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흔(許昕)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총론

[1543년(중종 38)∼1622년(광해군 14) = 80세.] 조선 중기 선조~광해군 때의 문신. 행직(行職)은 분 승지이고, 증직(贈職)은 좌찬성(左贊成)이다. 자(字)는 경회(景晦)다. 본관은 양천(陽川)이고, 주거지는 서울이다. 증조부는 전주부윤(全州府尹)을 지내고 예조 판서(判書)에 추증된 허광(許礦)이며, 조부는 돈녕부(敦寧府)동지사(同知事)허순(許淳)이다. 아버지는 결성현감(結城縣監)을 지내고 좌승지에 추증된 허운(許雲)이며 어머니 영천이씨(永川李氏)는 사헌부(司憲府) 감찰(監察)이귀정(李龜禎)의 딸이다.

선조 시대 활동

1579년(선조 12) 사마시(司馬試)에 생원(生員)으로 합격하였고, 4년이 지나 41세이던 1583년(선조 16) 별시(別試) 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다.(『방목』) 그가 성균관(成均館)에서 공부할 때 율곡(栗谷)이이(李珥)가 동인(東人)들의 비난을 받아 어려움에 처하였다. 허흔은 여러 유생(儒生)들을 이끌고 소두(疏頭)가 되어 항소(抗疏)하였다가 동인들의 미움을 크게 사게 되었고, 과거에 급제하였으나 승문원(承文院) 정자(正字)에 선발되지 못하였다. 그 뒤에 참하관(參下官)의 여러 관직을 거쳐 봉상시(奉常寺)주부(主簿)가 되었다. 외직으로 나가서 김제군수(金堤郡守)와 남양군수(南陽郡守)를 지냈다. 사헌부 감찰에 임명되었다가, 형조 좌랑(佐郞)을 거쳐 공조 정랑(正郞)· 호조 정랑을 역임하고, 성균관 직강(直講)이 되었다, 또 군자감(軍資監)부정(副正)·군자감 정(正)으로 차례로 승진하고, 군기시(軍器寺) 정·예빈시(禮賓寺) 정을 역임하였다.

1589년(선조 22) 경상도도사(慶尙道都事)로 있을 때, <기축옥사(己丑獄事)>가 일어나서 중외(中外)에 유언비어가 많이 나돌았는데, 그 중에 역적의 우두머리 정여립(鄭汝立)이 경상도 진주(晉州)의 최영경(崔永慶)과 내통하였다는 말도 있었다. 도사허흔이 이 이야기를 관찰사김수(金晬)에게서 듣고, 서울에 올라가서, 그와 친하게 지내던 사간원(司諫院)정언(正言)구성(具宬)에게 우연히 누설하였다. 사간원 정언구성이 대간(臺諫)의 동료들과 함께 최영경을 국문(鞫問)하도록 강력히 주청하였다. 진주의 최영경이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당하여, 위관(委官)정철(鄭澈)에게 혹독한 국문을 받다가, 마침내 죽었다. 최영경은 남명(南冥)조식(曺植)의 제자로서 북인(北人)의 영수 정인홍(鄭仁弘)과 절친한 친구였다. 우의정정철이 사간원 정언구성을 사주하여, 최영경을 강력히 탄핵하게 하여, 최영경 일당을 모조리 체포하여 죽였는데, 특히 북인들이 피해를 크게 입었다. 동인들은 허흔과 구성이 모두 서인(西人)으로 위관정철의 말을 듣고 최영경을 죽였다고 비난하였다. 1590년(선조 23) 세자 책봉을 둘러싸고 우의정정철이 영의정이산해(李山海)와 대립하다가, 정철이 쫓겨나서 명천(明川)으로 귀양가자, 구성도 파면되어 홍천(洪川)으로 유배되었다. 이때부터 동인이 정권을 잡게 되자, 허흔은 오랫동안 동인의 탄압과 박해를 받았다.

1592년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났을 때 허흔은 평안도 도사로 있었다. 선조가 서북 지방으로 피난 가다가 평양(平壤)에 머물렀을 적에 허흔이 그곳의 도사로 있었는데, 왜적이 곧 평안도를 쳐들어오게 되었으므로, 선조가 그에게 평안도 절도사(節度使)와 함께 평양성을 나누어 지키도록 명하였다. 그 뒤에 선조가 의주(義州)로 떠날 때 그는 도차사원(都差使員)에 임명되어, 종묘사직의 신주(神主)를 받들고 호종(扈從)하였다. 1593년(선조 26) 정주 목사(定州牧使)에 임명되었으나, 곧 파직되었다. 그때 사간원에서 아뢰기를, “평안도 도사허흔은 지방관으로서 중로에서 뒤쳐져 호종하지 않다가, 몇 달 뒤에야 비로소 그 직임으로 돌아왔으니, 먼저 파직한 뒤에 추고하소서.” 하였기 때문이다.(『선조실록(宣祖實錄)』 참고.) 1597년(선조 30) 안변부사(安邊府使)에 임명되었다가, 파직되었다. 그때 사헌부에서 아뢰기를, “안변 부사허흔은 직무를 삼가지 않고 형장(刑杖)을 남용하여 죽은 자까지 있으니, 파직하소서.” 하였기 때문이다.(『선조실록』 참고.) 1598년(선조 31) 양주목사(楊州牧使에 임명되었으나, 또 파직되었다. 사간원에서 아뢰기를, “양주 목사허흔은 부임한 초기에 먼저 아실(衙室) 짓는 역사를 시작하여, 전쟁에서 살아남은 백성들을 괴롭히니, 파직시키소서.” 하였기 때문이다.(『선조실록』 참고.) 1599년(선조 32) 사옹원(司饔院) 정이 되었다가, 인천부사(仁川府使)가 되었다. 1600년(선조 33) 사헌부가 아뢰기를, “인천부사허흔은 위인이 탐학(貪虐)한데, 본부에 부임하여 더욱 기탄없는 짓을 자행하니 파직시키소서.” 하니, 선조가 파직하였다.(『선조실록』 참고.) 1602년(선조 35) 봉상시 정에 임명되었으나, 사헌부에서 탄핵하여 체직(遞職)되었다.(『선조실록』 참고.) 동인이 정권을 잡고 있을 때 동인의 대간들이 그를 집요하게 탄핵하여 지방 관직까지 번번이 빼앗았던 것이다. 또 당시 사람들은, 허흔과 구성이 무고한 최영경을 <정여립의 옥사>에 연루시켜서 죽게 만든 장본인이라고 지목하였기 때문이다. 1604년(선조 37) 사섬시(司贍寺)에 들어가서 부정이 되었다가, 이듬해에 정으로 승진되었다.(『선조실록』 참고.)

광해군 시대 활동

1608년 2월 광해군이 즉위하자, 북인 정인홍과 이이첨(李爾瞻)이 정권을 잡았다. 허흔과 구성은 최영경을 죽였다고 지목되어 벼슬에서 물러나서 은거하였다. 1612년(광해군 4) <임진왜란> 때 호종한 공신에게 상사(賞賜)할 때 광해군이 전교하기를, “임진년에 선왕(先王)이 서북 지방으로 행차했을 때 허흔은 평안도도사로 있으면서 호종하였으니, 한 자급을 가자(加資)하라.” 하였다.(『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참고.) 또 종묘사직의 신주를 받들고 호종한 공로를 책훈할 때, 허흔은 공신에 책훈되고 정3품상 통정대부(通政大夫)로 승품하였으며 중추부(中樞府)첨지사(僉知事)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구성은 강원도 홍주(洪州)로 유배되었다가 1604년(선조 37) 아버지 구사맹(具思孟)의 상을 당해 석방된 다음에는, 은거하면서 두문불출하였다.

1615년(광해군 7) 허흔은 죽주 부사(竹州府使)에 임명되었는데, 그때 나이가 73세였다. 그러나 사간원에서 그의 나이가 70세가 넘었다고 탄핵하여 교체되었다. 사간원에서 아뢰기를, “죽주 산성(竹州山城)은 호남과 영남 두 도의 요충에 있어서 방어하는 데 가장 중요하므로 재주와 명망이 있는 문관을 보내는데, 새로 부임하는 부사허흔은 나이가 70세가 넘어서 노쇠하고, 또 명성도 없으니, 부사허흔을 체차하소서.” 하니, 광해군이 대답하기를, “시험삼아 보내보는 것도 괜찮은데….” 하였으나, 사간원에서 잇달라 상소하니, 교체하였다.(『광해군일기』 참고.) 1616년(광해군 8) 허흔은 분(分) 승정원(承政院)승지(承旨)에 임명되었는데, 나이가 74세였다.(『광해군일기』 참고.) 1618년(광해군 10) 북인 정인홍·이이첨 등이 인목대비(仁穆大妃)를 폐위(廢位)시키려고 정청(庭請)을 전개하자, 구성은 눈이 흐려져 앞이 보이지 않는 몸으로, “나는 이 논의에 결코 참여할 수 없다.” 하고, 정청에 참여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리, 서인을 독려하여 서인 중진 34명이 이에 참여하지 않았다. 이때 허흔은 그 아들 허평(許坪)과 함께 서인편에 섰다. 대간에서 그들을 유배시키자고 논의를 발의할 무렵에 구성은 병으로 죽었다. 구성의 상을 당하여 그 아들 구인후(具仁垕)와 그의 막내 동생 구굉(具宏)이 조카 능양군(綾陽君)을 추대하려는 <인조반정(仁祖反正)>을 처음으로 계획하였다. 능양군은 구성의 누이 인헌왕후(仁獻王后) 구씨(具氏)의 맏아들인데, 구성의 문하에서 글을 배웠다. 그들의 거사 계획이 마침내 우여곡절 끝에 성공하여, 능양군이 인조가 되었다.

1622년(광해군 14) 허흔이 노병으로 세상을 떠났는데, 향년이 80세였다.(『계곡집(谿谷集)』 권12 「통훈대부 봉상사정 겸 춘추관편수관 허공흔묘갈명(通訓大夫奉常寺正兼春秋館編修官 許公昕墓碣銘)」 참고, 이하 「묘갈명」이라 약칭.) 허흔이 죽은 다음해 1622년 3월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광해군 때 수여된 모든 훈작(勳爵)을 모두 삭탈하였는데, 허흔도 이 가운데 포함되어 훈작과 품계와 증직(贈職)을 모두 추탈(追奪)당하였다. 그때 사람들이 말하기를, “허흔은 생전에도 기구한 처지를 자주 당하더니, 죽은 뒤에까지도 또한 그러하다.”고 하였다.

<최영경 옥사>와 경상도 도사 허흔

1589년(선조 22) 정여립이 대동계(大同契)를 만들고 반역(反逆)을 도모하다가, 사전에 일이 발각되었다. 정여립과 그 아들 정옥남(鄭玉南) 등이 충청도 진안(鎭安) 죽도(竹島)의 별장에 숨어 있다가, 관군이 별장을 포위하자, 정여립은 통곡하고 자결하고, 그 아들 정옥남과 그 일당은 붙잡혀서 서울로 압송되었다. 우의정정철이 위관에 임명되어, 그들을 국문하였다. 그는 동인 가운데 평소 정여립과 친밀하게 지내던 이발(李潑)·김우옹(金宇顒)·이길(李洁)·백유양(白惟讓) 등을 체포하여 죽이거나 유배보냈는데, 당시 동인 1천여 명이 숙청되었다. 이때 이발은 그의 동생 이길과 함께 고문을 당하다가 죽었는데, 늙은 어머니와 어린 아들도 곤장을 맞다가 죽었으며, 그의 사위이자 홍가신(洪可信)의 아들인 홍세(洪稅)와 김응남(金應南)의 아들 김명룡(金命龍)은 모두 압슬형(壓膝刑) 받다가 죽었다. 그 문하생과 노비들도 모두 엄하게 심문을 받았으나 자복한 자는 한 사람도 없었다. 이것을 <기축옥사)>라고 하는데, 서인 황정욱(黃廷彧)의 아들 황혁(黃赫)은 좌의정정철이 송익필(宋翼弼)의 조종을 받아 동인을 일망타진(一網打盡)하려는 음모를 경계하고, 그 옥사의 과정을 『기축록(己丑錄)』에 비교적 자세히 기록하여, 후세에 남겼다.

구봉(龜峯)송익필은 송사련(宋祀連)의 아들로 그 가계가 서출인데, 그가 서인 성혼(成渾)·정철·김계휘(金繼輝) 등과 절친하게 지내자, 동인이 그를 미워하여, 그의 가계에 대한 송사(訟事)를 벌여 그를 노비로 만들었으므로, 그는 노비 신분으로 몸을 숨기고 쫓겨 다녔다. 송익필은 김계휘의 아들인 사계(沙溪)김장생(金長生)을 가르친 스승인데, 정철의 집에 숨어 있으면서 정철을 조종하여 동인을 일망타진하려고 꾀하였다. 정여립이 새로운 왕조를 세우려고 시도하다가 실패하였으나, 송익필은 숨어서 위관정철을 조정하여 당시 정권의 양대 축의 하나인 동인의 세력을 일망타진하여, 마침내 서인의 세상으로 만들었다. 이리하여 서인이 정권을 잡자, 서인은 다시 노론·소론이 나뉘어졌다. 송시열(宋時烈) 계열의 노론은 조선 후기 2백여 년 동안 독주하는 양상을 보였다. 세력을 잃은 동인들은 떠도는 말로 정철을 비방하는 말을 만들어, 정철을 ‘독철(毒澈)’이라고 부르고, 심지어 정여립 옥사가 진짜가 아니고 정철이 송익필의 말을 듣고 조작한 사건이라는 말까지 나돌았다.

1589년(선조 22) 허흔이 경상도 도사로 있을 때, <기축옥사>가 일어나서 중외에 유언비어가 많이 나돌았는데, 그 중에 전주에 살던 정여립이 일찍이 진주에 살던 최영경과 왕래하였다는 말도 있었다. 그해 섣달 그믐날 밤에 도사허흔이 관찰사김수를 찾아가서 신년 인사를 나누다가, 김수로부터 이러한 이야기를 듣고, 서울에 올라와서 그와 친하게 지내던 사간원 정언구성을 만나서 우연히 그 사실을 이야기하였다. 구성은 그 이야기를 대간의 여러 동료들에게 전하자, 대간은 직분상 이를 임금에게 보고해야 하므로, 이 사실을 상소문 중에 넣었다. 놀란 선조는 최영경과 정여립이 내통하였다는 사실을 말한 사람들을 모두 잡아다가 국문하도록 하였다. 경상도 관찰사김수와 도사허흔은 모두 체포당하여, 서울로 압송되어 대질 심문하였는데, 허흔은 사실대로 진술하고, 김수도 자기가 들은 곳을 말하여, 모두 석방되었다.(『기축록』 상권 참고.)

<최영경 옥사>를 보면, 경상도 도사허흔과 진주 판관홍정서(洪廷瑞)로부터 시작된 것인데, 심문할 때 허흔은 홍정서에게 미루기를, “역적 정여립이 최영경의 집에 내왕한다는 말을 홍정서에게 들었습니다.” 하였고, 홍정서는 말하기를, “진주 별감정홍조(鄭弘祚)가 전에 이런 말을 한 적이 있습니다.” 하였다. 정홍조가 공초(供招)하기를, “최영경의 집은 진주 관아에서 5리쯤 떨어진 곳에 있으며, 신 정홍조의 집은 40리 밖에 있습니다. 역적 정여립은 명사(名士)인데, 설사 대낮에 왕래하였다면 어찌 명사가 오는 것을 5리에 있는 판관이 모르는데, 40리에 밖에 있는 정홍조 혼자 알겠습니까? 더욱이나 알지 못하는 사실을, 어찌 홍정서에게 말하였겠습니까.” 하였다. 옥사의 공초를 읽어본 선조는 홍정서와 정홍조를 모두 석방하였다.(『기축록』 상권 참고.) 이때 최영경은 위관정철의 앞에서 온갖 고문을 당하고도 끝까지 자복하지 않고 도리어 정철을 간신이라고 몰아붙이고 버티다가, 결국 옥중에서 죽었다. 최영경이 공초하기를, “편지를 내왕한 사람은 기억의 착오로 잘못 공초하였으니, 만번 죽어도 아까울 것이 없습니다. 그러나 역적 정여립과 서로 상종했다는 소문에 대해선 전혀 그런 일이 없습니다.” 하였다.(『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참고.)

선조 만년에 세자 책봉을 둘러싸고 당쟁(黨爭)을 벌이다가, 북인 유영경(柳永慶)·홍여순(洪汝諄) 등이 선조의 신임을 얻자, 1591년(선조 24) 북인 홍여순 등이 서인을 공격하기를, “정철이 구성을 사주하여 당대의 이름 있는 인사들을 역적의 당류로 몰았습니다.” 하고, 위관정철이 대간구성을 사주하여 북인 최영경을 억울하게 죽인 것을 공격하였다. 마침내 북인들은 억울하게 죽은 최영경을 신원(伸寃)시키고, 우의정정철을 명천으로, 사간원 정언구성 등을 홍천으로 각각 유배시키고, 서인의 원로 윤두수(尹斗壽)·유공신(柳拱辰)·황정욱 등 많은 인사들을 조정에서 내쫓았다. 이것을 <신묘사화(辛卯士禍)>라고 한다.

성품과 일화

허흔의 성품과 자질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묘갈명」 참고.) 그는 용모가 걸출하고 품성이 소박하고 순수하였다. 겉치레를 좋아하지 않았고, 사람을 움직이는 힘이 있었다. 관직 생활을 하면서 항상 강한 자를 억누르고 약한 자를 도와주었으며, 남의 비위를 맞추려고 자기의 뜻을 굽히려 하지 않았다. 그는 일찍이 영남 출신 동인들의 뜻을 많이 거슬렀기 때문에 부임해 가는 곳마다 번번이 탄핵을 당하여 제대로 근무하지 못하였다. 만년에 벼슬살이할 때 그러한 현상이 더욱 심하여졌으나, 끝까지 자신의 신조를 굽히지 않았다. 나이 80세가 되어도 정력과 용기가 조금도 쇠퇴하지 않아서, 벼슬살이를 하고자 하니, 사람들이 모두 특이하다고 하였다.

1618년(광해군 10) 광해군이 인목대비를 유폐(幽閉)시키려고 하자, 북인 정인홍·이이첨 등이 문무백관들을 동원하여 대비를 폐위하도록 청하는 ‘정청’을 전개하였다. 이때 허흔은 아들 허평과 함께 이에 참여하지 않았다. 이 일로 인하여 장차 견책을 받게 되자, 친척과 친구들이 찾아와서 그를 위로하였으나, 정작 그는 태연하고 마음이 동요되는 바가 없었다.(「묘갈명」 참고.) 그때 손자 유학(幼學)허박(許博)은 그의 조부 허흔과 그의 아버지 허평이 정청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하여, 과거를 보지 못하도록 정거(停擧)당하였는데, 그는 이것이 억울하다고 광해군에게 호소하였다.(『광해군일기』참고.)

1589년(선조 22) 허흔이 경상도 도사로 있을 때 북인 정인홍이 의령현감(宜寧縣監)으로 있었다. 허흔이 의령에 공무로 갔을 때, 정인홍이 그를 싫어하여 그를 맞이하고 배웅하는 영송(迎送)의 예를 제대로 행하지 않았다. 허흔이 분노하여 그 이방(吏房) 아전에게 죄를 주고, 그 고을의 이름 있는 호족들에 대하여 일체 사정을 봐주지 않고 혹독하게 정역(丁役)을 부과하였다.(「묘갈명」 참고.) 이때부터 두 사람은 앙숙이 되었는데, <최영경의 옥사>로 인하여 서로 원수가 되었던 것이다.

1592년(선조 25) 평안도정주목사(定州牧使)에 임명되었으나, 1593년(선조 26) 선조 일행이 의주에서 서울로 돌아오는데, 정주 백성들이 어가(御駕) 앞에서 하소연하기를, “목사허흔이 이곳에서 생산되지 않는 청밀(淸蜜) 등의 물건을 징납(徵納)하므로 백성들이 그 괴로움을 견디지 못하여 도망합니다.” 하였으므로, 선조는 즉각 허흔을 파직하였다. 그러나 장유(張維)가 지은 그의 묘갈명(墓碣銘)에 보면, “어가가 서울로 돌아올 때에 지나가는 주현(州縣)에서 대개 후궁(後宮)들에게 진기한 물건을 진상(進上)하여 아첨을 다하였으나, 허흔은 홀로 이것을 바치지 않았기 때문에 내궁(內宮)에서 불쾌하게 여겨서 마침내 파직되고 말았다.”고 하였다. (「묘갈명」 참고.)

묘소와 후손

묘소는 경기도 광주(廣州)에 있는데, 부인 엄씨(嚴氏)와 합장하였다. 계곡(谿谷)장유(張維)가 지은 묘갈명이 남아 있다.(『계곡집(谿谷集)』 권12 「통훈대부 봉상사정 겸 춘추관편수관 허공흔묘갈명(通訓大夫奉常寺正兼春秋館編修官 許公昕墓碣銘)」)

부인 영월엄씨(寧越嚴氏)는 부정(副正)엄서(嚴曙)의 딸인데, 자녀는 1남 1녀를 두었다. 아들 허평은 중추부 첨지사를 지냈고, 손자 허박은 형조 좌랑을 지냈다. 측실 소생은 서자 3형제인데, 허선(許墠)·허구(許坵)·허탄(許坦)이다. 허선은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였고, 허구는 문과에 급제하여 현감을 지냈다.(「묘갈명」 참고.)

문과방목(文科榜目)』을 보면, 1620년(광해군 12) 허구는 정시(庭試) 문과에 병과 12위로 급제하여 현감을 지냈고, 서자(庶子) 출신이라고 기록하였다. 서자로서 관직에 허통(許通)한 사례가 되어 주목할 만한 기록이다. 조선 전기나 중기에 서자로서 대과(大科)에 급제하여 관직에 오른 자가 있었으나, 높은 관직에는 오르지 못하였다.

참고문헌

  • 『선조실록(宣祖實錄)』
  •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국조방목(國朝榜目)』
  • 『광해조일기(光海朝日記)』
  • 『기축록(己丑錄)』
  • 『순암집(順菴集)』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택당집(澤堂集)』
  • 『혼정편록(混定編錄)』
  • 『내암집(來庵集)』
  • 『율곡전서(栗谷全書)』
  • 『송강집(松江集)』
  • 『사류재집(四留齋集)』
  • 『고담일고(孤潭逸稿)』
  • 『지퇴당집(知退堂集)』
  • 『기암집(畸庵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