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용지:몸 씻는 도구와 머리 다듬는 도구:몸 씻는 여러 도구:놋대야
내용
1) 놋대야[銅盆][1]
옛사람들은 세수할 때 이(匜)[2]에 물을 담아 손에 부어 주고 물받이 대야로 이 물을 받았다. 《좌전(左傳)》에서 “이(匜)를 받들고 대야에 물을 부어 드렸다.” [3]라고 했고, 《예기》 〈내칙(內則)〉에서 는 “부모나 시부모 계신 곳에 가서 젊은이는 대야를 받들고, 연장자는 물을 받들어 대야에 물을 부어서 세수하기를 청한다.” [4]라 했다.
지금 사람들은 세수할 때 세숫대야[匜][5]는 있지만 물받이 대야는 없어 다만 두 손을 세숫대야에 넣고 물을 양손으로 움켜 떠서 얼굴을 씻는다. 그로 인해 씻은 물이 그대로 세숫대야 안으로 들어가게 된다. 두 번째 움켜 뜰 때부터는 물이 모두 먼지와 때로 혼탁해진 것인데도, 다시 그 물로 얼굴을 씻으면서 깨끗하길 바란다. 이는 거울을 뒤집어 놓고 거울에 비치길 바라는 일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세수하는 방식은 서둘러 옛 제도를 따라야 할 것이다. 지금 초례를 치르는 신부의 세수 그릇은 반드시 전[唇]이 있는 물받이 놋대야로 놋쇠로 만든 작은 이(匜)의 물을 받는 형식이니, 오히려 옛 제도를 잃지 않았다. 다만 이(匜)에는 귀때[6]가 없을 뿐이다.【《설문해자》에서는 “‘이(匜)’는 국자[羹魁]와 비슷하지만 자루에 길이 있어서 물을 부을 수 있다.” [7]라 했다.】《금화경독기》
속담에 “집이 궁색하다 말 말고 세숫대야는 꼭 놋대야를 써야 한다.”라 했다. 대개 날마다 나무대야에서 얼굴을 씻으면 자연스레 눈이 손상되지만, 놋쇠는 금(金)의 기운을 지니고 있어서 매우 유익하다.《지세사》 [8][9]
각주
- ↑ 놋대야[銅盆]:놋쇠로 만든 대야. 대야는 물을 담아서 얼굴과 손발을 씻는 둥글넓적하게 생긴 그릇이다. 사기대야, 나무대야 등 소재에 따라 이름만 다를 뿐 형태는 비슷하다.
- ↑ 이(匜):고대 중국 청동기의 한 기물로, 술을 따라 부을 때 쓰는 부리가 달린 타원형 그릇이다. 서주(西周) 후기 이후에는 반(盤)과 함께 한 쌍으로 물을 담는 그릇으로 사용했다. 서주(西周) 시대에는 그릇에 다리가 있었는데, 원대(元代)로 갈수록 다리가 없어지면서 그릇으로 사용했다. 우리나라도 원의 영향을 받아 그릇으로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 ↑ 《春秋左傳正義》 卷15 〈僖公〉 23年(《十三經注疏整理本》 17, 474쪽).
- ↑ 《禮記正義》 卷27 〈內則〉(《十三經注疏整理本》 14, 969쪽).
- ↑ 세숫대야[匜]:원문의 ‘匜’는 세숫물을 따르는 주전자 같은 기물이지만, 여기서부터는 세숫대야의 의미로 사용한 것으로 보고 그렇게 옮긴다.
- ↑ 귀때:주전자의 부리같이 그릇 한쪽에 바깥쪽으로 내밀어 만든 구멍.
- ↑ 《說文解字》 卷20 下 〈文七〉.
- ↑ 출전 확인 안 됨.
- ↑ 《임원경제지 섬용지(林園經濟志 贍用志)》2, 풍석 서유구 지음,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6), 179~181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