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산재청공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이운지 권제2 怡雲志 卷第二 임원십육지 100 林園十六志 一百


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 山齋淸供(上)
1. 차 茶供
1) 물의 품등 水品
2) 땔감의 품등 薪品
3) 찻물의 징후 湯候
4) 끓인 물 붓는 법 點法
5) 씻는 법 滌法
6) 소금으로 간을 맞추다 論調鹽
7) 차와 과일 論茶果
8) 차 마시는 법 飮法
9) 다구 茶具
풍로 風爐 │ 광주리 筥 │ 탄과 炭檛 │ 화협 火筴 │ 솥 鍑 │ 교상 交牀 │ 집게 夾 │ 지낭 紙囊 │ 연 碾 │ 나합 羅合 │ 찻숟가락 則 │ 수방 水方 │ 녹수낭 漉水囊 │ 표주박 瓢 │ 죽협 竹夾 │ 차궤 鹺簋 │ 숙우 熟盂 │ 다완 盌 │ 둥구미 畚 │ 찰 札 │ 척방 滌方 │ 재방 滓方 │ 다건 巾 │ 구열 具列 │ 도람 都籃

2. 향 香供
1) 이름과 뜻 名義
2) 품등 品第
3) 만드는 법 製法
강남이왕 장중향 江南李王帳中香 │ 당 화도사 아향 唐化度寺牙香 │ 옹문철랑중 아향 雍文徹郞中牙香 │ 연안군공 예향 延安郡公蕊香 │ 공불 습향 供佛濕香 │ 아향 牙香 │ 인향 印香 │ 매화향 梅花香 │ 구자향 毬子香 │ 신령향 信靈香 │ 설중춘범향 雪中春泛香 │ 춘소식 春消息 │ 독누향 篤耨香 │ 설란향 雪蘭香 │ 납매향 蠟梅香 │ 야화향 野花香 │ 장춘반혼매향 藏春返魂梅香 │ 행화향 杏花香 │ 소룡연향 小龍涎香 │ 옥화향 玉華香 │ 취선향 聚仙香 │ 침속향 沈速香 │ 황향병 黃香餠 │ 인향 印香 │ 만춘향 萬春香 │ 살별란향 撒 蘭香 │ 부용향 芙蓉香 │ 용루향 龍樓香 │ 새룡연병자 賽龍涎餠子 │ 사기향병 四棄香餠 │ 동국부용향 東國芙蓉香
4) 향료 香料
용뇌향 龍腦香 │ 사향 麝香 │ 침수향 沈水香 │ 단향 檀香 │ 소합향 蘇合香 │ 안식향 安息香 │ 울금향 鬱金香 │ 정향 丁香 │ 유향 乳香 │ 목향 木香 │ 강진향 降眞香 │ 애납향 艾蒳香 │ 감송 甘松 │ 영릉향 零陵香 │ 감람향 橄欖香 │ 모산세경창출 茅山細梗蒼朮 │ 빈랑태 檳榔苔 │ 철면향·생향 鐵面香、生香 │ 갑향 甲香 │ 기남향 棋楠香 │ 암팔향 唵叭香 │ 운향 芸香 │ 배초향 排草香 │ 방향 芳香 │ 회향 蘹香 │ 난향 蘭香 │ 백교향 白膠香 │ 모향 茅香 │ 백모향 白茅香 │ 작두향 雀頭香 │ 용연 龍涎
5) 향 묻는 법 窨香法
6) 여러 향 처리하는 법 諸香治法
단향 처리하기 治檀香 │ 곽향·감송·영릉과 같은 향류 처리하기 治藿香、 甘松、 零陵之類 │ 모향 처리하기 治茅香 │ 갑향 처리하기 治甲香 │ 비장뇌 飛樟腦
7) 꿀 졸이는 법 煉蜜法
8) 숯 만드는 법 煉炭法
9) 보관하는 법 藏法
10) 향 연기 잘 모으는 법 聚香煙法
11) 향 연기 잘 나누는 법 分香煙法
12) 연기 끌어다 호리병에 넣는 법 引煙入葫蘆法
13) 향전 만드는 법 香篆法
14) 향수 만드는 법 香獸法
15) 수부향 만드는 법 水浮香法
16) 향병 만드는 법 香餠子法
17) 재 만드는 법 灰法
18) 향로 香爐
19) 향합 香盒
20 향시(香匙)와 향저(香筯) 匙筯
21) 사금파리 격화(隔火)
22) 향반 香盤
23) 향궤(香几)
24) 향 관련 모든 물품을 보관하는 향갑 香都總匣


3. 금·검(부록:생황·적·종·경쇠) 琴劍供(附:笙、 笛、 鍾、 磬)
1) 서재에 금(琴)이 없어서는 안 된다 論書室不可無琴
2) 재목 고르기 擇材
3) 진(軫)의 품등 軫品
4) 휘(徽)의 품등 徽品
5) 현(絃)의 품등 絃品
6) 금 만드는 법 製法
7) 금의 양식 樣式
8) 현금 玄琴
9) 번금 番琴
10) 고금(古琴) 판별법 古琴辨
11) 9덕(九德, 금의 9가지 덕목)
12) 백랍금 百衲琴
13) 금(琴) 보호법 護法
14) 금(琴) 보관법 蓄法
15) 금(琴) 고치는 법 醫法
16) 금(琴) 연주할 때 금기사항 彈琴宜忌
17) 금(琴)의 십우 琴壇十友
18) 금갑 琴匣
19) 금낭 琴囊
20) 금안 琴案
21) 금실 琴室
22) 생황(笙簧)의 이름과 의미 笙簧名義
23) 생황 만드는 법 製法
24) 생황 보관법 藏法
25) 적(笛)의 이름과 의미 笛名義
26) 적(笛) 만드는 법 製法
27) 종(鍾)
28) 경(磬)
29) 풍경 風磬
30) 서재에는 검을 걸어두어야 한다 論齋閣宜掛劍



이운지 권제3 怡雲志 卷第三 임원십육지 101 林園十六志 一百一

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하) 山齋淸供(下)
1. 꽃과 돌 花、 石供
1) 분경(盆景) 총론 盆景統論
2) 분경의 품등 盆景品第
3) 화분의 품등 盆品
4) 병 꽃꽂이 총론 甁花統論
5) 꽃병의 품등 甁品
6) 꽃의 품등 花品
7) 가지 꺾기 折枝
8) 꽃꽂이 插貯
9) 병에서 꽃 기르기 滋養
10) 여러 가지 꽃 꽂는 법 諸花插法
매화 梅花 │ 모란 牡丹 │ 작약 芍藥 │ 연꽃 荷花 │ 치자 梔子 │ 해당화 海棠 │ 접시꽃 蜀葵 │ 수선화 水仙花 │ 봉선화 鳳仙花 │ 부용화 芙蓉花 │ 영지 靈芝 │ 여러 가지 꽃에 대한 전반적인 방법 諸花總法
11) 꽃 씻기 沐花
12) 꽃이 꺼리는 것 花忌
13) 꽃병 관리 護甁
14) 취우호 翠羽壺
15) 윤회매 輪回梅
16) 종이꽃 紙花
17) 납화감 蠟花龕
18) 괴석怪石) 살펴보는 법 怪石相法
19) 돌 위에 이끼 나게 하는 법 石上生苔法
20) 돌 염색법 染石法
21) 수석취미 泉石供
22) 물로 괴석 기르는 법 水養怪石法
23) 겨울에 돌 관리하는 법 冬月護石法
24) 괴석 운반하는 법 運怪石法
25) 중국 돌의 품등 中國石品
영벽석 靈壁石 │ 청주석 靑州石 │ 임려석 林慮石 │ 태호석 太湖石 │ 무위군석 無爲軍石 │ 임안석 臨安石 │ 무강석 武康石 │ 곤산석 崑山石 │ 도주석 道州石 │ 사계석 思溪石 │ 개화석 開化石 │ 영석 英石 │ 계천석 桂川石 │ 강주석 江州石 │ 원석 袁石 │ 평천석 平泉石 │ 연주석 兗州石 │ 습경석 襲慶石 │ 역산석 嶧山石 │ 뇌양석 耒陽石 │ 양양석 襄陽石 │ 진강석 鎭江石 │ 청계석 淸溪石 │ 형석 形石 │ 구지석 仇池石 │ 변산석 卞山石 │ 길주석 吉州石 │ 전주석 全州石 │ 소주석 韶州石 │ 융석 融石 │ 천석 川石 │ 소유동 천석 小有洞天石
26) 우리나라 돌의 품등 小有洞天石
경천석 敬天石 │ 신계석 新溪石 │ 안산석 安山石 │ 수락석 水落石 │ 풍천석 豐川石 │ 단양석 丹陽石 │ 덕적석 德積石 │ 금강석 金剛石 │ 낭간석 琅玕石 │ 종유석 鍾乳石 │ 옥순석 玉筍石 │ 물상석 物象石

2. 조수(鳥獸)와 물고기 禽魚供
1) 상학법 相鶴法
2) 순학법 馴鶴法
3) 양학법 養鶴法
4) 학에게 춤 가르치는 법 敎鶴舞法
5) 양계칙법 養鸂鶒法
6) 양록법 養鹿法
7) 사슴의 병 치료법 醫鹿病法
8) 금붕어 품평 金魚品第
9) 금붕어 기르는 법 養金魚法
10) 먹이로 붕어 색깔 바꾸는 법 飼魚變色法
11) 유리 어항에 금붕어 기르는 법 玻瓈盒養金魚法
12) 거북의 등에 녹색 털 나게 하는 방법 養龜生綠毛方



하위 분류

다음은 이 분류에 속하는 하위 분류 3개 가운데 3개입니다.

  • 차(茶)(2개 분류, 43개 문서)

"산재청공" 분류에 속하는 문서

다음은 이 분류에 속하는 문서 169개 가운데 169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