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탑비문 기사 목록

DHLab
이동: 둘러보기, 검색
승탑비문 관리 메뉴

개관 · 온톨로지 · 전체노드 · 문맥노드 · 기획기사 · 교열목록· 일러스트 · 시간정보 · 작업노트 · 답사노트 · 분류 페이지


전체목록

중심기사
탑비 총 n건
중심기사
승려 총 n건
중심기사
사찰/사지 총 n건
문맥기사
총 n건
비문
총 n건
  • 지정문화재 탑비
  1.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강혜원
  2.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강혜원
  3.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서소리
  4.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김사현
  5.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서소리
  6.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서소리
  7.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최한샘
  8.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최한샘
  9.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서소리
  10.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서소리
  11.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서소리
  12.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최한샘
  13.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최한샘
  14.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최한샘
  15.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최한샘
  16.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서소리
  17.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김사현
  18.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최한샘
  19.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강혜원
  20.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김현규
  21.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강혜원
  22.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서소리
  23.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김현규
  24.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 김사현
  25.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서소리
  26.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강혜원
  27.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강혜원
  28.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김현규
  29.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김현규
  30.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김현규
  31.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김현규
  32.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강혜원
  33.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최한샘
  34.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강혜원
  35.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강혜원
  36.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김사현
  37.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최한샘
  38.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최한샘
  39.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김사현
  40.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강혜원
  41.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김현규
  42.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김사현
  43. 합천 반야사지 원경왕사비 서소리
  44.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김현규
  45.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김현규
  46.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 및 비 서소리
  47.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비 김현규
  • 기타 탑비
  1.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 강혜원
  2.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강혜원
  1. 체징
  2. 형미
  3. 염거
  4. 보우
  5. 수철
  6. 찬영
  7. 혜소
  8. 윤다
  9. 혼수
  1. 장흥 보림사
  2. 고양 태고사
  3. 곡성 태안사
  4. 충주 청룡사지
  5. 원주 거돈사지
  1.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2.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3.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4.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5. 비로자나불
  6. 사천왕
  7. 귀부
  8. 이수
  1.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문
  2.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문
  3.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문
  4.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문
  5.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문
  6.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문
  7.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문
  8.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문
  9.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문
  10.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문
  11.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문
  12.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문
  13.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문
  14.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문


세트기준

중심기사
사찰/사지
중심기사
탑비
중심기사
승려
문맥기사 비문 건수
순천 선암사, 칠곡 선봉사, 개성 흥왕사, 개성 영통사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 의천, 난원 순천 선암사 승선교, 순천 선암사 동서 삼층석탑, 순천 선암사 대웅전, 순천 선암사 원통전, 순천 선암사 대각암 승탑,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순천 선암사 중수비, 순천 선암사 불조전, 조정래, 교장도감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문,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문 전체:19 (중심기사:5, 문맥기사:14)
청도 운문사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학일, 연초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청도 운문사 작압전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문 전체:10 (중심기사:3, 문맥기사:7)
양양 진전사지, 군위 인각사지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일연, 도의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군위 인각사 미륵당 석불좌상,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양양 진전사지 도의선사탑, 왕희지, 삼국유사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문 전체:14 (중심기사:3, 문맥기사:11)

전체

담당 탑비 승려 노드 비문
김사현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진감선사 혜소(眞鑑禪師 慧昭)
  • 승려
  1. 혜소 - 탑비의 주인
  2. 삼법 - 하동 쌍계사의 최초 창건 스님. 당시 옥천사로 불리다 이후 쌍계사로 고쳐 불림.
  3. 벽암 - 임진왜란 때 불탄 쌍계사를 중창함
  4. 도의 - 중국에서 만나 잠시 함께 다님.
  • 탑비
  1.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 혜소의 탑비
  • 사찰
  1. 하동 쌍계사
  2. 상주 백장사 - 혜소가 중국 유학 후 신라로 들어와 처음 주석한 사찰
  3. 숭산 소림사 - 중국의 사찰로 혜소가 구족계를 받은 곳.
  • 유물
  1. 하동 쌍계사 승탑 - 진감선사의 승탑으로 알려짐. 사실 여부는 논란이 있다.
  2. 하동 쌍계사 대웅전
  3. 쌍계사팔상전영산회상도 - 1681년 숙종 7년에 그려짐.
  4. 쌍계사 대웅전 삼세불탱 - 18세기 전반 전라도 지역에서 활약하던 불화승 '의겸'의 작품. 1780년대의 승윤 평삼으로 이어지는 불화승의 계보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
  5. 쌍계사팔상전팔상탱 -
  6. 하동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 - 불상 안에서 발견된 조성기에 의하면, 조선 인조 17년(1639)에 청헌(淸憲)비구를 비롯한 11명의 화승들에 의해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7. 하동 쌍계사 괘불도
  8. 하동 쌍계사 감로왕도 - 쌍계사 감로왕도는 1728년 명정(明淨), 최우(最祐), 원민(元敏), 처영(處英), 신영(信英), 永浩(永浩) 등이 그린 불화이다.
  9. 하동 쌍계사 동종 - 동종은 중창이 진행되었던 기간에서 간지가 정확하게 일치하는 1641년(인조 19년)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제작 장인을 기재하지 않았지만, 숭정연간 쌍계사 중창불사에 동원된 승장이 제작한 것으로 생각된다.
  10. 쌍계사차나무시배지 - 김대렴이 흥덕왕 3년에 신라로 가져온 것을 진감선사가 흥덕왕 5년에 차르 번식시켰다고 함
  • 인물
  1. 김대렴 - 신라 흥덕왕 3년에 신라에 처음으로 차를 중국에서 가져옴
  2. 흥덕왕 - 진감선사가 신라로 귀국했을 때 우호적으로 대함
  3. 헌강왕 - 혜소에게 진감선사로 추시함.
  4. 최치원 - 진감선사 비문을 찬, 서한 인물.
  • 개념
  1. 범패 - 불교의식음악으로, 진감선사가 중국에서 도입함.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문
강혜원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보조선사 체징(普照禪師 體澄) 체징,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장흥 보림사,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김언경, 염거, 비로자나불, 사천왕, 김영, 김원, 가지산문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문
강혜원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선각대사 형미(先覺大師 逈微) 형미,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강진 무위사, 최언위,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궁예, 고려 태조, 유훈율, 김문윤, 최환규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문
김현규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철감선사 도윤(澈鑒禪師 道允)
  • 승려
  1. 도윤 - 탑비의 주인
  2. 혜철 - 쌍봉사에서 하안거를 지냈다
  3. 징효 - 도윤의 제자, 흥녕사에서 사자산문을 개산하였다
  4. 혜소 - 쌍봉사를 중창하였다
  • 탑비
  1.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 사찰
  1. 화순 쌍봉사
  2. 해남 대흥사 - 사찰령 때 쌍봉사가 대흥사의 말사로 편입되었다
  3. 김제 귀신사 - 도윤이 이곳에서 화엄경을 Study.
  • 유물
  1.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2.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 인물
  1. 최우 - 아들 최만전이 수선사의 혜심에게 출가하여 이후 쌍봉사에 거처하면서 사세가 융성해졌다.
  • 기타
  1. 죽수서원 - 조선시대때 쌍봉사는 죽수서원의 예속사찰이 되었다.
최한샘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지증대사 도헌(智證大師 道憲)
  • 승려
  1. 도헌 - 탑비의 주인
  2. 범체 - 도헌에게 화엄학 가르침.
  3. 경의 - 경의에게 구족계를 받음.
  4. 혜은 - 혜은에게 불교의 이치를 배우고 법을 이음.
  5. 혜강 - 탑비를 쓰고, 새김.
  6. 양부 - 도헌의 선법을 이어 받음. 양부의 제자인 긍양희양산문을 크게 발전시킴.
  • 탑비
  1.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도헌의 것
  • 사찰
  1. 문경 봉암사 - 도헌이 머물다 입적한 곳.
  2. 영주 부석사 - 범체에게 배우고, 경의에게 구족계를 받은 곳.
  • 인물
  1. 헌강왕 - '지증'이라는 시호와 '적조'라는 탑명을 내림.
  2. 최치원 - 탑비의 찬자. 비문은 최치원의 사산비명 중 하나.
  • 개념

희양산문 - 도헌은 개창자.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문
최한샘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정진대사 긍양(靜眞大師 兢讓)
  • 승려
  1. 긍양 - 탑비의 주인.
  • 탑비
  1.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긍양을 기리기 위한 탑비.
  • 사찰
  1. 공주 남혈사지 - 긍양이 어려서 출가한 곳.
  2. 공주 서혈사지 - 이 곳에서 양부의 법맥을 이음.
  3. 광주 백암사 - 당나라에서 귀국 후 백암사의 주지가 됨.
  4. 문경 봉암사 - 긍양이 주석하고 입적한 곳.
  • 유물
  1.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 긍양의 사리탑.
  2.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 - 지증의 사리탑.
  3.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지증을 기리기 위한 탑비.
  4. 문경 봉암사 극락전 - 신라 경순왕이 피난시 원당으로 사용한 유서 깊은 건물.
  5. 문경 봉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6. 문경 봉암사 삼층석탑 - 봉암사 안에 있는 삼층석탑으로 머리장식 모두가 완전히 남아 있어서 한국 석탑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쓰임.
  7. 문경 봉암사 일주문 - 봉암사에서 가장 오래된 것의 하나로 생각됨.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음.
  8. 문경 봉암사 마애보살좌상 - 봉암사 근처에 있는 마애불.
  9. 문경 봉암사 석종형부도 - 봉암사 대웅전 앞에 놓여 있는 이 부도는 절의 기록에서 승려 지눌의 사리를 모신 곳이라고 전하고 있는데, 승려 보우의 사리를 모신 곳이라는 설도 있다.
  • 인물
  1. 이몽유 - 탑비의 비문을 지음.
  2. 장단열 - 탑비의 비문을 씀.
  3. 섬율 - 글자를 새김.
  4. 여해 - 남혈사에서 여해의 제자가 됨.
  5. 양부 - 양부의 법맥을 이음.
  6. 도연 - 당나라로 건너가서 도연에게 가르침을 받음.
  7. 경애왕 - 봉종대사(奉宗大師)라는 호를 내림.
  8. 태조·혜종·정종·광종 - 이들에게 존경을 받음. 태조와 광종에게 법요 (法要)를 가르침. 광종에게 증공대사(證空大師)라는 호를 받음.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문
최한샘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낭혜화상 무염(朗慧和尙 無染)
  • 승려
  1. 무염 - 탑비의 주인.
  • 탑비
  1.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사찰
  1. 양양 오색석사터 - 12세에 법성의 제자가 됨.
  2. 영주 부석사 - 석징에게서 화엄경을 익힘.
  3. 보령 성주사지 - 옛 이름 오합사, 후에 성주사 - 무염이 주석하다가 입적한 곳.
  • 유물
  1.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 - 나란히 서 있는 3기의 탑 중 가장 서쪽에 있는 석탑, 1971년 해체 ·수리 당시 1층 몸돌에서 네모난 사리공을 발견하였으나 그 안에 향나무 썩은 가루와 먼지만 남아 있었다고 함.
  2.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 - 앞 금당터, 뒤 3기의 석탑 서있음.
  3.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 나란히 서 있는 3기의 탑 중 가장 가운데에 있는 석탑.
  4. 보령 성주사지 석불입상 - 9세기 경에 유행한 양식으로 보임.
  5.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 - 나란히 서 있는 3기의 탑 중 가장 가운데에 있는 석탑.
  6. 보령 성주사지 석계단 - 성주사 금당에 오르는 돌계단.
  7. 보령 성주사지 석등 - 성주사 창건시기에 같이 세워진 것으로 알려짐.
  • 인물
  1. 최치원 - 탑비의 비문을 지음.
  2. 최인연 - 탑비의 비문을 씀.
  3. 태종무열왕 - 무염은 태종무열왕의 8대손.
  4. 김범창 - 김헌창의 난(왕위쟁탈)에 동조하여 족강(族降, 진골에서 6두품으로 떨어짐)된 이야기가 탑비문에 실려있음. (신라사회에 있어서 족강에 관한 최초의 기사로 알려져있음.)
  • 개념
  1. 성주산문 - 성주산문의 개조(開祖)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문
강혜원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홍각선사 이관(弘覺禪師 利觀) 이관,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양양 선림원지, 김원, 운철, 양양 선림원지 승탑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문
서소리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도선국사(道詵國師) 도선,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영암 도갑사, 이경석, 오준,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 서울 삼전도비, 도갑사수미왕사진영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문
서소리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수미왕사(守眉王師) 수미, 신미,
강혜원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징효대사 절중(澄曉大師 折中) 절중,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영월 흥녕사지, 최언위, 최윤, 최환규, 영월 징효국사부도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문
서소리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수철화상(秀澈和尙) 수철,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남원 실상사,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서소리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증각대사(證覺大師) 홍척,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남원 실상사,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최한샘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원랑선사 대통(圓朗禪師 大通)
  • 승려
  1. 대통 - 탑비의 주인.
  2. 성린 - 대통에게 구족계를 줌.
  3. 순몽 - 글씨를 씀.
  4. 진윤 - 비문의 각자.
  5. 무염 - 대통의 스승.
  • 탑비
  1.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 대통의 것.
  • 사찰
  1. 월광사 - 대통이 사찰을 크게 발전시키다가 입적한 곳.
  2. 제천 사자빈신사지 - 월광사지 인근에 위치한 사터.
  3. 제천 하 덕주사지(제천 덕주사) - 월광사지 인근에 위치한 사터.
  • 유물
  1. 제천 송계리 대불정주범자비 - 월광사지 입구에서 발견 됨. 고려 후기의 다라니(석가의 가르침, 주문) 비석.
  • 인물
  1. 김영 - 탑비의 찬자.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문
강혜원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진경대사 심희(眞鏡大師 審希) 심희,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창원 봉림사지, 신라 경명왕, 행기, 최인연(崔仁渷), 성림,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문
강혜원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대경대사 여엄(大鏡大師 麗嚴) 여엄,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양평 보리사지, 최언위, 이환추, 최문윤,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문
강혜원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낭원대사 개청(朗圓大師 開淸) 개청,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강릉 보현사, 최언위, 구족달, 임문윤,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문
강혜원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자적선사 홍준(慈寂禪師 弘俊) 홍준,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예천 명봉사, 최언위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문
김현규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진공대사 충담(眞空大師 忠湛)
  • 승려
  1. 충담 - 탑비의 주인
  2. 심희 - 충담의 스승
  • 탑비
  1.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 사찰
  1. 원주 흥법사지
  2. 무주 영신사 - 이곳에서 구족계를 받았다
  • 유물
  1.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
  2. 원주 흥법사지 삼층석탑
  3.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 인물
  1. 고려 태조 - 찬자
  2. 최정윤 - 당태종의 글씨를 집자함
  • 기타
  1. 안민가 - 충담이 지은 노래. 백성들이 편안하게 살수 있도록
  2. 찬기파랑가 - 충담이 지은 향가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문
서소리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광자대사 윤다(廣慈大師 允多)
  • 승려
  1. 윤다 - 탑비의 주인
  2. 혜철 - 윤다, 도선의 스승. 동리산문의 개산조. 영주 부석사, 화순 쌍봉사 주석.
  3. 서당지장 - 지장의 법통을 전수받은 신라3인: 혜철, 홍척, 도의
  4. 홍척 - 서당지장의 제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주인. 어차피 만들어질 것.
  5. 도의 - 서당지장의 제자
  • 탑비
  1.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2. 적인선사 부도비 - 1928년 파손돼 넘어진 비신을 새로 만들면서 광자대사비의 이수와 적인선사비의 이수가 바뀌었다고함
  • 사찰
  1. 곡성 태안사
  2. 개성 흥왕사 - 윤다가 주석했던 곳
  • 유물유적
  1.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 윤다의 부도탑. 보물.
  2.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 혜철의 부도탑. 보물.
  3. 곡성 태안사 청동 대바라 - 효령대군이 세종,왕비,왕세자의 복을 빌기 위하여 만듦
  4. 곡성 태안사 동종 - 보물.
  • 인물
  1. 고려 태조 - 윤다에게 극진한 대우.
  2. 효령대군 - 효령대군의 원당 사찰. 대바라 제작 주체.
  3. 신숭겸 - 태안사 들목 '장절공 태사 신선생 영적비', 고려 태조 대신 죽음. 관련유적지가 춘천, 대구에 있음
  • 개념
  1. 가릉빈가 - 광자대사탑비의 조형적 특징. 연곡사 부도와의 연결.
  2. 동리산문 - 구산선문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문
서소리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원종대사 찬유(元宗大師 璨幽) 찬유,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여주 고달사지,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
서소리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통일대사(通一大師) 통일대사,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괴산 각연사,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
서소리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법인국사 탄문(法印國師 坦文) 탄문,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서산 보원사지,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최한샘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현각선사(玄覺禪師)
  • 승려
  1. 현각선사
  • 탑비
  1.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 사찰
  1. 구례 연곡사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비문
최한샘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선각국사 도선(先覺國師 道詵)
  • 승려
  1. 도선 - 연곡사 동 승탑비의 주인으로 추정.
  2. 태능 -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의 주인(탑비는 없는 듯)
  3. 휴정 - 태능의 제자
  4. 태능, 충휘, 응상 - 법문의 삼걸(三傑)이라 불림
  • 유물유적
  1. 구례 연곡사 동 승탑 - 도선의 부도일 것이라 추정.
  2. 구례 연곡사 북 승탑 - 현각선사의 부도일 것이라 추정.
  3.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 태능의 부도.
  4. 구례 연곡사 보월당 승탑 - 누구의 것인지 모름. 자료 少
  5. 구례 연곡사 삼층석탑
  • 인물

▷▷태능 - 김제 금산사 소요당대사비

  1. 효종 - 1652년(효종 3) "혜감선사(慧鑑禪師)"라는 시호내림.
  2. 이경석(李景奭)을 시켜 비명(碑銘)을 지어 김제 금산사에 세우게 함.
  • 사찰

▷▷태능

  1. 해인사에서 부휴에게 경률을 익힘
  2. 속초 신흥사, 구례 연곡사 - 태능이 중건함
  3. 구례 연곡사, 김제 금산사, 보개산 - 세 곳으로 태능의 사리를 나누어 모시고 부도를 건립함.
  • 개념
  1. 소요파 - 태능이 소요파의 개조(開祖)임
최한샘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법경대사 현휘(法鏡大師 玄暉)
  • 승려
  1. 현휘 - 탑비의 주인.
  2. 심광 - 심광의 밑에서 승려가 됨.
  3. 광예, 장초, 행총, 행초 - 비문을 새긴 사람들.
  • 탑비
  1.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현휘의 것.
  • 사찰
  1. 합천 해인사 - 해인사에서 구족계를 받음.
  2. 정토사 - 여기서 머무름.
  • 인물
  1. 최언위 - 비문의 찬자.
  2. 구족달 - 비문을 쓴 사람.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문
최한샘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홍법국사(弘法國師)
  • 승려
  1. 홍법 - 탑비의 주인.
  • 탑비
  1.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홍법국사의 것.
  • 사찰
  1. 광통 보제사 - 교화를 펼침.
  2. 서울 봉은사 - 잠시 머물렀음.
  3. 정토사 - 머무른지 얼마 지나지 않아 입적함.
  • 유물
  1.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 홍법국사의 사리가 모셔진 곳.
  2.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법경대사 현휘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 법경대사가 정토사에서 입적한 뒤 홍국법사가 후학들을 지도함.
  • 인물
  1. 손몽주 - 비문의 찬자.
  2. 고려 목종 - 국서와 함께 돈과 재물을 내렸으며, 시호를 홍법(弘法), 탑 이름을 실상(實相)이라 지음.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문
김현규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원공국사 지종(圓空國師 智宗)
  • 승려
  1. 지종 - 탑비의 주인
  • 탑비
  1.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지종의 탑비
  • 사찰
  1. 원주 거돈사지 - 이미 씀.
  • 유물
  1.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
  2.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 이미 씀.
  • 인물
  1. 최충 - 찬자. 이미 기사씀.
  2. 김거웅 - 비문을 쓴사람.
  3. 고려 광종
  • 개념
  1. 선종
  2. 구산선문
  3. 천태종
  4. 법안종
  5. 해서체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문
최한샘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혜소국사 정현(慧炤國師 鼎賢)
  • 승려
  1. 정현 - 탑비의 주인.
  2. 충회 - 정현의 스승.
  3. 융철 - 융철에게서 유가행을 배움
  • 유물유적
  1.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정현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비.
  2. 안성 칠장사 당간 - 매우 희귀한 문화재.
  3. 안성 칠장사 인목대비친필족자 - 인목왕후가 아버지 김제남(金悌男)영창대군을 위하여 칠장사를 원당으로 삼아 사찰을 중건하여 친히 김광명(金光明)에게 최승경(最勝經) 10권과 친필족자 1령을 하사한 것인데, 현재는 친필 족자 1령만 보존 되어있는 상태. (최승경에 대한 자료 無)
  4. 안성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 - 불화(佛畵), 국보
  5. 안성 죽림리 삼층석탑 - 원래 칠장사에 있던 것 아니고 옮겨옴. 칠장사 대웅전 앞에 위치함.
  6. 안성 칠장사 범종 - 1782년에 만들어진 조선후기 범종.
  7. 안성 칠장사 대웅전 - 건립연대 미상, 조선 후기에 세워짐.
  8. 안성 칠장사 대웅전 영산회상도 - 불화(佛畵)
  9. 안성 칠장사 대웅전 목조석가삼존불좌상 - 불상(佛像)
  • 인물
  1. 고려 문종이 비를 세움.
  2. 김현이 글을 지음.
  3. 민상제가 글을 씀.
  4. 배가성, 이맹 등이 글자를 새김.
  5. 이 비문은 구양순의 글씨체로 쓰여짐.
  • 사찰
  1. 보은 광교사 - 10세에 이 곳에서 충회의 제자가 됨.
  2. 개성 영통사 - 정현이 구족계를 받은 곳.
  3. 안성 칠장사 - 융철에게서 배움을 얻음, 정현이 주석한 곳.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문
김현규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지광국사 해린(智光國師 海麟)
  • 승려
  1. 해린 - 탑비의 주인
  2. 소현 - 해린의 제자
  3. 정현 - 법상종의 고승으로 법천사를 번창시킨 승려
  4. 준광 - 해린의 스승. 자료가 별로 없다
  • 탑비
  1.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 사찰
  1. 원주 법천사지
  2. 개성 왕륜사 - 해린이 승과에 급제한 곳
  3. 현화사 - 해린이 주석했던 곳
  4. 개경 해안사 - 해린이 주지를 한 곳.
  • 유물
  1.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다
  • 인물
  1. 정유산 - 찬자
  2. 안민후 - 서자
  3. 이자연 - 해린의 제자 소현의 아버지.
  4. 유방선 - 조선 전기의 학자로 법천사에서 강학하였다
  • 개념
  1. 구양순체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문
서소리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혜덕왕사 소현(慧德王師 韶顯)
강혜원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 순천 선암사, 칠곡 선봉사, 개성 흥왕사, 개성 영통사,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 의천, 난원, 순천 선암사 승선교, 순천 선암사 동서 삼층석탑, 순천 선암사 대웅전, 순천 선암사 원통전, 순천 선암사 대각암 승탑,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순천 선암사 중수비, 순천 선암사 불조전, 조정래, 교장도감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문,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문
서소리 합천 반야사지 원경왕사비 원경왕사 낙진(元景王師 樂眞)
강혜원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원응국사 학일(圓鷹國師 學一) 학일, 청도 운문사,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청도 운문사 작압전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문,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문
김사현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 원각국사 덕소(圓覺國師 德素)
김현규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현오국사 종린(玄悟國師 宗璘) *승려
  1. 종린 - 탑비의 주인
  • 탑비
  1.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 종린의 탑비
  • 사찰
  1. 용인 서봉사지
  2. 김제 귀신사 - 종린이 주석한 절
  3. 산청 지곡사지 - 종린이 주석한 절
  4. 광양 중흥사 - 종린이 주석한 절
  5. 영주 부석사 - 종린이 주석한 절
  • 인물
  1. 이지명 - 찬자.
  2. 유공권 - 비문을 쓴사람.
  3. 이광 - 임진왜란 때 이곳에서 왜적과 싸운 전라감사.
  4. 고려 명종 - 백고좌회를 주관하도록 함.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문
김현규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원진국사 승형(圓眞國師 承逈) 승형, 사인비구 제작 동종-포항 보경사 서운암동종,포항 보경사 승탑, 포항 보경사 괘불탱, 보경사의 탱자나무
서소리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진각국사 혜심(眞覺國師 慧諶)
김현규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보각국사 일연(普覺國師 一然) 일연, 도의,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군위 인각사지,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군위 인각사 미륵당 석불좌상,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양양 진전사지 도의선사탑, 왕희지, 삼국유사, 부여 정림사지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문
최한샘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원명국사 충감(圓明國師 冲鑑)
  • 승려
  1. 충감 - 탑비의 주인
  2. 자오(慈悟) - 선원사에서 충감이 자오의 제자가 됨.
  • 탑비
  1.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 보광사를 중창한 충감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 사찰
  1. 선원사(禪源寺) - 충감이 7세 때 출가한 곳.
  2. 함평 용천사 - 용천사의 주지로 있었음.
  3. 부여 보광사지 - 절을 중건하고 입적함.
  • 인물
  1. 위소 - 비의 찬자.
  2. 양지 - 비의 서자.
  3. 주백기 - 제액을 씀.
  4. 회정 - 글씨를 새김.
  • 개념
  1. 백장청규(百丈淸規) - 중국 및 우리나라 선종(禪宗)에서의 사찰규범 지침서.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백장청규를 시행함.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문
김현규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선각왕사 나옹(懶翁) 나옹,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양주 회암사지, 나옹선사부도 및 석등
김현규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선각왕사 나옹(懶翁)
  • 승려
  1. 나옹 - 탑비의 주인
  2. 원효 - 신륵사 창건자(추정)
  3. 지공 - 나옹의 스승
  4. 무학 - 나옹의 제자. 나옹, 지공과 함께 삼대화상으로 불림
  • 탑비
  1.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 나옹의 탑비
  • 사찰
  1. 여주 신륵사
  2. 양주 회암사지 - 나옹이 머물던 사찰. 깨달음을 얻은 곳.
  3. 밀양 형원사 - 회암사에 있던 나옹이 왕명을 받고 떠난 곳.
  4. 문경 대승사 - 이곳 묘적암에서 나옹이 출가.
  5. 연경 법원사 - 지공이 주석하던 사찰
  6. 해주 신광사 - 공민왕이 청하여 나옹이 주석했던 절. 주지를 맡았음.
  7. 보령 금강암 - 나옹이 잠시 머물렀던 절.
  8. 춘천 청평사 - 나옹이 주석했던 절.
  9. 순천 송광사 - 나옹이 주지를 했던 절.
  10. 안심사 - 평안북도 영변군에 있는 절. 나옹의 부도인 사리석종이 있다. 지공의 사리 봉안.
  • 유물
  1. 여주 신륵사 조사당 - 지공, 나옹, 무학 3대 화상의 진영이 있음.
  2.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
  3.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 - 신라시대 양식에 따른 고려시대 유일의 전탑
  4.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 나옹의 사리를 봉안한 탑.
  5. 여주 신륵사 대장각기비 - 대장각 조성과 관련한 여러가지를 기록한 비.
  6.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
  7. 여주 신륵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8. 원주 영전사 보제존자 사리탑
  • 인물
  1. 조선 세종 - 신륵사가 1469년부터 영릉(세종의 능)의 원찰이 됨
  2. 공민왕 - 공민왕의 전폭적 지원을 받아 회암사를 중창함
  3. 우왕 - 나옹에게 선각왕사라는 시호를 추증.
  4. 이색 - 보제존자석종비를 지은 인물, 신륵사와 인연이 깊었다.
  5. 한수 - 보제존자석종비를 쓴 인물
  • 개념
  1. 공부선 - 고려, 조선시대에 승려를 대상으로 실시하던 과거. 나옹이 시관을 했음.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문
김사현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진각국사 천희(眞覺國師 千熙) 천희
김사현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원증국사 보우(圓證國師 普愚) 보우,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고양 태고사,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김사현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대지국사 찬영(大智國師 粲英) 찬영,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김사현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보각국사 혼수(普覺國師 混修)
  • 승려
  1. 혼수 - 탑비의 주인공
  2. 나옹 - 혼수의 스승
  3. 계송 - 혼수의 스승
  4. 식영감 - 혼수의 스승
  5. 희진 - 혼수의 제자
  6. 만우 - 혼수의 제자
  7. 소만 - 혼수의 제자
  • 탑비
  1.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 사찰
  1. 충주 청룡사지 - 탑비가 위치해 있는 사지
  2. 서운사 - 혼수가 주석한 사찰
  3. 순천 송광사 - 혼수가 주석한 사찰
  4. 개천사 - 혼수가 주석한 사찰
  5. 광암사 - 혼수가 주석한 사찰
  6. 내불당 - 혼수가 주석한 사찰
  • 유물
  1.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 보각국사 혼수의 승탑
  2. 충주 청룡사지 석종형승탑 - 청룡사지에 있는 승탑
  3.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앞 사자 석등 - 보각국사탑 앞의 석등
  4. 목은집 - 목은 이색의 문집. 혼수를 기리는 시 등의 기록이 있다.
  • 인물
  1. 고려 공양왕 -
  2. 공민왕
  3. 고려 창왕
  4. 고려 우왕
  5. 고려 공양왕
  6. 권근
  7. 조선 태조
  • 개념
  1. 능엄경
서소리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 및 비 정지국사(正智國師)
김현규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비 사명대사(四溟大師)
  • 승려
  1. 유정 - 탑비의 주인
  2. 신묵 - 유정의 스승
  3. 휴정 - 유정의 스승
  • 탑비
  1.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비
  • 사찰
  1. 합천 해인사
  2. 김천 직지사 - 이곳에서 출가하였고, 주지를 하였다
  3. 향산 보현사 - 이곳에서 휴정을 찾아 도를 닦았다
  4. 고성 유점사 - 임진왜란 때 유정이 이곳에서 아홉 고을의 백성들을 구출하였다
  5. 밀양 표충사 - 이곳에 제향되었다
  6. 향산 수충사 - 이곳에 제향되었다
  • 유물
  1.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2.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3.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4. 합천 해인사 석조여래입상
  5. 합천 해인사 원당암 다층석탑 및 석등
  6.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
  7. 합천 해인사 길상탑
  8. 해인사 동종
  9. 해인사영산회상도
  10. 합천 해인사 홍제암
  11.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12. 합천 해인사 감로왕도
  13.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14.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
  15.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16.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
  17. 합천 해인사 지장시왕도
  18. 합천 해인사 내전수함음소 권490 목판
  19. 합천 해인사 학사대 전나무
  • 인물
  1. 애장왕 - 두 승려의 선정을 통해 애장왕비의 등창이 낫자 이에 감동하여 가야산에 해인사를 짓도록 함.
  2. 희랑 - 해인사의 주지였던 희랑이 고려 태조를 도왔다
  3. 고려 태조 - 도와준데 대한 보답으로 해인사를 국찰로 삼아 해동 제일의 도량이 되도록 하였다.
  4. 황여헌 - 유정이 이 사람에게 맹자를 배웠다
  5. 박순 - 조선 중기 문신. 유정이 사귀었던 사람
  6. 임제 - 조선 중기의 시인 겸 문신으로 유정과 사귀었다
  7. 노수신 - 유정에게 노자, 장자 들을 가르쳤던 사람
  8. 정여립 - 한 때 유정이 정여립모반사건에 연루되었다는 모함을 받았다.
  9. 가토 기요마사 - 임진왜란 때 네 차례에 걸쳐 가토 기요마사와 회담을 했다
  10. 조선 선조 - 유정은 선조에게 토적보민사소라는 상소를 올렸다 / 선조는 임진왜란이 끝난 후 유정의 공로를 인정해 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의 벼슬을 내렸다.
  • 기타
  1. 평양성 - 임진왜란 때 유정이 승병을 이끌고 평양성 탈환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2. 사명당대사집 - 유정의 저서
  3. 분충서난록 - 유정의 저서

승려기준

  • 전체:43, 중심기사:11, 문맥기사:32
기준:승려 기사목록 기사유형 클래스 통계
의천 의천 중심기사 승려 의천 - 전체:19, 중심기사:5, 문맥기사:14
의천 난원 문맥기사 승려
의천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중심기사 탑비
의천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 중심기사 탑비
의천 순천 선암사 대각암 승탑 문맥기사 유적유물
의천 칠곡 선봉사 중심기사 사찰
의천 순천 선암사 중심기사 사찰
의천 개성 흥왕사 문맥기사 사찰
의천 개성 영통사 문맥기사 사찰
의천 순천 선암사 승선교 문맥기사 유적유물
의천 순천 선암사 동서 삼층석탑 문맥기사 유적유물
의천 순천 선암사 대웅전 문맥기사 유적유물
의천 순천 선암사 원통전 문맥기사 유적유물
의천 순천 선암사 중수비 문맥기사 유적유물
의천 순천 선암사 불조전 문맥기사 유적유물
의천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문맥기사 유적유물
의천 조정래 문맥기사 인물
의천 교장도감 문맥기사 기관
의천 탑비 문맥기사 개념
학일 학일 중심기사 승려 학일 - 전체:10, 중심기사:3, 문맥기사:7
학일 연초 문맥기사 승려
학일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중심기사 탑비
학일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문맥기사 탑비
학일 청도 운문사 중심기사 사찰
학일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 문맥기사 유적유물
학일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 문맥기사 유적유물
학일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문맥기사 유적유물
학일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문맥기사 유적유물
학일 청도 운문사 작압전 문맥기사 유적유물
일연 일연 중심기사 승려 일연 - 전체:14, 중심기사:3, 문맥기사:11
일연 도의 문맥기사 승려
일연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중심기사 탑비
일연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문맥기사 유적유물
일연 군위 인각사지 중심기사 사찰
일연 양양 진전사지 문맥기사 사찰
일연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문맥기사 유적유물
일연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문맥기사 유적유물
일연 군위 인각사 미륵당 석불좌상 문맥기사 유적유물
일연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문맥기사 유적유물
일연 양양 진전사지 도의선사탑 문맥기사 유적유물
일연 왕희지 문맥기사 인물
일연 삼국유사 문맥기사 문헌
일연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문 문맥기사 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