Ink-slab Lake, the water of which was black. An Overseer named Liu was there on his way to the capital to be enfeoffed. His multitude of flags, arms, armor, bells, drums, and musical instruments set the rivers trembling. Having come to that lock, he was wantonly shooting at boatmen with round shot. That was how depraved he was. Ch'en Hsüan said, “It is a eunuch who is behaving so wrongly in that boat.”

Fu Jung asked me questions. He said, “Are there these overseers in your country, too?”

I said, “The eunuchs in my country are employed only in sprinkling and sweeping in the palace and conveying messages. They are not given charge of public affairs.”

Fu Jung said, “The Emperor's father trusted eunuchs and gave them appointments. That is why those castrated for punishment, like that one, have great power as ministers close to the throne. All the civil and military officials toady to them.”

Ch’en Hsüan said, “Which of the three Laws, Medicine, Taoism, or Buddhism, does your country respect?”

I said, “My country respects the Confucian practices. Medicine comes next. There are Buddhists, but people do not esteem them. There is no Taoism.”

Ch'en Hsüan said, “The Ch’eng-hua Emperor [Hsien Tsung, r. 1465-1487] respected Taoism and Buddhism most. The new Emperor now strictly prohibits them.”

I asked, “Now that it is the time of Great Ming in your country, why does everyone call it Great T'ang?”

Fu Jung said, “It is simply that the latter has become customary since Great T'ang times.”

I then said, “Ever since I arrived here, all your countrymen have pointed at us and said, “Ta-ta-ti-wu-yeh-chi.' What kind of speech is that?”

Fu Jung said, “That is what the Japanese call eminent persons in our land. The people here suspect that you have come from Japan. That is why they use those words.”

[We went from Lu-ch'iao Lock to New Lock.] Fu Jung said to me, “This lock was built by Supervisor of Waterways Yeh-hsien Pu-hua.84 When the Hui-t’ung River85 reached here, sand and mud had silted it up. The stream had spread and could not carry boats. Sluice-gates were put in at both ends, from Hsin-tien to Shih-shih-chuang, but in shoals and [sections where the bottom was] rough, there were still difficult places. Every time a canal boat passed here, all the men, high and low, exhausted their strength, shouting through the day, gaining an inch and losing a foot, and being obliged to resort to carts on land for transport. Since this new sluice-gate was built, the movement of boats has acquired safety and regularity.” [We went on, noting landmarks.]




初八日

过鲁桥驿。是日阴。自南阳闸过枣林闸,至鲁桥驿。驿前有鲁桥闸,东道齐鲁,西连巨野,南引淮楚,北抵京师,四通之路。闸西有黑砚池,池水黑。有太监姓刘者,封王赴京,其旌旗、甲胄、钟墩、管弦之盛,震荡江河。及是闸,刘以弹丸乱射舟人,其狂悖如此。陈萱日“此舟中内官如此歪为!”傅荣问诸臣曰:“贵处亦有毗太监否?”臣曰:“我国内官只任宫中洒扫、传命之役,不任以官事。”荣卧“太上皇帝信任宦官,故若此刑余人持重权为近待,文武官皆趋附之。”萱曰:“医、道、佛三法,贵国何重?”臣曰:“我国重儒术,医方次之,有佛而不好,无道法。”萱曰:“成化皇帝最重道、佛二法,今新皇帝一切禁之。”臣问曰:“贵地今当大明之时,皆称大唐何也?”荣曰:“此无他,因大唐时传习之旧而云,习俏然也。”臣又问曰:“自我到此贵地,人皆指我等曰:‘大大的乌也机。’此何等语也?”荣曰:“此日本人呼我处‘大人’之训。此方人恐你等从日本来,故有此言。”臣等自鲁桥闸过通利王庙、鲁津桥,至玉楼桥,东鲁诸水交流于此。又过师家庄下上铺、仲家铺、仲家浅闸,至新闸。傅荣谓臣曰:“此闸即都水监丞也先不华所建也。会通河至此地,沙土瀢沱,水势散涣,不能负舟,前后置闸。自新店至师氏庄,犹浅涩有难处,每漕船过此,上下毕力,终日叫号,进寸退尺,必资车于陆而运。自立此新闸以后,舟行得其安且顺也”云云。闸之东有河神祠,西有公署。署南有遐观台,台上构亭。以东与邹峄山对,匾曰“瞻邹”。臣等过其闸,夜过新店闸以行。




  • 기후
  • 지명
  • 지리
  • 인명
  • 사건
  • 제도(관직)
  • 제도(관직)-조선
  • 정치(권력,부패)
  • 유학(유술>의방>불교,no도법)
  • 도교
  • 불교
  • 언어(국명)
  • 언어(일본어)
  • 토목
  • 제도(교통)
  • 건축물
  • 시간




표해록역주p.414
  1. 정관의 치
  2. 정관의 치
  3. 정관의 치
  4. “명나라 황녀를 일본 천황 후궁으로 보내라”한겨레신문, 2012.07.06
  5. 일본 `오야지'의미 `아버지'서 `색골'로 추락
  6. 중국인 장악한 건설인력시장 ‘오야지’ 90%가 중국동포… 중국인 거느리며 군림 <상> 건설현장 불법 무풍지대
  7. 두보 시비 옆 한국인 칭송비, 주인공 김가기를 아시나요?
  8. 우화등선한 선인 김가기 이야기
  9. 종남산신라김가기석각(終南山新羅金可紀石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