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목록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 2020년 10월 19일 (월) 15:08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몸 씻는 여러 도구:탕관 (역사) [3,097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탕관(湯罐)'''<br/> 일찍이 중국에서 만든 백동관(白銅罐)을 본 적이 있는데, 제도가 완자(卍字)탕기와 비슷하지만 그보다 더 크고...)
- 2020년 10월 19일 (월) 15:05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몸 씻는 여러 도구:질그릇대야 (역사) [1,560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질그릇대야[陶盆]<ref>질그릇대야[陶盆]:500~1000℃ 이하에서 구워 만든 대야. 그 이상에서 구운 것은 ‘도기(陶器)’라 부르고,...)
- 2020년 10월 19일 (월) 15:03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몸 씻는 여러 도구:조두합 (역사) [1,23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조두합(澡豆盒, 가루비누합)'''<br/> 나무를 갈이틀로 둥글게 깎아 2칸짜리 합을 만들고, 1칸에는 조두(澡豆, 가루비누)를 담고 다...)
- 2020년 10월 19일 (월) 15:00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몸 씻는 여러 도구:유황이 (역사) [2,03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유황이(硫黃匜, 뒷물용 유황대야)'''<br/> 날마다 뜨거운 물로 앞뒤의 음부(陰部)를 씻으면 하초(下焦)<ref>하초(下焦):삼초(三焦)...)
- 2020년 10월 19일 (월) 14:57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몸 씻는 여러 도구:양칫물사발 (역사) [1,174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양칫물사발[漱水碗]'''<br/> 지금 사람들은 날마다 음식을 담는 데 쓰는 작은 사발에다 양칫물을 담아 세숫물이 든 세숫대야에 띄...)
- 2020년 10월 19일 (월) 14:54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몸 씻는 여러 도구:수건 (역사) [96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수건[帨]'''<br/> 수건은 연경에서 수입한 청색과 백색이 섞인 칡베 수건이 좋은데, 민간에서는 이를 ‘아롱베[반베]’라 부른다....)
- 2020년 10월 19일 (월) 14:52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몸 씻는 여러 도구:세숫대야깔개 (역사) [798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세숫대야깔개[頮盆藉]'''<br/> 소가죽에 기름을 먹이거나 옻칠을 하고, 가죽바닥은 푸른 칡베(갈포)로 꾸며서 세숫대야 바닥에 깔...)
- 2020년 10월 19일 (월) 14:50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몸 씻는 여러 도구:세수치마 (역사) [1,040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세수치마[盥裳]<ref>세수치마[盥裳]:세수할 때 물이 튀어 옷이 젖지 않게 앞에 두르는 도구로, 형태는 다음의 행주치마(앞치마)...)
- 2020년 10월 19일 (월) 14:48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몸 씻는 여러 도구:사기대야 (역사) [1,606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사기대야[瓷盆]<ref>사기대야[瓷盆]:흙으로 빚어 만든 대야를 말한다. 시대별 도자기의 특성과 맞물려 고려시대에는 청자로 만...)
- 2020년 10월 19일 (월) 14:45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몸 씻는 여러 도구:목욕통 (역사) [2,09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목욕통[浴盆]'''<br/> 나무를 쪼개고 파내어 큰 대야를 만들고 소가죽으로 그 안팎을 싼 다음 옻칠하여 광을 두껍게 낸다. 따로 큰...)
- 2020년 10월 19일 (월) 14:05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몸 씻는 여러 도구:놋대야 (역사) [4,002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놋대야[銅盆]<ref>놋대야[銅盆]:놋쇠로 만든 대야. 대야는 물을 담아서 얼굴과 손발을 씻는 둥글넓적하게 생긴 그릇이다. 사기...)
- 2020년 10월 19일 (월) 14:01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몸 씻는 여러 도구:나무대야 (역사) [947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나무대야[木盆]'''<br/> 나무를 쪼개고 파내어 대야를 만드는데, 전의 너비는 몇 촌이다. 여기에 옻칠을 하기도 하고, 석간주(石間...)
- 2020년 10월 19일 (월) 13:57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몸 씻는 여러 도구:가죽대야 (역사) [1,024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가죽대야[革盆]'''<br/> 나무를 갈이틀로 둥글게 깎아 대야의 틀을 만들고, 생소가죽을 가마솥에 넣고 삶은 뒤 뜨거울 때 나무틀...)
- 2020년 10월 19일 (월) 13:52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화장대 (역사) [2,570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화장대[奩]<ref>화장대[奩]:화장품을 담아 보관하는 도구. 처음에는 빗접처럼 거울이 없었는데, 상단에 거울이 붙으면서 ‘경대...)
- 2020년 10월 19일 (월) 13:48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참빗 (역사) [1,536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참빗[笓]<ref>참빗[笓]:빗살이 아주 가늘고 촘촘하게 맞닿아 있는 빗. 머리를 깔끔하게 다듬을 때 쓴다.파일: 참빗.jpg|200픽셀|...)
- 2020년 10월 19일 (월) 13:43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족집게 (역사) [1,207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족집게[鑷子]<ref>족집게[鑷子]:잔털이나 가시 등을 뽑는 데 쓰는, 쇠로 만든 조그마한 도구.파일: 귀이개.jpg|300픽셀|썸네일|가...)
- 2020년 10월 19일 (월) 13:40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유리거울 (역사) [4,05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유리거울[玻瓈鏡]<ref>유리거울[玻瓈鏡]:유리로 만든 거울로, 유리는 석영과 탄산소다, 석회암을 섞어 높은 온도에서 녹인 다음...)
- 2020년 10월 19일 (월) 13:34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얼레빗 (역사) [1,696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얼레빗[梳]<ref>얼레빗[梳]:빗살이 성근 큰 빗. 엉킨 머리를 대충 가지런하게 할 때 쓴다.파일: 얼레빗.jpg|300픽셀|썸네일|가운...)
- 2020년 10월 19일 (월) 10:17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살쩍밀이 (역사) [1,524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살쩍밀이[斂鬢簽]<ref>살쩍밀이[斂鬢簽]:남자의 머리카락을 정돈하는 도구의 하나. 살쩍(관자놀이와 귀 사이에 난 머리털)이 흩...)
- 2020년 10월 19일 (월) 10:14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빗치개 (역사) [1,590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빗치개[笓挑齒]<ref>빗치개[笓挑齒]:빗살 틈에 낀 때를 빼거나 가르마를 타는 데 쓰는 도구로, 쪽머리 뒤에 덧꽂는 장식인 뒤꽂...)
- 2020년 10월 19일 (월) 10:10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빗접 (역사) [5,146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빗접[梳匣]<ref>빗접[梳匣]:머리 손질에 필요한 빗・빗솔・빗치개・뒤꽂이・살쩍밀이 등을 넣어 보관하는 그릇. 위에는 뚜껑이...)
- 2020년 10월 19일 (월) 10:04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민자 (역사) [858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민자(刡子)<ref>민자(刡子):면빗(관자놀이와 귀 사이에 난 머리털을 빗어 넘기는 빗)으로 추측되나, 구체적으로 어떤 모양인지...)
- 2020년 10월 19일 (월) 09:53 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구리거울 (역사) [7,77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구리거울[銅鏡]<ref>구리거울[銅鏡]:구리를 재료로 만든 거울로, 앞면은 반들반들하게 하여 물체를 비추고 뒷면은 무늬가 있다....)
- 2020년 10월 19일 (월) 09:51 임원텍스트 (역사) [39 바이트] 민철기 (토론 | 기여) (새 문서: 임원경제지 텍스트 입력작업)
- 2020년 10월 16일 (금) 17:15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하원 (역사) [1,576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하원(10월 15일)의 달 감상'''<br/> 10월 15일은 하원절(下元節)이다. 송나라 태평흥국(太平興國)<ref>태평흥국(太平興國):중국 송나...)
- 2020년 10월 16일 (금) 16:57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칠석 (역사) [2,116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칠석(7월 7일)의 걸교(乞巧, 길쌈과 바느질 잘하도록 빌기)'''<br/> 칠석날이라는 명절은 초나라 회왕(懷王)<ref>회왕(懷王):B.C 355~B...)
- 2020년 10월 16일 (금) 16:49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진나라 설날 (역사) [3,00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진나라 설날[秦歲首, 10월 1일]의 햇곡식 맛보기'''<br/>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10월 초하루에는 서확(黍臛)<ref>서확(黍...)
- 2020년 10월 16일 (금) 16:42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중추절 (역사) [7,25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중추절(中秋節)의 달 구경'''<br/> 민간에서는 중추절을 ‘추석(秋夕)’이라 하고 ‘가배(嘉排)’라고도 한다. 《삼국사기(三國史...)
- 2020년 10월 16일 (금) 16:35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우란분회 (역사) [3,56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중원(7월 15일)의 우란분회(盂蘭盆會, 온갖 음식 공양하고 즐기는 모임)'''<br/> 민간에서는 ‘백종절(百種節, 백중절)’이라 한다....)
- 2020년 10월 16일 (금) 16:31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중양절 (역사) [1,797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중양절(重陽節, 9월 9일)의 높은 곳 오르기'''<br/> 9월 9일에 높은 곳에 오르는 일은 《속제해기(續齊諧記)》<ref>속제해기(續齊諧記...)
- 2020년 10월 16일 (금) 16:27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전중양절 (역사) [2,044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전중양절(展重陽節, 9월 19일)<ref>전중양절(展重陽節):중양절을 연장하여 다시 만든 중양절이란 뜻이다.</ref>의 국화 감상'''<br/>...)
- 2020년 10월 16일 (금) 15:40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수세 (역사) [2,43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섣달 그믐날의 수세(守歲, 밤 새기)'''<br/> 온 집안에 등불을 달되 외양간과 뒷간까지 각각 한 초롱의 등불을 밝히고, 밤새도록...)
- 2020년 10월 16일 (금) 15:34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피서음 (역사) [3,658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삼복의 피서음(避暑飮, 피서하며 술 마시기)'''<br/> 육기(陸機)<ref>육기(陸機):260~303. 중국 서진(西晉)의 문학가·서법가. 자는 사...)
- 2020년 10월 16일 (금) 15:29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복날 (역사) [4,494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복날[伏日]<ref>복날[伏日]:복날은 장차 일어나고자 하는 음기가 양기에 눌려 엎드려 있다는 말로, 여름의 더운 기운이 가 을의...)
- 2020년 10월 16일 (금) 15:18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때에 따라 모이는 모임:월회 (역사) [7,123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월회'''<br/> 명나라의 엄무순(嚴武順)<ref>엄무순(嚴武順):?~?. 중 국 청 나라의 문 인. 절 강성(浙江省) 여 항(餘杭) 사 람. 자 는...)
- 2020년 10월 16일 (금) 15:14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때에 따라 모이는 모임:탕병회 (역사) [2,423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월조탕병회(月朝湯餠會, 매월 초하루 탕병 모임)'''<br/> 송나라 유재(劉宰)<ref>유재(劉宰):1167~1240. 중국 남송(南宋)의 관리. 자는...)
- 2020년 10월 16일 (금) 14:58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때에 따라 모이는 모임:생일회 (역사) [15,974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생일회(生日會, 생일 모임)'''<br/> 요즘은 생일잔치에 빈객과 벗들을 모아 시끌벅적 소리를 치며 잔을 들어 축하한다. 일찍이 기...)
- 2020년 10월 16일 (금) 14:52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때에 따라 모이는 모임:상치회 (역사) [5,54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상치회(尙齒會, 경로 모임)<ref>상치회(尙齒會, 경로 모임):노인을 자리에 청하고 음식을 장만해서 놀며 시를 짓고 노는 모임....)
- 2020년 10월 16일 (금) 14:48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때에 따라 모이는 모임:범주회 (역사) [3,56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범주회(泛舟會, 뱃놀이 모임)'''<br/> 조각배를 타고 호수를 떠다니는 일은 납극(蠟屐)<ref>납극(蠟屐):밀랍을 발라 비가 오는 날...)
- 2020년 10월 16일 (금) 14:42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모임 운영의 규약:초청 (역사) [23,106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초청'''<br/> 손님을 초청할 때 서간(書簡) 하나를 공동으로 사용하여, 손님은 자신의 이름 글자 아래에 참석 여부를 표시하고 별...)
- 2020년 10월 16일 (금) 14:19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때에 따라 모이는 모임:관덕회 (역사) [3,746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관덕회(觀德會, 덕을 살피는 활쏘기 모임)'''<br/> 옛날의 활쏘기에는 2가지가 있다. 향대부(鄕大夫)<ref>향대부(鄕大夫):향(鄕)의...)
- 2020년 10월 16일 (금) 14:18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때에 따라 모이는 모임:난강 (역사) [3,078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난강(煖講, 복습 모임)<ref>난강(煖講, 복습 모임):간단한 음식을 놓고 지난번에 배운 것을 익히고 확인하며 학업을 독려하는 모...)
- 2020년 10월 16일 (금) 14:05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동지 (역사) [1,44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동지의 집안 잔치'''<br/> 예로부터 이날 조상에게 올리는 제사를 가장 중요하게 여겼고, 집안 어른들께 절하는 일을 설날 아침의...)
- 2020년 10월 16일 (금) 13:59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동제 (역사) [3,966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동제(冬除, 동지 전날)의 밤 새기'''<br/> 육유(陸游)<ref>육유(陸游):1125~1209. 중국 남송(南宋)의 시인. 자는 무관(務觀), 호는 방옹(...)
- 2020년 10월 16일 (금) 13:45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납회 (역사) [4,014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납회(臘會, 납일 모임)'''<br/> 우리나라는 동지 후 3번째 미일(未日)을 납일로 삼는다. 《지봉유설(芝峯類說)》을 살펴보니, 채옹(...)
- 2020년 10월 16일 (금) 13:30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매화 감상 (역사) [1,168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납일(臘日)<ref>납일(臘日):동지가 지난 뒤 3번째 미일(未日). 나라에서는 종묘와 사직에 제사를 지내고 민간에서는 여러 신에게...)
- 2020년 10월 16일 (금) 13:26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난한회 (역사) [3,949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난한회(暖寒會, 추위 녹이는 연회)'''<br/> 왕원보(王元寶)<ref>왕원보(王元寶):?~?. 중국 당(唐)나라의 문인. 황제와 대적할 수 있...)
- 2020년 10월 16일 (금) 13:18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관연절 (역사) [12,945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관연절(觀蓮節, 연꽃 구경일)의 연꽃 감상'''<br/> 《내관일소(內觀日疏)<ref>내관일소(內觀日疏):《說郛》 卷31에 실려 있는 작...)
- 2020년 10월 16일 (금) 13:06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이죽회 (역사) [5,613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8월 8일의 이죽회(대나무 옮겨 심는 날의 모임)'''<br/> 정우문(程羽文)이 정리한 월별 행사에 5월 13일을 죽취일(竹醉日)로 삼았다....)
- 2020년 10월 16일 (금) 12:54 이운지:각 절기의 구경거리와 즐거운 놀이:절일의 세부 내용:유두회 (역사) [2,651 바이트] 최시남 (토론 | 기여) (새 문서: ==내용== '''6월 보름의 유두회(流頭會)'''<br/> 6월 15일을 민간에서는 ‘유두절(流頭節)<ref>유두절(流頭節):6월 보름에 동쪽으로 흐르는 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