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몸 씻는 여러 도구:목욕통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11) 목욕통[浴盆]
나무를 쪼개고 파내어 큰 대야를 만들고 소가죽으로 그 안팎을 싼 다음 옻칠하여 광을 두껍게 낸다. 따로 큰 널빤지를 12각형으로 만들고, 가장자리에는 하엽동자(荷葉童子)가 있는 난간을 두른다. 법제들기름에 석록(石綠)과 석간주 등을 섞어 여기에 바른 뒤 목욕대야를 받쳐 욕실에 둔다. 욕조 곁에는 옷걸이를 설치하여 목욕수건을 건다. 또 주둥이와 주전자 손잡이 같은 손잡이가 있는 놋대야욕조[銅匜] 1개를 두는데, 이것으로 오지탕(五枝湯)[1]을 운반해다가 욕조에 물을 붓고 목욕한다.《금화경독기》

비자나무는 땅에 묻어 두어도 물에 썩지 않아 목욕 기물을 만들 수 있다.《화한삼재도회》[2][3]

각주

  1. 오지탕(五枝湯):다섯 종류의 나뭇가지를 넣어 끓인 물. 오지탕을 만드는 법은 《보양지》 권5 〈약음식의 복용〉 “기타 방법” ‘목욕물 처방’에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나온다. “뽕나무가지·회화나무가지·닥나무가지·버들가지·복숭아나무가지 각 1줌, 삼잎 2근. 이상의 6가지 약재를 물 1석에 끓여 8두 정도 되면 찌꺼기를 제거하고 하루 한번 목욕한다.(用桑枝、 槐枝、 楮枝、 柳枝、 桃枝各一握、 麻葉二斤. 右件六味, 以水一石, 煎至八斗許, 去滓, 溫浴一日一次.)”
  2. 《和漢三才圖會》 卷88 〈夷果類〉 “榧”(《倭漢三才圖會》 10, 443쪽).
  3.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2, 풍석 서유구 지음,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6), 186~18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