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DHLab
이동: 둘러보기, 검색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谷城 泰安寺 廣慈大師塔)
대표명칭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한자 谷城 泰安寺 廣慈大師塔
이칭 대안사 광자대사탑(大安寺廣慈大師塔)
주소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 20
문화재 지정번호 보물 제274호
문화재 지정일 1963.01.21
소유자 태안사
관리자 태안사
크기 높이 약 3m
건립시대 고려
관련승려 윤다
관련탑비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정의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태안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의 고승 광자대사 윤다(廣慈大師 允多)의 부도.


내용

높이 약 3m. 탑비(보물 제275호)의 건립 시기는 950년(광종 1)이므로, 부도의 조성 연대의 하한을 이 때로 보고 있다.

이 탑은 8각원당형(八角圓堂形)에 속하는 부도(浮屠)로서, 완전한 형태로 원위치에 보존되어 있으며, 상하가 균형 있고 우아하여 완벽한 형태미를 보여준다. 지대석(地臺石)에도 여러 단의 굄을 조설(彫設)하고 하대석(下臺石)의 각면에는 당초(唐草)무늬가 선각(線刻)되고 상단 각면에 2구(區)씩의 안상(眼象)이 있다. 하대석 위쪽에 복엽(複葉) 16판(瓣)의 복련(覆蓮:아래로 향한 연꽃)이 있고 3단 굄이 있다. 중대석은 매우 낮지만 자연스럽고 각면에 안상이 1구씩 있다. 상대석은 판내(瓣內)에 꽃 모양을 양각한 중판연화(重瓣蓮花)가 상하로 각각 16엽(葉)씩 새겨지고, 윗면에 굄으로 난간을 모각(模刻)한 1단과, 그 위로 또 굄 1단을 마련하였다. 탑신은 앞뒤 양면에 향로를 조각하고 좌우에는 4천왕 입상을 양각하였다. 옥개석(屋蓋石)은 목조건축을 충실히 재현시켰고, 아랫면에는 2중의 연목(椽木:서까래)을 모각하고 옥상(屋上)에는 기와가 덮인 형상까지 나타냈으며 전각(轉角)의 반전(反轉)이 알맞다. 상륜부에는 앙화(仰花)·복발(覆鉢)·보륜(寶輪)·보주(寶珠)가 차례로 있다.[1]

이 부도는 전체적으로 보아 상하의 비례가 우아하며 아로새김도 정교하다. 특히, 상륜부가 완전하여 이 부도로 하여금 완벽한 형태미를 보여 주게 하고 있는데, 이러한 각 부의 조화 있는 구성과 조식의 정교함은 같은 경내에 건립되어 있는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谷城 泰安寺 寂忍禪師塔, 보물 제273호)에서 본받은 것이 아닌가 한다.[2]

갤러리

답사 이후 추가 예정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윤다 A는 B를 위한 승탑이다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곡성 태안사 A는 B에 있다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A는 B와 관련있다

참고문헌

  • 강삼혜, 「나말여초 僧塔 塔身 神將像 연구」, 『美術史學硏究』제252호, 한국미술사학회, 2006, 81-116쪽.


주석

  1. "대안사 광자대사탑", 두산백과. 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인용.
  2.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온라인 서비스에서 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