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머리 다듬는 여러 도구:유리거울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12) 유리거울[玻瓈鏡][1]
유리[玻瓈]는 옥의 이름으로, 원래 서양에서 났다. 명나라의 삼보태감(三保太監) 정화(鄭和)[2]가 서양에 나갔다가 유리 만드는 사람을 데리고 중국에 들어왔기 때문에 중국에 유리가 갑자기 흔해졌다. 지금 연경에서 수입한 유리거울은 모두 석즙(石汁)[3]과 여러 약물을 함께 녹여 가짜로 만들어 낸 것들이다. 몸체가 타원형이며, 상어가죽으로 갑을 싸서 옻칠한 뒤 가장자리에 황동으로 만든 작은 못을 빙 돌아가며 박은 거울을 ‘오갑경(烏匣鏡)’이라 하는데, 품질을 상급으로 친다. 반면 몸체가 네모나며, 양가죽을 붉게 물들여 갑을 싼 거울은 ‘피갑경(皮匣鏡)’이라 하는데, 품질을 하급으로 친다. 오갑경 중에는 손바닥만큼 작은 것이 있는데, 여행자들이 휴대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금화경독기》

온몸을 다 비출 수 있을 만큼 큰 유리거울을 ‘몸거울(체경)’이라 하는데, 그중 가장 큰 몸거울은 높이가 5~6척, 너비가 3척 정도이다. 강진향(降眞香)[4]으로 받침대를 만들고 여기에 풀과 용, 화초 모양을 아로새긴다. 값이 비쌀 뿐만 아니라 운반하기도 어려워 재력이 있는 자가 아니면 장만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서재에 몸거울을 둘 때는 금(錦)이나 단(緞) 직물[5]로 덮개[護衣][6]를 만들어 먼지를 막아야 한다. 다시 무늬가 아름다운 나무로 받침대를 만들고 좌우와 뒤 3면을 모두 널빤지로 담을 만든 다음 앞면에 문짝 2개를 달아 여닫을 수 있게 한다. 만약 크기가 작아서 1척 남짓을 넘지 않고, 윗머리에 타원형 구리 고리를 꿴 거울이라면 굳이 받침대에 보관할 필요가 없다. 다만 색이 있는 단(緞) 직물로 덮개를 만들어 베갯머리 쪽 벽에 걸어 두어도 된다.《금화경독기》[7]

각주

  1. 유리거울[玻瓈鏡]:유리로 만든 거울로, 유리는 석영과 탄산소다, 석회암을 섞어 높은 온도에서 녹인 다음 급히 냉각해서 만든다. 베네치아인들이 유리판에 주석과 수은의 합금을 얇은 층으로 입혀 거울의 선명도를 높였다.
    나무 안에 유리를 끼우게 만든 거울(국립민속박물관)
  2. 정화(鄭和):1371~1435. 중국 명나라의 환관이자 무장으로, 영락제(永樂帝, 1360~1424)가 반란을 일으켜 황제에 즉위하자 환관의 우두머리인 태감(太監)의 자리에 올랐다. 영락제의 지시로 1405년에 대규모 함대를 이끌고 동남아시아와 인도, 서아시아 지역 등을 원정했다. 아프리카에까지 이르렀다는 설도 있다.
  3. 석즙(石汁):돌을 녹인 물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이나, 정확한 의미는 잘 모르겠다
  4. 강진향(降眞香):꼭두서닛과 향나무의 하나로, 계골향(鷄骨香)이나 자등향(紫藤香)이라고도 한다.
  5. 금(錦)이나 단(緞) 직물:이 같은 직물에 대해서는 《전공지》 권2 〈길쌈[織紝]〉을 참조 바람.
  6. 덮개[護衣]:유리에 먼지가 붙지 않도록 덮어 주는 천으로, 유리의 크기에 따라 덮개의 크기도 달라진다.
    거울 달린 화장대의 유리 덮개(국립민속박물관)
  7.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2, 풍석 서유구 지음,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6), 205~20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