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상리(徐祥履)

sillokwiki
Silman (토론 | 기여) 사용자의 2018년 1월 9일 (화) 22:45 판 (XML 가져오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총론

[1602년(선조35)∼1659년(효종10) = 58세]. 조선 후기 인조~효종 때 활동한 문신. 자는 여길(汝吉)인데, 본관은 달성(達城)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아버지는 종친부 전첨(典籤)서경수(徐景需)이고, 어머니 광주김씨(光州金氏)는 충의위(忠義衛)김희(金僖)의 딸이다. 중추부 판사서성(徐渻)의 손자이고, 달성위(達城尉) 서경주(徐景霌)의 조카이다.

인조 시대 활동

인조 초년에 사마시에 합격하고 성균관에 들어가서 유생(儒生)의 전강(殿講)에서 능통(能通)하여 으뜸을 차지하고 희릉참봉(禧陵參奉)에 임명되었다. 1630년(인조8) 식년(式年) 문과(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 정자(正字)에 보임되었다가, 여러 조(曹)의 낭관(郎官)을 거쳐, 시강원(侍講院)에 들어가서 설서(說書) · 사서(司書) · 필선(弼善) · 보덕(輔德)을 지냈고, 성균관(成均館)에서 직강(直講) · 사예(司藝) · 사성(司成)을 지냈다. 또 3관(館)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쳤는데, 사간원(司諫院)에서 정언(正言) · 사간(司諫)을 지냈고, 사헌부(司憲府)에서 지평(持平) · 장령(掌令) · 집의(執義)를 지냈으며, 홍문관(弘文館)에서 수찬(修撰) · 부교리(副校理)를 지냈다. 그밖에 종묘서(宗廟署) 영(令)과 종부시(宗簿寺)정(正)을 역임하였다.

1634년(인조12) 인조의 친아버지 원종(元宗)을 종묘(宗廟)부묘(祔廟)할 때 당하집례(堂下執禮)을 맡아서 정성껏 부묘례를 봉행하자, 인조가 기뻐하여 서상리 등 집례자들에게 각각 반숙마 1필씩을 내려주었다. 1638년(인조16) 사간원 사간으로 있을 때, “사치 풍속을 통렬히 개혁하고, 언로를 널리 열며, 기강을 떨쳐 정숙케 하고, 절의를 높이고 권장하며, 백성들의 아픔을 부지런히 구휼하고, 내수사(內需司)를 혁파하여 하늘의 견책에 답하고 재앙을 늦추는 방도로 삼으소서.”라고 상차하니, 인조가 진달한 8조목을 채택하겠다고 대답하였다.

심양관에서 소현세자의 시강원 관원 생활

1636년(인조14)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남한산성(南漢山城)이 포위되자 서상리는 세자시강원의 관원으로서 소현세자(昭顯世子)를 따라 산성으로 들어가 입시(入侍)하면서, 세자에게 죽기를 무릅쓰고 후금 오랑캐 군사와 끝까지 싸우기를 청하였다. 그때 봉림대군(鳳林大君: 효종)과 세손(世孫: 소현세자 맏아들)은 강화도로 피난하였다. 인조가 삼전도(三田渡)에서 항복을 하고, 조선과 청나라 사이에 화의(和議)가 이루어져서, 소현세자 내외와 봉림대군이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갈 때 그는 세자시강원의 사서(司書)로서 세자 일행을 따라서 심양(瀋陽)으로 갔다. 이때부터 세자가 볼모에서 풀려날 때까지 조선과 청국을 오가면 세자를 늘 수행하였다. 그 사이 일시 귀국하여 1637년(인조15) 사헌부 지평 · 장령을 역임하고, 1638년(인조16) 사간원 사간을 역임하였다. 또 1639년(인조17) 심양관(瀋陽館)에서 시강원 필선정뇌경(鄭雷卿)과 원리(院吏)강효원(姜孝元)의 옥사가 일어났을 때 시강원 대신박노(朴*)의 밀서를 가지고 본국에 왕래하였다. 1638년(인조16) 홍문관 부수찬 · 수찬을 역임하였다. 1642년(인조20) 3월 소현세자를 모시고 조선을 다녀갔는데, 조선에서 청나라 예부에 보내는 자문(咨文)을 전달하였다. 또 1643년(인조21) 시강원 필선이 되었고, 1644년(인조22) 1월 소현세자를 모시고 다시 본국을 다녀가면서 시강원 보덕으로 승진하였다.

당시 청나라 태종(太宗)홍타지가 죽고 세조(世祖)순치제(順治帝)가 즉위하자, 청나라에서 소현세자를 볼모에서 풀어주어 영구히 귀국할 수 있었는데, 이 소식을 서상리가 본국에 보고하였다. 1645년(인조23) 2월 소현세자 내외와 봉림대군은 볼모 생활에서 풀려나서 9년만에 귀국하였다. 귀국한 다음에 인조의 총비 소용조씨(昭容趙氏)과 세자빈 강씨(姜氏) 사이에 갈등이 일어나고, 인조와 소현세자의 부자 사이도 점차 나빠졌다. 그러던 중에 그해 4월 26일 소현세자가 갑자기 사망하여 그 죽음에 대해서 의문이 많은 가운데, 그 장례도 사대부(士大夫)의 상례(喪禮)로 결정되었다. 그가 시강원의 궁료(宮僚)들을 거느리고 상서하여 소현세자의 장례 절차를 『예경(禮經)』에 따르도록 간청하니, 다시 논의하여 의경세자(懿敬世子: 덕종)의 복제와 같이 세자의 상례로 고쳐서 장례를 치르도록 하였다. 이것이 그가 모시던 소현세자에게 마지막으로 할 수 있는 최대의 예우였다.

효종 시대 활동

효종이 즉위하자, 그는 심양관에서 봉림대군을 모시고 함께 고생을 하였으므로, 왕의 절대적 신임을 받았다. 1652년(효종3) 왕세자(王世子: 현종)가 가례(嘉禮)를 치렀는데, 서상리가 시강원 필선으로서 찬례(贊禮)를 맡아 혼례를 잘 치렀으므로, 정3품상 통정대부(通政大夫)로 승진되고, 동부승지(同副承旨)에 발탁되었다. 경주목사(慶州牧使)로 나갔다가, 1654년(효종5) 예조 참의를 거쳐, 병조 참의 · 좌부승지가 되었다. 종성부사(鐘城府使)에 임명되었으나 아들을 잃고 얻은 병으로 부임하지 않았다가 대사헌김익희(金益熙)의 탄핵을 받고 체차되었다. 1656년(효종7) 우승지 · 좌승지에 임명되어 효종을 모셨으나, 병이 차츰 심하여 1659년(효종10) 12월 26일 죽으니, 향년이 58세였다.

성품과 일화

성품과 자질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그는 타고난 기량이 무게가 있으며, 성품이 너그럽고 후덕하였다. 그는 평생 정치적 모임에 참여하거나 출세를 위하여 누구를 방문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 관직에 있을 때에도 남과 교제하는 일이 적었으므로, 조정에서 그를 밀어주는 사람도 적었으며, 외방의 관직에 임명되어도 조금도 언짢아하는 기색이 없었다. 집에 있을 때에도 집안 살림을 추스르는 일이 없어서, 벼슬한 지 30년 동안 큰 고을을 여러 번 맡았으나, 집에는 전토(田土)나 노비가 늘어난 일이 없었고, 만년에는 더욱 살림이 궁색하여졌으나 괘념하지 않았으며, 일체의 세상살이에 대해서는 담담한 태도를 보였다.

묘소와 후손

묘소는 경기도 포천(抱川) 설운리(雪雲里) 언덕에 있고, 부인과 합장하였는데, 6촌 영의정서문중(徐文重)이 지은 묘지명(墓誌銘)이 남아 있다. 부인 전주유씨(全州柳氏)는 진사 유정(柳程)의 딸인데, 자녀는 3남 1녀를 두었다.

관력, 행적

참고문헌

  • 『인조실록(仁祖實錄)』
  • 『효종실록(孝宗實錄)』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국조방목(國朝榜目)』
  • 『속잡록(續雜錄)』
  • 『순암집(順菴集)』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응천일록(凝川日錄)』
  • 『임하필기(林下筆記)』
  • 『포저집(浦渚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