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관

DHLab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관(利觀)
대표명칭 이관
영문명칭 Igwan
한자 利觀
생몰년 814(헌덕왕 6)[1]-880(헌강왕 6)
시호 홍각선사(弘覺禪師)
이관(利觀)
탑호 선감(禪鑑)
유자(有者)
성씨 김씨(金氏)
출신지 경주(慶州)
승탑비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襄陽 禪林院址 弘覺禪師塔碑)


정의

신라시대의 승려.

생애

홍각선사 이관(弘覺禪師 利觀)의 생애를 기록한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襄陽 禪林院址 弘覺禪師塔碑)의 비신이 파손되어, 주인공인 홍각선사에 대해서는 자세히 전하지 않는다. 17세기 중엽 당시 남아있던 비편의 일부를 탁본한 것이 각각 『금석청완(金石淸玩)』과 『대동금석서(大東金石書)』에 수록되었다.[2]

유년기

25px 휘는 이관이요 자는 유자이며 (속성은) 김씨로서 서울 사람이다. 묵묵히 천축 알아 (마멸) 굳건한 정절로 한결같이 머무르매 절개와 지조는 짝할 만한 사람이 없었고, 세상에 처함에 송죽 같은 마음을 지녔다. 편안히 (마멸) 두루 경서와 사서에 통하여 한번 본 것은 잊어버리지 않았으며, 삼황오제의 고전을 암송하는 기민함은 그보다 나을 수 없었다. 25px
출처: 한국고대사회연구소,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III,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3]


선사의 속성은 김씨이고, 당시 신라의 도읍인 경주에서 출생하였다. 출가 이전에 이미 경서(經書)와 사서(史書)에 통달하였으며, 상당한 학문적 소양과 불교적 상식을 갖추고 있었다.[4]

출가수행

25px 17세에 드디어 머리를 깎았으며, 승복을 입고 세속의 옷을 버렸다. (마멸) 해인사로 가서 여러 선지식을 찾아갔다. 그 뛰어난 것을 구하여 참예하고 듣는 것이 (마멸) 물흐르듯 하였으며, 뜻의 바다는 한량 없고 글의 봉우리는 드높았다. 노숙들이 모두 칭찬하기를, “후생이 (마멸)”이라 하였다. (마멸) 영악에 노닐며 두루 선림을 찾았다. ......(중략)...... (마멸)년에 다시 영암사에서 여러 달 동안 선정을 닦았는데 ...... 25px
출처: 한국고대사회연구소,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III,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5]


17세에 출가한 후, 홍각선사는 해인사(海印寺)로 가서 선지식(善知識)을 찾았으며 이후 영암사(靈巖寺)에서 선정(禪定)을 닦았다.

선종의 고승도 출가 전에는 유학 경전을 배우고, 출가 후에는 화엄종에서 기초를 익히며, 선종으로 대성하는 것이 당시의 보편적인 과정이었다.[6]

활동

25px 원감대사가 중국에서 귀국하여 혜목산에 머물며 (마멸) 산비탈에다 단단히 얽은 것을 새로 중건하니, 한 달이 채 못되어 완공되었다. (마멸)이 집집마다 가득차고 수레가 성을 기울일 정도였다. (마멸) 선사는 불문의 모범이요, 모습과 풍채가 준엄하여, (그를) 보는 자는 정신이 엄숙해져 (마멸) 선사를 상족으로 삼지 않음이 없었다. 함통(860~874) 말에 다시 설산의 억성사로 가서 (마멸) 금당과 불전을 이루었다. 옥과 같이 좋은 나무들이 소나무 사이에 뒤섞여 있었으니, 은둔하는 것은 (마멸) 거슬렸으나, (마멸) 때에 명성은 우뢰처럼 세상을 울렸다. 25px
출처: 한국고대사회연구소,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III,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7]


비문에는 당시 원감대사 현욱(圓鑑大師 玄昱, 787~868)이 중국으로부터 돌아와 혜목산(惠目山: 지금의 여주 고달사지(驪州 高達寺址))에 머물렀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 이후의 비문이 마멸되어 그 내용을 알 수 없지만 문맥으로 보아 선사가 현욱에게 수학했을 것으로 보인다.[8]

이어서 비문에서는 873년 경 선사가 다시 설악산 억성사(億聖寺)에 주석했다고 기록하고 있다.(원문: 咸通末復往於雪山億聖[9]) 억성사에 주석하던 염거(廉居) 화상이 844년 입적하였으므로, 홍각선사는 염거화상 밑에서 844년 이전까지 있다가 염거의 입적 후 혜목산의 원감대사를 찾아갔던 것으로 보인다.[10] 이후 억성사로 돌아온 홍각선사는 대대적인 중창을 통해 이 절을 크게 일으켰다.[11]

입적

25px 25px
출처: 한국고대사회연구소,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III,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12]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참고문헌

  • 권기종, 「홍각선사비문을 통해 본 선림원」, 『강좌미술사』 Vol.18,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2, 5-16쪽.
  • 권덕영, 「홍각선사탑비문을 통해 본 신라 억정사지의 추정」, 『사학연구』 55, 56, 한국사학회, 1998, 75-88쪽.
  • 권덕영, 「신라 홍각선사탑비 원형 탐구」, 『신라문화』 32,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8, 299-325쪽.

주석

  1. 남아있는 비문의 내용에 따르면, 선사는 17세에 출가하였으며 880년에 법랍 50세로 입적하였다. 법랍 50세와 17세 출가를 합하면 세수 67세가 되고, 여기서 다시 입적연대가 880년인 것을 고려하면 814년에 출생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권기종, 「홍각선사비문을 통해 본 선림원」, 『강좌미술사』 Vol.18,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2, 9쪽.)
  2. 권덕영, 「홍각선사탑비문을 통해 본 신라 억정사지의 추정」, 『사학연구』 55, 56, 한국사학회, 1998, 78쪽.
  3. "선림원지홍각선사비(禪林院址弘覺禪師碑)",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4일.
  4. 권기종, 「홍각선사비문을 통해 본 선림원」, 『강좌미술사』 Vol.18,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2, 6쪽.
  5. "선림원지홍각선사비(禪林院址弘覺禪師碑)",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4일.
  6. 허흥식, "사림원홍각선사비문(沙林院弘覺禪師碑文)",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86, 576쪽. 권기종, 「홍각선사비문을 통해 본 선림원」, 『강좌미술사』 Vol.18,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2, 10쪽에서 재인용.
  7. "선림원지홍각선사비(禪林院址弘覺禪師碑)",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4일.
  8. 권기종, 「홍각선사비문을 통해 본 선림원」, 『강좌미술사』 Vol.18,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2, 9-10쪽.
  9. 한국고대사회연구소,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III,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온라인 참조: "선림원지홍각선사비(禪林院址弘覺禪師碑)",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4일.
  10. 권덕영, 「신라 홍각선사 비문의 복원시도」, 『한국불교문화사상사』 권상, 640-641쪽. 권기종, 「홍각선사비문을 통해 본 선림원」, 『강좌미술사』 Vol.18,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02, 10쪽에서 재인용.
  11. 권덕영, 「홍각선사탑비문을 통해 본 신라 억정사지의 추정」, 『사학연구』 55, 56, 한국사학회, 1998, 81쪽.
  12. "선림원지홍각선사비(禪林院址弘覺禪師碑)",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online, 국립문화재연구원. 최종확인: 2017년 04월 1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