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standingOfDigitalHumanities"의 두 판 사이의 차이
red
(→Data Network Practice) |
(→개인 기말과제) |
||
(사용자 8명의 중간 판 23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span style="color: blue">강좌명</span> : 디지털 인문학의 이해(Understanding of Digital Humanities) | *<span style="color: blue">강좌명</span> : 디지털 인문학의 이해(Understanding of Digital Humanities) | ||
*<span style="color: blue">학수번호-분반</span> : KL3222-00 | *<span style="color: blue">학수번호-분반</span> : KL3222-00 | ||
− | *<span style="color: blue">이수구분</span> : | + | *<span style="color: blue">이수구분</span> : 전공선택 |
− | *<span style="color: blue">개설학과(학점)</span> : | + | *<span style="color: blue">개설학과(학점)</span> : 국어국문학과(3) |
− | *<span style="color: blue">강의시간</span> : 수요일 | + | *<span style="color: blue">강의시간</span> : 수요일 15:00-17:45 |
− | *<span style="color: blue">강의실</span> : | + | *<span style="color: blue">강의실</span> : 문과대 301 |
*<span style="color: blue">강사</span> : [http://redint.info 류인태] | *<span style="color: blue">강사</span> : [http://redint.info 류인태] | ||
==='''Overview'''=== | ==='''Overview'''=== | ||
− | ==== | + | ====Summary==== |
− | <div style="text-align:justify">본 강의는 </div> | + | <div style="text-align:justify">현재까지도 디지털 인문학 연구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없는 상황입니다. 디지털 베이스의 컴퓨터 기술과 웹 환경을 인문학 연구에 효과적으로 활용한 여러 방면의 사례를 통칭하는 표현일 뿐, 단일 학문으로서의 일반적 규약이나 보편적으로 검증 가능한 형식의 방법론이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로 인해 '학문'으로서 디지털 인문학을 바라보기에는 여전히 그 한계가 뚜렷하다는 이야기가 많습니다. 그러나 컴퓨터 기술과 웹 환경이 끊임없이 발달함에 따라 인간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체계에서 디지털 미디어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고, 그에 따라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지층으로서 디지털 데이터 환경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이미 우리 일상에 디지털, 컴퓨터, 데이터, 웹, 인공지능 등의 키워드가 깊숙이 침투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본 강의는 이와 같은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급격한 변화 가운데서, 컴퓨터 기술과 웹 환경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여러 인문학 연구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디지털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바라봄과 동시에 그것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맥락이 무엇인지 고민해보고자 합니다. 더 나아가 컴퓨터 기술과 웹 환경을 이용해 데이터를 편찬하고 큐레이션하는 과정을 실습함으로써,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실제가 무엇인지에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가고자 합니다.</div> |
− | ==== | + | ====Objectives==== |
− | <div style="text-align:justify">이 강의의 목표는 </div> | + | <div style="text-align:justify">이 강의의 목표는 '디지털 인문학'이라 불리는 새로운 인문학 연구가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데 있습니다. 그것을 위해 그동안 이루어진 디지털 인문학 방면의 여러 연구를 살펴볼 것이며, 그 과정에서 해당 연구들에 적용되는 보편적 문제의식 또는 방법론이 무엇인지에 대해 꾸준히 토론할 것입니다. 그리고 실제 웹 환경에서 컴퓨터 기술을 이용한 데이터 편찬 및 큐레이션 과정을 실습함으로써 디지털 인문학 연구 방법론에 대한 실질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합니다. '미디어위키(MediaWiki) 전자문서 작성', '프로테제(Protege)를 이용한 온톨로지(Ontology) 설계', '네트워크 그래프(Network Graph) 편찬' 등 그 과정에서 이루어질 세부 내용들은 인문학 연구와 디지털 미디어가 만나는 접점으로서 적용될 것입니다. 더 나아가 개개의 수강생이 흥미를 품고 있던 인문학 방면의 관심사를 디지털 데이터로 편찬해봄으로써, 전통적 인문학이 지니고 있던 가치를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를 통해 되돌아보는 경험 또한 해보게 될 것입니다.</div> |
− | ==== | + | ====Teaching Method==== |
− | *이론 강의 : | + | *이론 강의 : 2주차, 8주차, 9주차 |
− | *실습 : 3주차, | + | *실습 : 3주차, 10주차, 11주차, 12주차. |
− | *발표와 토론 : 5주차, 6주차 | + | *발표와 토론 : 4주차, 5주차, 6주차, 13주차, 14주차. |
− | ==== | + | ====Reference Materials==== |
*단행본 | *단행본 | ||
− | **[ | + |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0674300 김현, 임영상, 김바로, 『디지털 인문학 입문』, HUEBooks, 2016.] |
− | + |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0016886 박치완, 김기홍, 유제상, 세바스티안 뮐러 외, 『디지털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꿈꿀권리, 2015.] | |
+ |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5518083 이재연, 송인재, 문수현, 권윤경, 박은재, 이주영, 『세계 디지털 인문학의 현황과 전망』, 커뮤니케이션북스, 2019.] | ||
+ |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4450616 김택우, 『데이터 인문학』, 한빛미디어, 2019.] | ||
*논문 | *논문 | ||
− | **[http://www.riss.kr/link?id= | + | **[http://www.riss.kr/link?id=T15384743 류인태, 「데이터로 읽는 17세기 재지사족의 일상 : 『지암일기(1692~1699)』 데이터베이스 편찬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 | **[http://www.riss.kr/link?id=A105224890 류인태, 「디지털 인문학과 한문학 연구 -고문헌 자료 대상 국내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漢文學論集』49, 근역한문학회, 2018.] | ||
+ | **[http://www.riss.kr/link?id=A101896187 류인태, 「디지털 환경에서의 인문 지식 연구에 관한 小考 ― 修信使 자료 DB 편찬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50, 열상고전연구회, 2016.] | ||
+ | **[http://www.riss.kr/link?id=A105229099 김현, 안승준, 류인태, 「데이터 기반 인문학 연구 방법의 모색: 문중 고문서 아카이브와 디지털 인문학의 만남」, 『횡단인문학』1, 숙명인문학연구소, 2018.] | ||
+ | **[http://www.riss.kr/link?id=T15021005 한미경, 「내한 개신교 선교사 편지(1884-1942)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기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
+ | **[http://www.riss.kr/link?id=T14450321 박순, 「고전문학 자료의 디지털 아카이브 편찬 연구 : 누정기(樓亭記) 자료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
+ | **[http://www.riss.kr/link?id=T15127421 김지선, 「19세기 여항전기집 수록 인물 관계망 구현 및 분석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
+ | **[http://www.riss.kr/link?id=A105580163 김현종, 「 『大東地志』 「程里考」에 기반한 조선후기의 1리(里)」, 『대한지리학회지』53, 대한지리학회, 2018.] | ||
− | ==== | + | ====Evaluation Standard==== |
− | * | + | *총점 : '''100'''% |
− | *발표 : 중간발표 15%, 기말발표 15% | + | *출석 : '''10'''% (특별한 이유없이 결석하지 않을 경우 감점 없음) |
− | * | + | *발표 : '''30'''% (중간 발표와 기말 발표로 나누어 평가, 발표는 '''팀 기준'''으로 이루어짐) |
− | * | + | **중간발표 : '''15'''% (A : 15, B : 13, C : 11, D : 9) |
+ | **기말발표 : '''15'''% (A : 15, B : 13, C : 11, D : 9) | ||
+ | *과제 : '''60'''% (중간 과제와 기말 과제로 나누어 평가, 과제는 '''개인 기준'''으로 이루어짐) | ||
+ | **중간과제 : '''30'''% (A : 30, B : 26, C : 22, D :18) | ||
+ | **기말과제 : '''30'''% (A : 30, B : 26, C : 22, D :18) | ||
− | ==== | + | ====Assignment==== |
− | * | + | *중간고사 이전 1회, 중간고사 이후 1회의 발표를 한다. |
− | ** | + | **중간고사 이전에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고 그에 대한 리뷰 내용을 발표한다. |
− | ** | + | **중간고사 이후에는 단일 연구 주제를 선택해 온톨로지를 설계하고 데이터를 편찬한 내용을 발표한다. |
+ | *중간 과제 평가는 상황에 따라 시험 or 과제를 유동적으로 실시한다. | ||
+ | *기말 과제 평가는 기말발표 내용에 대한 리뷰에 근거해 그에 대한 내용을 보완한 결과물 평가로 대신한다. | ||
− | * | + | ====Other Things==== |
+ | *본 강의는 웹 환경에서의 컴퓨터 기술이 기본적으로 활용되기에 수강생 개개인의 노트북 지참을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 ||
==='''Students'''=== | ==='''Students'''=== | ||
− | {{버튼클릭|[[ | + | ====A Team==== |
+ | {{버튼클릭|[[화병천]]}} {{버튼클릭|[[소정이|소정이]]}} | ||
+ | |||
+ | ====B Team==== | ||
+ | {{버튼클릭|[[신연주]]}} {{버튼클릭|[[유흥빈|유홍빈]]}} {{버튼클릭|[[Alica|알리카]]}} | ||
+ | |||
+ | ====C Team==== | ||
+ | {{버튼클릭|[[고유민]]}} {{버튼클릭|[[조성빈]]}} {{버튼클릭|[[마동준]]}} {{버튼클릭|[[장준규]]}} | ||
+ | ====D Team==== | ||
+ | {{버튼클릭|[[박성하]]}} {{버튼클릭|[[안정아]]}} {{버튼클릭|[[전동은]]}} {{버튼클릭|[[장시연]]}} | ||
+ | ====E Team==== | ||
+ | {{버튼클릭|[[도지현]]}} {{버튼클릭|[[박도현]]}} {{버튼클릭|[[최수빈]]}} {{버튼클릭|[[윤희권]]}} | ||
+ | ====F Team==== | ||
+ | {{버튼클릭|[[조가영]]}} {{버튼클릭|[[이하진]]}} {{버튼클릭|[[김수리]]}} {{버튼클릭|[[임수현]]}} | ||
+ | |||
+ | {{NetworkGraph | title=디지털인문학의이해_수강생.lst}} | ||
==='''Plan'''=== | ==='''Plan'''===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width:90%; background:white;" |
− | !style="width: | + | !style="width:10%; text-align: center"|'''본래주차'''|| style="width:10%; text-align: center"|'''변경주차'''|| style="width:5%; text-align: center"|'''날짜'''|| style="width:55%; text-align: center"|'''강의 내용'''|| style="width:20%; text-align: center"|'''강의 형식''' |
+ | |- | ||
+ | |01주차 || - || 03/04 || <span style="color: red">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개강연기</span> || - | ||
+ | |- | ||
+ | |02주차 || - || 03/11 || <span style="color: red">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개강연기</span> || - | ||
|- | |- | ||
− | | | + | |03주차 || 01주차 || 03/18 || 오리엔테이션<ref>'''03.16'''부터 '''03.20'''까지 수강정정기간</ref> || 강의 소개(영상) |
|- | |- | ||
− | | | + | |04주차 || 02주차 || 03/25 ||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이란 무엇인가” ('''PPT''') || 이론 강의(영상) |
|- | |- | ||
− | | | + | |05주차 || 03주차 || 04/01 || '''미디어위키(Mediawiki)''' 전자문서 작성 실습 || 실습 |
|- | |- | ||
− | | | + | |06주차 || 04주차 || 04/08 || 디지털 인문학 연구 Review 1 : '''Archive''' & '''Database''' || 발표와 토론 |
|- | |- | ||
− | | | + | |07주차 || 05주차 || 04/15 || 디지털 인문학 연구 Review 2 : '''Mapping''' & '''Network'''<ref>'''04.15'''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일(공휴일)이며, 이로 인해 보강계획 필요</ref> || 발표와 토론 |
|- | |- | ||
− | | | + | |08주차 || 06주차 || 04/22 || 디지털 인문학 연구 Review 3 : '''Miscellaneous Visualization''' || 발표와 토론 |
|- | |- | ||
− | | | + | |09주차 || 07주차 || 04/29 || <span style="color: blue">'''중간고사'''</span> || 평가 |
|- | |- | ||
− | | | + | |10주차 || 08주차 || 05/06 || “데이터 모델링과 온톨로지(Ontology)” ('''PPT''') || 이론 강의 |
|- | |- | ||
− | | | + | |11주차 || 09주차 || 05/13 || 예제를 통한 데이터 편찬 실습 : '''워커힐 호텔과 박정희''' || 실습 |
|- | |- | ||
− | | | + | |12주차 || 10주차 || 05/20 || 데이터 설계: 프로테제(Protege) 활용 || 이론과 실습 |
|- | |- | ||
− | | | + | |13주차 || 11주차 || 05/27 || 데이터 수집: 웹 크룰링과 웹 스크래핑 || 이론과 실습 |
|- | |- | ||
− | | | + | |14주차 || 12주차 || 06/03 || 온톨로지 설계 및 데이터 편찬 실습1 : 개별 주제 선택 || 실습 |
|- | |- | ||
− | | | + | |15주차 || 13주차 || 06/10 || 온톨로지 설계 및 데이터 편찬 실습2 : 개별 주제 선택 || 실습 |
|- | |- | ||
− | | | + | |16주차 || 14주차 || 06/17 || 온톨로지 설계 및 데이터 편찬 실습 사례 발표 1 || 발표와 토론 |
|- | |- | ||
− | | | + | |17주차 || 15주차 || 06/24 || 온톨로지 설계 및 데이터 편찬 실습 사례 발표 2 || 발표와 토론 |
|- | |- | ||
− | |||
|} | |} | ||
86번째 줄: | 120번째 줄: | ||
==='''Research Topics'''=== | ==='''Research Topics'''=== | ||
− | * | + | ====전반기==== |
− | * | + | *'''04월 08일''' 발표 |
+ | **1차 15:00-15:30 : [[Chinese Text Project]], '''A'''조 발표자 : [[화병천]] | ||
+ | **2차 15:40-16:10 : [[The Joyce Project]], '''E'''조 발표자 : [[박도현]] | ||
+ | **3차 16:30-17:00 : [[Witches]], '''F'''조 발표자 : [[김수리]] | ||
+ | **4차 17:10-17:40 : [[What Jane Saw]], '''D'''조 발표자 : [[안정아]] | ||
+ | |||
+ | *'''04월 15일''' 발표 | ||
+ | **1차 15:00-15:30 : [[Grim London]] '''C'''조 발표자 : [[조성빈]] | ||
+ | **2차 15:40-16:10 : [[Formosa]] '''B'''조 발표자 : [[유흥빈|유홍빈]] | ||
+ | **3차 16:30-17:00 : [[Linked Jazz]] '''D'''조 발표자 : [[전동은]] | ||
+ | |||
+ | *'''04월 22일''' 발표 | ||
+ | **1차 15:00-15:30 : [[The Museum of the World]] '''C'''조 발표자 : [[장준규]] | ||
+ | **2차 15:40-16:10 : [[Lit Long]] '''E'''조 발표자 : [[최수빈]] | ||
+ | **3차 16:30-17:00 : [[Chinese Iconography Thesaurus]] '''AB'''조 발표자 : [[Alica|알리카]] | ||
+ | **4차 17:10-17:40 : [[Kindred Britain]] '''F'''조 발표자 : [[조가영]] | ||
+ | ====후반기==== | ||
+ | *[[WalkerhillAndParkchunghee|워커힐과 박정희]] | ||
+ | |||
+ | *황순원의 문학세계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rddYPwQm2nuxJKx_cVJy41oNz6wRS990GX35p9QMI_w/edit?usp=sharing 전체 데이터 테이블]) | ||
+ | **[[HwangsunwonAndPeople|황순원과 주변인물]] : 인물 데이터 '''F'''조 | ||
+ | ***기말발표페이지: [[황순원의생애와주변인물]] | ||
+ | **[[HwangsunwonAndPlace|황순원과 삶의공간]] : 경희대학교 공간 데이터, 황순원의 흔적이 남겨진 공간들 '''E'''조 | ||
+ | ***기말발표페이지: [[황순원의공간과문학세계]] | ||
+ | **[[HwangsunwonAndWorks|황순원과 주요작품]] : 작품 데이터 '''D'''조 | ||
+ | ***기말발표페이지: [[황순원의작품과문예주기]] | ||
+ | **[[HwangsunwonLiteratureAward|황순원 문학상]] : 황순원 문학상 관련 데이터 '''C'''조 | ||
+ | ***기말발표페이지: [[황순원문학상의역사와논란]] | ||
+ | |||
+ | *평화의전당 | ||
+ | **[[GrandPeacePalace|평화의전당]] : 평화의 전당 공연 데이터 '''AB'''조 | ||
+ | ***기말발표페이지: [[2008-2020년평화의전당공연]] | ||
+ | |||
+ | ====개인 기말과제==== | ||
+ | *AB조 | ||
+ | {{버튼클릭|[[데미안 라이스]]}} {{버튼클릭|[[카를라 브루니]]}} {{버튼클릭|[[신운뉴욕예술단]]}} {{버튼클릭|[[브루노 펠티에]]}} {{버튼클릭|[[안전지대]]}} {{버튼클릭|[[유키 구라모토]]}} {{버튼클릭|[[더글라스 케네디]]}} {{버튼클릭|[[로버트 루트번스타인]]}} | ||
+ | |||
+ | {{버튼클릭|[[정여울]]}} {{버튼클릭|[[한결]]}} {{버튼클릭|[[정준일]]}} {{버튼클릭|[[변진섭]]}} {{버튼클릭|[[이승환]]}} {{버튼클릭|[[임태경]]}} {{버튼클릭|[[김동률]]}} {{버튼클릭|[[케냐 지라니 어린이합창단 내한공연]]}} | ||
+ | |||
+ | {{버튼클릭|[[레이프 가렛 내한공연 Lief Garrett]]}} {{버튼클릭|[[허비 행콕 내한 공연 Herbie Hancock]]}} {{버튼클릭|[[짐 브릭만 내한공연 Jim Brickman]]}} | ||
+ | |||
+ | {{버튼클릭|[[테너 호세 카레라스 내한공연 서울 2009]]}} | ||
+ | |||
+ | *C조 | ||
+ | {{버튼클릭|[[제1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버튼클릭|[[제2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버튼클릭|[[제3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버튼클릭|[[제4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 ||
+ | |||
+ | {{버튼클릭|[[『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게 하는 한국 소설의 얼굴』]]}} {{버튼클릭|[[제6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버튼클릭|[[제7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버튼클릭|[[수상작없음]]}} | ||
+ | |||
+ | {{버튼클릭|[[제9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버튼클릭|[[강철소리 나는 '생각'의 문체]]}} {{버튼클릭|[['깐깐함' 그리고 그 너머]]}} {{버튼클릭|[[일상성에 대한 새로운 서사적 탐문]]}} {{버튼클릭|[[이승우의 한 칼]]}} | ||
+ | |||
+ | {{버튼클릭|[[반복과 차이, 혹은 차이와 반복]]}} {{버튼클릭|[[변모하는, 아직 건재하는 단편]]}} {{버튼클릭|[[꽃집 여자의 손수건에서 나는 생선 비린내]]}} {{버튼클릭|[[자기다운 모습이라는 미덕]]}} | ||
+ | |||
+ | {{버튼클릭|[[전도된 기억을 통한 실상의 복원]]}} {{버튼클릭|[[이야기의 힘, 이야기의 승리]]}} {{버튼클릭|[[비지배의 자유를 위하여]]}} {{버튼클릭|[[삶의 비의를 포착하는 문장들]]}} {{버튼클릭|[[읽기 끔찍했던 소설들]]}} | ||
+ | |||
+ | {{버튼클릭|[[완전하고도 풍성한 고독]]}} {{버튼클릭|[[반복해 읽기의 즐거움]]}} {{버튼클릭|[[제13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버튼클릭|[[제14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버튼클릭|[[제15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 ||
+ | |||
+ | {{버튼클릭|[[제16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버튼클릭|[[제17회 황순원 문학상 심사평]]}} {{버튼클릭|[[미당문학상]]}} {{버튼클릭|[[구효서]]}} {{버튼클릭|[[하성란]]}} {{버튼클릭|[[황순원 문학상 폐지]]}} {{버튼클릭|[[김훈『언니의 폐경』 논란]]}} {{버튼클릭|[[김연수]]}} {{버튼클릭|[[김영하]]}} {{버튼클릭|[[수상자에서 심사위원으로]]}} {{버튼클릭|[[황순원 문학상과 문학 흐름]]}} {{버튼클릭|[[황순원문학상의역사와논란]]}} {{버튼클릭|[[백지연]]}} {{버튼클릭|[[이승우]]}} {{버튼클릭|[[황순원문학상 운영위원회]]}} {{버튼클릭|[[문학상 심사 공정성 논란]]}} {{버튼클릭|[[김윤식]]}} {{버튼클릭|[[중앙일보]]}} | ||
+ | |||
+ | *D조 | ||
+ | {{버튼클릭|[[거리의 부사]]}} {{버튼클릭|[[산골아이]]}} {{버튼클릭|[[기러기]]}} {{버튼클릭|[[아버지]]}} {{버튼클릭|[[곡예사]]}} {{버튼클릭|[[단시삼편]]}} {{버튼클릭|[[봄싹]]}} {{버튼클릭|[[단오명절]]}} {{버튼클릭|[[추억]]}} {{버튼클릭|[[졸업일]]}} {{버튼클릭|[[움직이는 성]]}} | ||
+ | |||
+ | {{버튼클릭|[[별과 같이 살다]]}} {{버튼클릭|[[일월]]}} {{버튼클릭|[[방가]]}} {{버튼클릭|[[매일신보]]}} {{버튼클릭|[[나의 꿈]]}} {{버튼클릭|[[겨울풍경]]}} {{버튼클릭|[[잃어버린 사람들]]}} {{버튼클릭|[[직공생활]]}} {{버튼클릭|[[1977년]]}} | ||
+ | |||
+ | *E조 | ||
+ | {{버튼클릭|[[삼일공원]]}} {{버튼클릭|[[서울 사당동 대림아파트]]}} {{버튼클릭|[[국보위]]}} {{버튼클릭|[[서울고등학교]]}} {{버튼클릭|[[홍대 대학로 아트센터 소극장]]}} {{버튼클릭|[[평안남도 대동군 재경리면 천서리]]}} | ||
+ | |||
+ | {{버튼클릭|[[청량리 신현대아파트]]}} {{버튼클릭|[[국제시장]]}} {{버튼클릭|[[서울대병원 장례식장]]}} {{버튼클릭|[[마주앙]]}} {{버튼클릭|[[부산 임시 학교]]}} {{버튼클릭|[[와세다대 문학부 영문과]]}} {{버튼클릭|[[평양경찰서]]}} | ||
+ | |||
+ | {{버튼클릭|[[본평양역]]}} {{버튼클릭|[[와세다 제2고등원]]}} | ||
+ | |||
+ | *F조 | ||
+ | {{버튼클릭|[[양주동]]}} {{버튼클릭|[[김기림]]}} {{버튼클릭|[[황동규]]}} {{버튼클릭|[[서정주]]}} {{버튼클릭|[[류시화]]}} {{버튼클릭|[[김용성]]}} {{버튼클릭|[[조해일]]}} {{버튼클릭|[[이유범]]}} {{버튼클릭|[[박덕규]]}} {{버튼클릭|[[김형경]]}} {{버튼클릭|[[황찬영]]}} {{버튼클릭|[[박종화]]}} | ||
+ | |||
+ | {{버튼클릭|[[양정길]]}} {{버튼클릭|[[김동리]]}} {{버튼클릭|[[백철]]}} {{버튼클릭|[[박동근]]}} {{버튼클릭|[[주영섭]]}} {{버튼클릭|[[김동원]]}} {{버튼클릭|[[김광섭]]}} {{버튼클릭|[[원응서]]}} | ||
==='''Data Network Practice'''=== | ==='''Data Network Practice'''=== | ||
93번째 줄: | 200번째 줄: | ||
* | * | ||
− | ===''' | + | ==='''Useful Information'''=== |
− | ==== | + | ====How to use Mediawiki====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9C%84%ED%82%A4_%EC%BD%98%ED%85%90%EC%B8%A0%EC%9D%98_%EC%B2%B4%EA%B3%84_%EA%B5%AC%EC%83%81 위키 콘텐츠의 체계 구상]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9C%84%ED%82%A4_%EC%BD%98%ED%85%90%EC%B8%A0%EC%9D%98_%EC%B2%B4%EA%B3%84_%EA%B5%AC%EC%83%81 위키 콘텐츠의 체계 구상] |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9C%84%ED%82%A4_%EB%AC%B8%EC%84%9C_%EC%A0%9C%EC%9E%91_%EB%B0%A9%EB%B2%95 위키 문서 제작 방법]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9C%84%ED%82%A4_%EB%AC%B8%EC%84%9C_%EC%A0%9C%EC%9E%91_%EB%B0%A9%EB%B2%95 위키 문서 제작 방법] | ||
*[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EC%9C%84%ED%82%A4_%EB%AC%B8%EB%B2%95 위키백과 - 위키문법] | *[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D%82%A4%EB%B0%B1%EA%B3%BC:%EC%9C%84%ED%82%A4_%EB%AC%B8%EB%B2%95 위키백과 - 위키문법] | ||
*[https://ko.wikipedia.org/wiki/위키백과:위키문법_요약 위키백과 - 위키문법 요약] | *[https://ko.wikipedia.org/wiki/위키백과:위키문법_요약 위키백과 - 위키문법 요약] | ||
+ | *[http://dh.aks.ac.kr/workshop/index.php/%EC%9C%84%ED%82%A4%EB%AC%B8%EB%B2%95 2019 DH워크숍 제공 위키문법 자료] | ||
*[https://www.youtube.com/embed/tzRWa2YL7Aw 2016 디지털 인문학 교육 워크샵 - 03 wiki 콘텐츠 편찬 방법(동영상 강의)] | *[https://www.youtube.com/embed/tzRWa2YL7Aw 2016 디지털 인문학 교육 워크샵 - 03 wiki 콘텐츠 편찬 방법(동영상 강의)] | ||
− | ==== | + | ====How to create a Data Network====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B%8D%B0%EC%9D%B4%ED%84%B0%EC%9D%98_%EC%8B%9C%EA%B0%81%ED%99%94:_%EB%84%A4%ED%8A%B8%EC%9B%8C%ED%81%AC_%EA%B7%B8%EB%9E%98%ED%94%84 데이터의 시각화: 네트워크 그래프]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B%8D%B0%EC%9D%B4%ED%84%B0%EC%9D%98_%EC%8B%9C%EA%B0%81%ED%99%94:_%EB%84%A4%ED%8A%B8%EC%9B%8C%ED%81%AC_%EA%B7%B8%EB%9E%98%ED%94%84 데이터의 시각화: 네트워크 그래프] |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B%82%98%EC%9D%98_%EB%84%A4%ED%8A%B8%EC%9B%8C%ED%81%AC_%EA%B7%B8%EB%9E%98%ED%94%84_%EC%A0%9C%EC%9E%91_%EB%B0%A9%EB%B2%95 나의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방법]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B%82%98%EC%9D%98_%EB%84%A4%ED%8A%B8%EC%9B%8C%ED%81%AC_%EA%B7%B8%EB%9E%98%ED%94%84_%EC%A0%9C%EC%9E%91_%EB%B0%A9%EB%B2%95 나의 네트워크 그래프 제작 방법] | ||
+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Network_Graph_in_Wiki 위키에서 네트워크 그래프 그리기(DH위키)] | ||
− | ==== | + | ====External Website==== |
*[https://www.wordclouds.com/ 워드클라우드 생성기] | *[https://www.wordclouds.com/ 워드클라우드 생성기] | ||
*[http://wordcloud.kr/ 워드클라우드 생성기(한국)] | *[http://wordcloud.kr/ 워드클라우드 생성기(한국)] | ||
+ | |||
+ | ==='''Footnote'''=== | ||
+ | <references/> |
2020년 6월 24일 (수) 14:36 기준 최신판
목차
Information
- 개설기관 : 경희대학교 문과대학
- 강좌명 : 디지털 인문학의 이해(Understanding of Digital Humanities)
- 학수번호-분반 : KL3222-00
- 이수구분 : 전공선택
- 개설학과(학점) : 국어국문학과(3)
- 강의시간 : 수요일 15:00-17:45
- 강의실 : 문과대 301
- 강사 : 류인태
Overview
Summary
현재까지도 디지털 인문학 연구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없는 상황입니다. 디지털 베이스의 컴퓨터 기술과 웹 환경을 인문학 연구에 효과적으로 활용한 여러 방면의 사례를 통칭하는 표현일 뿐, 단일 학문으로서의 일반적 규약이나 보편적으로 검증 가능한 형식의 방법론이 있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로 인해 '학문'으로서 디지털 인문학을 바라보기에는 여전히 그 한계가 뚜렷하다는 이야기가 많습니다. 그러나 컴퓨터 기술과 웹 환경이 끊임없이 발달함에 따라 인간 사이의 커뮤니케이션 체계에서 디지털 미디어의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고, 그에 따라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지층으로서 디지털 데이터 환경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이 점차 증대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입니다. 이미 우리 일상에 디지털, 컴퓨터, 데이터, 웹, 인공지능 등의 키워드가 깊숙이 침투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본 강의는 이와 같은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급격한 변화 가운데서, 컴퓨터 기술과 웹 환경을 적극적으로 수용한 여러 인문학 연구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디지털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바라봄과 동시에 그것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맥락이 무엇인지 고민해보고자 합니다. 더 나아가 컴퓨터 기술과 웹 환경을 이용해 데이터를 편찬하고 큐레이션하는 과정을 실습함으로써,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실제가 무엇인지에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가고자 합니다.
Objectives
이 강의의 목표는 '디지털 인문학'이라 불리는 새로운 인문학 연구가 무엇인지를 이해하는 데 있습니다. 그것을 위해 그동안 이루어진 디지털 인문학 방면의 여러 연구를 살펴볼 것이며, 그 과정에서 해당 연구들에 적용되는 보편적 문제의식 또는 방법론이 무엇인지에 대해 꾸준히 토론할 것입니다. 그리고 실제 웹 환경에서 컴퓨터 기술을 이용한 데이터 편찬 및 큐레이션 과정을 실습함으로써 디지털 인문학 연구 방법론에 대한 실질적 이해를 도모하고자 합니다. '미디어위키(MediaWiki) 전자문서 작성', '프로테제(Protege)를 이용한 온톨로지(Ontology) 설계', '네트워크 그래프(Network Graph) 편찬' 등 그 과정에서 이루어질 세부 내용들은 인문학 연구와 디지털 미디어가 만나는 접점으로서 적용될 것입니다. 더 나아가 개개의 수강생이 흥미를 품고 있던 인문학 방면의 관심사를 디지털 데이터로 편찬해봄으로써, 전통적 인문학이 지니고 있던 가치를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미디어를 통해 되돌아보는 경험 또한 해보게 될 것입니다.
Teaching Method
- 이론 강의 : 2주차, 8주차, 9주차
- 실습 : 3주차, 10주차, 11주차, 12주차.
- 발표와 토론 : 4주차, 5주차, 6주차, 13주차, 14주차.
Reference Materials
- 단행본
- 논문
- 류인태, 「데이터로 읽는 17세기 재지사족의 일상 : 『지암일기(1692~1699)』 데이터베이스 편찬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류인태, 「디지털 인문학과 한문학 연구 -고문헌 자료 대상 국내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漢文學論集』49, 근역한문학회, 2018.
- 류인태, 「디지털 환경에서의 인문 지식 연구에 관한 小考 ― 修信使 자료 DB 편찬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열상고전연구』50, 열상고전연구회, 2016.
- 김현, 안승준, 류인태, 「데이터 기반 인문학 연구 방법의 모색: 문중 고문서 아카이브와 디지털 인문학의 만남」, 『횡단인문학』1, 숙명인문학연구소, 2018.
- 한미경, 「내한 개신교 선교사 편지(1884-1942)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기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9.
- 박순, 「고전문학 자료의 디지털 아카이브 편찬 연구 : 누정기(樓亭記) 자료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 김지선, 「19세기 여항전기집 수록 인물 관계망 구현 및 분석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 김현종, 「 『大東地志』 「程里考」에 기반한 조선후기의 1리(里)」, 『대한지리학회지』53, 대한지리학회, 2018.
Evaluation Standard
- 총점 : 100%
- 출석 : 10% (특별한 이유없이 결석하지 않을 경우 감점 없음)
- 발표 : 30% (중간 발표와 기말 발표로 나누어 평가, 발표는 팀 기준으로 이루어짐)
- 중간발표 : 15% (A : 15, B : 13, C : 11, D : 9)
- 기말발표 : 15% (A : 15, B : 13, C : 11, D : 9)
- 과제 : 60% (중간 과제와 기말 과제로 나누어 평가, 과제는 개인 기준으로 이루어짐)
- 중간과제 : 30% (A : 30, B : 26, C : 22, D :18)
- 기말과제 : 30% (A : 30, B : 26, C : 22, D :18)
Assignment
- 중간고사 이전 1회, 중간고사 이후 1회의 발표를 한다.
- 중간고사 이전에는 디지털 인문학 연구 사례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고 그에 대한 리뷰 내용을 발표한다.
- 중간고사 이후에는 단일 연구 주제를 선택해 온톨로지를 설계하고 데이터를 편찬한 내용을 발표한다.
- 중간 과제 평가는 상황에 따라 시험 or 과제를 유동적으로 실시한다.
- 기말 과제 평가는 기말발표 내용에 대한 리뷰에 근거해 그에 대한 내용을 보완한 결과물 평가로 대신한다.
Other Things
- 본 강의는 웹 환경에서의 컴퓨터 기술이 기본적으로 활용되기에 수강생 개개인의 노트북 지참을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Students
A Team
B Team
C Team
D Team
E Team
F Team
Plan
본래주차 | 변경주차 | 날짜 | 강의 내용 | 강의 형식 |
---|---|---|---|---|
01주차 | - | 03/04 |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개강연기 | - |
02주차 | - | 03/11 |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개강연기 | - |
03주차 | 01주차 | 03/18 | 오리엔테이션[1] | 강의 소개(영상) |
04주차 | 02주차 | 03/25 |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이란 무엇인가” (PPT) | 이론 강의(영상) |
05주차 | 03주차 | 04/01 | 미디어위키(Mediawiki) 전자문서 작성 실습 | 실습 |
06주차 | 04주차 | 04/08 | 디지털 인문학 연구 Review 1 : Archive & Database | 발표와 토론 |
07주차 | 05주차 | 04/15 | 디지털 인문학 연구 Review 2 : Mapping & Network[2] | 발표와 토론 |
08주차 | 06주차 | 04/22 | 디지털 인문학 연구 Review 3 : Miscellaneous Visualization | 발표와 토론 |
09주차 | 07주차 | 04/29 | 중간고사 | 평가 |
10주차 | 08주차 | 05/06 | “데이터 모델링과 온톨로지(Ontology)” (PPT) | 이론 강의 |
11주차 | 09주차 | 05/13 | 예제를 통한 데이터 편찬 실습 : 워커힐 호텔과 박정희 | 실습 |
12주차 | 10주차 | 05/20 | 데이터 설계: 프로테제(Protege) 활용 | 이론과 실습 |
13주차 | 11주차 | 05/27 | 데이터 수집: 웹 크룰링과 웹 스크래핑 | 이론과 실습 |
14주차 | 12주차 | 06/03 | 온톨로지 설계 및 데이터 편찬 실습1 : 개별 주제 선택 | 실습 |
15주차 | 13주차 | 06/10 | 온톨로지 설계 및 데이터 편찬 실습2 : 개별 주제 선택 | 실습 |
16주차 | 14주차 | 06/17 | 온톨로지 설계 및 데이터 편찬 실습 사례 발표 1 | 발표와 토론 |
17주차 | 15주차 | 06/24 | 온톨로지 설계 및 데이터 편찬 실습 사례 발표 2 | 발표와 토론 |
Report
Research Topics
전반기
- 04월 08일 발표
- 1차 15:00-15:30 : Chinese Text Project, A조 발표자 : 화병천
- 2차 15:40-16:10 : The Joyce Project, E조 발표자 : 박도현
- 3차 16:30-17:00 : Witches, F조 발표자 : 김수리
- 4차 17:10-17:40 : What Jane Saw, D조 발표자 : 안정아
- 04월 15일 발표
- 1차 15:00-15:30 : Grim London C조 발표자 : 조성빈
- 2차 15:40-16:10 : Formosa B조 발표자 : 유홍빈
- 3차 16:30-17:00 : Linked Jazz D조 발표자 : 전동은
- 04월 22일 발표
- 1차 15:00-15:30 : The Museum of the World C조 발표자 : 장준규
- 2차 15:40-16:10 : Lit Long E조 발표자 : 최수빈
- 3차 16:30-17:00 : Chinese Iconography Thesaurus AB조 발표자 : 알리카
- 4차 17:10-17:40 : Kindred Britain F조 발표자 : 조가영
후반기
- 황순원의 문학세계 (전체 데이터 테이블)
- 황순원과 주변인물 : 인물 데이터 F조
- 기말발표페이지: 황순원의생애와주변인물
- 황순원과 삶의공간 : 경희대학교 공간 데이터, 황순원의 흔적이 남겨진 공간들 E조
- 기말발표페이지: 황순원의공간과문학세계
- 황순원과 주요작품 : 작품 데이터 D조
- 기말발표페이지: 황순원의작품과문예주기
- 황순원 문학상 : 황순원 문학상 관련 데이터 C조
- 기말발표페이지: 황순원문학상의역사와논란
- 황순원과 주변인물 : 인물 데이터 F조
- 평화의전당
- 평화의전당 : 평화의 전당 공연 데이터 AB조
- 기말발표페이지: 2008-2020년평화의전당공연
- 평화의전당 : 평화의 전당 공연 데이터 AB조
개인 기말과제
- AB조
- C조
- D조
- E조
- F조
Data Network Practice
Useful Information
How to use Mediawiki
- 위키 콘텐츠의 체계 구상
- 위키 문서 제작 방법
- 위키백과 - 위키문법
- 위키백과 - 위키문법 요약
- 2019 DH워크숍 제공 위키문법 자료
- 2016 디지털 인문학 교육 워크샵 - 03 wiki 콘텐츠 편찬 방법(동영상 강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