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지:임원에서 즐기는 청아한 즐길거리(상):향:만드는 법:사기향병

pungseok
이동: 둘러보기, 검색

내용

사기향병(四棄香餠, 버리는 4가지 재료로 만든 향병)
여지껍데기·잣껍데기·설리(雪梨)[1] 껍질·사탕수수[甘蔗] 찌꺼기 각각 같은 양을 가루 낸 뒤, 강진향·단향가루를 더해서 함께 간다. 여기에 설리즙을 섞어 환(丸)을 만든 다음 비벼서 향병을 만들고 그늘에 말린 뒤에 향을 피우면 효과가 빼어나다.
【 안 원추(袁觕)[2]의 《징회록(澄懷錄)[3]》에서 “산림궁사화향(山林窮四和香, 산골 궁벽한 곳에서 4가지를 섞어 만든 향)은 여지껍데기·사탕수수 찌꺼기·말린 측백나무잎·황련(黃連)[4]을 섞어서 향을 피운다. 또는 솔방울·대추씨·배씨를 더한다.”[5]라 했다. 이 방법과 서로 비교하면 자세하기도 하고 간략하기도 하다. 또 《징회록》을 살펴보니 “우집(虞集)[6]이 주만초(朱萬初)[7]에게 준 첩(帖, 글귀)에서 ‘깊은 산골에서 고매하게 살 때, 향로의 향이 없어서는 안 되지만 은퇴하여 쉬는 생활이 오래 되면 좋은 물품이 딱 끊어지게 된다. 이럴 때 사람들은 늙은 소나무와 측백나무의 가지·뿌리·잎·열매를 가져다 함께 찧고, 송진을 떼어내어 잘 뒤섞어 환을 만든다. 하나의 향환(香丸)을 피우기만 하면 청빈하여 힘든 생활을 돕기에 충분하다.’라 했다.”[8] 이 향들은 모두 산골의 가난하고 검소한 생활에 이바지하는 물건이다.】 《고금비원(古今秘苑)[9][10] [11]


각주

  1. 설리(雪梨):배의 일종으로, 과육이 매우 하얗고 수분이 많다.
  2. 원추(袁觕):?~?. 중국 원(元)나라의 문인. 《징회록》의 저자라는 기록 외의 사적은 전하지 않는다.
  3. 징회록(澄懷錄):원추가 지은 책으로, 원나라 및 그 이전의 역사와 일화 등을 수록하고 있다. 《설부(說郛)》 권23에 전한다.
  4. 황련(黃連):음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 열독을 해소하는 효능이 있어 소갈이나 폐결핵을 치료하는 약재로 쓰인다. 천련(川連) 또는 왕련(王連)이라고도 한다.
  5. 산림궁사화향(山林窮四和香)은……더한다:《說郛》 卷23下 〈澄懐録〉에 있다.
  6. 우집(虞集):1272~1348. 중국 원나라의 문인. 자는 백생(伯生), 호는 도원(道園). 주만초와 교류하며 쓴 책 《주만초제묵서(朱萬初制墨序)》가 전한다. 그 외 저서로 《도원학고록(道園學古錄)》·《도원유고(道園遺稿)》가 있다.
  7. 주만초(朱萬初):?~?. 중국 원나라의 문인. 먹[墨]의 제조에 매우 능숙했다고 한다.
  8. 우집(虞集)이……했다:《說郛》 卷23下 〈澄懐録〉에 있다.
  9. 고금비원(古今秘苑):중국 송나라의 문인 증조(曾慥, ?~1155)가 고금의 비술(秘術)을 기술한 저서. 의약·천문·지리·인사·부적·양생법 등에 대한 여러 기록이 수록되어 있다. 증조는 도교의 이론을 집대성한 《도추(道樞)》를 편찬하기도 했다.
  10. 《古今秘苑》 〈1集〉 卷4 “賽龍涎餅子”·“四棄香餅”.
  11. 《임원경제지 이운지(林園經濟志 怡雲志)》 1, 풍석 서유구 지음, 추담 서우보 교정, 임원경제연구소 옮김 (풍석문화재단, 2019), 349~350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