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현대상 후보 목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반차도 등장인물) |
|||
851번째 줄: | 851번째 줄: | ||
== '''반차도 등장인물''' == | == '''반차도 등장인물''' == | ||
+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800px> | ||
+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1.png | ||
+ | </gallery>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background:white;"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background:white;" | ||
+ | ! style="width:5%"|그림 !! style="width:10%"|대상 !! style="width:5%"|품계 !! style="width:10%"|쓰개 !! style="width:15%"|옷 !! style="width:10%"|허리띠 !! style="width:5%"|신 !! style="width:15%"|기물 !! style="width:5%"|icon !! style="width:20%"|비고 | ||
|- | |- | ||
− | ! style="width:10%"| | + | | 그림1 || 사령(使令) || || 흑립 || 철릭 || 세조대 || 혜 || 장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1_사령.JPG|80x80px]] || |
+ | |- | ||
+ | | 그림1 || 서리(書吏) || || 무각평정건 || 단령 || 세조대 || 혜 ||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1_서리.JPG|80x80px]] || | ||
+ | |- | ||
+ | | 그림1 || 당부관(當部官) || || 사모(단사각) || 흑단령(무늬없음) || 흑각대 || 흑피화 || 말 타고 있음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1_당부관.JPG|80x80px]] || | ||
+ | |- | ||
+ | | 그림1 || 당상관(堂上官) || || 금관 || 홍초의, 하상, 중단, 후수, 패옥, 홀 || 대대, 서대, 금대, 은대 || 흑피화 || 말 타고 있음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1_당상관.JPG|80x80px]] || 금관의 줄무늬 수와 허리띠 색은 신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 ||
+ | |- | ||
+ | | 그림1 || 소유(所由) || || 흑건 || 흑색 반비의, 철릭 || 세조대 || 혜 ||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1_소유.JPG|80x80px]] || 같은 복장을 착용한 다른 관직 있음-나장(羅將) | ||
+ | |- | ||
+ | |} | ||
+ | |||
+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800px> | ||
+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2.png | ||
+ | </gallery> |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background:white;" | ||
+ | ! style="width:5%"|그림 !! style="width:10%"|대상 !! style="width:5%"|품계 !! style="width:10%"|쓰개 !! style="width:15%"|옷 !! style="width:10%"|허리띠 !! style="width:5%"|신 !! style="width:15%"|기물 !! style="width:5%"|icon !! style="width:20%"|비고 | ||
+ | |- | ||
+ | | 그림2 || 금부도사(禁府都事) || 종5품 || 사모(단사각) || 흑단령(무늬없음) || 흑각대 || 흑피화 || 말 타고 있음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2_금부도사.JPG|80x80px]] || 사모의 모양, 단령의 색상 및 형태는 조선 전기와 후기가 다르다 | ||
+ | |- | ||
+ | | 그림2 || 전사대(前射隊)1 || || 전건(戰巾) || 호의(號衣), 협수 || 전대 || 혜 || 깃발, 검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2_전사대(기).JPG|80x80px]] || | ||
+ | |- | ||
+ | | 그림2 || 전사대(前射隊)2 || || 전건(戰巾) || 호의(號衣), 협수 || 전대 || 혜 || 총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2_전사대(총).JPG|80x80px]] || | ||
+ | |- | ||
+ | | 그림2 || 대기수(大旗手)1 || || 전건(戰巾) || 호의(號衣), 협수 || 전대 || 혜 || 깃발, 검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2_대기수1.JPG|80x80px]] || 같은 복장이나 깃발의 색이 다른 인원이 있음 | ||
+ | |- | ||
+ | | 그림2 || 대기수(大旗手)2 || || 전건(戰巾) || 호의(號衣), 협수의(狹袖衣) || 전대 || 혜 || 깃발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2_대기수2.JPG|80x80px]] || 같은 복장이나 깃발의 색이 다른 인원이 있음 | ||
+ | |- | ||
+ | | 그림2 || 취기수(吹旗手) || || 전립(戰笠) || 호의(號衣), 협수 || 전대 || 혜 || 검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2_취기수.JPG|80x80px]] || | ||
+ | |- | ||
+ | | 그림2 || 기고수차지(旗鼓手次知) || || 전립(戰笠) || 전복(戰帶), 협수의(狹袖衣) || 전대 || 수화자 || 등편(籐鞭), 통개(筒箇), 궁시(弓矢), 환도(環刀), 말 타고 있음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2_기고수차지.JPG|80x80px]] || 같은 복장이나 전복, 옷의 색이 다른 관직이 있음-교련관(敎鍊官) | ||
+ | |- | ||
+ | | 그림2 || 뇌자(牢子) || || 붉은색 전립 || 호의(號衣), 협수 || 전대 || 혜 || 주장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2_뇌자.JPG|80x80px]] || | ||
+ | |- | ||
+ | | 그림2 || 순령수(巡令手) || || 전건(戰巾) || 호의(號衣), 협수 || 전대 || 혜 || 깃발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2_순령수.JPG|80x80px]] || | ||
+ | |- | ||
+ | | 그림2 || 고(鼓) || || 전립(戰笠) || 호의(號衣), 협수 || 전대 || 혜 || 북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2_고.JPG|80x80px]] || | ||
+ | |- | ||
+ | | 그림2 || 금(金) || || 전립(戰笠) || 호의(號衣), 협수 || 전대 || 혜 || 징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2_금.JPG|80x80px]] || | ||
+ | |- | ||
+ | |} | ||
+ | |||
+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800px> | ||
+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3.png | ||
+ | </gallery> |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background:white;" | ||
+ | ! style="width:5%"|그림 !! style="width:10%"|대상 !! style="width:5%"|품계 !! style="width:10%"|쓰개 !! style="width:15%"|옷 !! style="width:10%"|허리띠 !! style="width:5%"|신 !! style="width:15%"|기물 !! style="width:5%"|icon !! style="width:20%"|비고 | ||
+ | |- | ||
+ | | 그림3 || 훈련대장(訓鍊大將) || 종2품 || 새 깃털로 꾸민 자립(紫笠) || 남색철릭(무늬있음) || 홍색 광다회 || 수화자 || 수기(手旗), 등편(籐鞭), 통개(筒箇), 궁시(弓矢), 환도(環刀), 말 타고 있음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3_훈련대장.JPG|80x80px]] || 같은 복장을 착용한 다른 관직이 있음-중군(中軍) | ||
+ | |- | ||
+ | | 그림3 || 낭청(郎廳) || 종6품 || 새 깃털로 꾸민 흑립(黑笠) || 남색철릭(무늬없음) || 흑색 세조대 || 수화자 || 등편(籐鞭), 통개(筒箇), 궁시(弓矢), 환도(環刀), 말 타고 있음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3_낭청.JPG|80x80px]] || | ||
+ | |- | ||
+ | | 그림3 || 대기수(大旗手) || || 전립(戰笠) || 호의(號衣), 협수 || 전대 || 혜 || 깃발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3_대기수.JPG|80x80px]] || 같은 복장이나 깃발의 색과 호의의 색이 다른 인원이 있음 | ||
+ | |- | ||
+ | | 그림3 || 금군별장(禁軍別將) || 종2품 || 투구 || 갑(甲), 갑상(甲裳), 호액(護腋), 엄심(掩心) || || 수화자 || 통개(筒箇), 궁시(弓矢), 환도(環刀), 말 타고 있음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3_금군별장.JPG|80x80px]] || | ||
+ | |- | ||
+ | | 그림3 || 독(纛) || || 사모(단사각) || 단령 || 흑각대 || 흑피화 || 독(纛), 말을 타고 있음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3_독.JPG|80x80px]] || | ||
+ | |- | ||
+ | | 그림3 || 교룡기(蛟龍旗)1 || || 흑립 || 남색철릭(무늬없음) || 흑색 세조대 || 수화자 || 교룡기(蛟龍旗), 말을 타고 있음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3_교룡기1.JPG|80x80px]] || | ||
+ | |- | ||
+ | | 그림3 || 교룡기(蛟龍旗)2 || || 홍건 || 홍의 || 세조대 || 혜 || 교룡기(蛟龍旗)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3_교룡기2.JPG|80x80px]] || | ||
+ | |- | ||
+ | |||
+ | |||
+ | <gallery mode=packed heights=800px> | ||
+ | 파일:영조정순왕후가례반차도-004.png | ||
+ | </gallery> | ||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100%; background:white;" | ||
+ | ! style="width:5%"|그림 !! style="width:10%"|대상 !! style="width:5%"|품계 !! style="width:10%"|쓰개 !! style="width:15%"|옷 !! style="width:10%"|허리띠 !! style="width:5%"|신 !! style="width:15%"|기물 !! style="width:5%"|icon !! style="width:20%"|비고 | ||
+ | |- | ||
+ | | 그림4 || 주작기(朱雀旗) || || 홍건 || 홍의 || 세조대 || 혜 || 주작기(朱雀旗) || || 같은 복장이나 다른 그림의 깃발을 들고 있는 인원이 있음-황룡기(黃龍旗), 가귀선인기(駕龜仙人旗), 벽봉기(碧鳳旗) | ||
+ | |- | ||
+ | | 그림4 || 홍개(紅蓋) || || 홍건 || 홍의 || 세조대 || 혜 || 홍개(紅蓋) || || | ||
+ | |- | ||
+ | | 그림4 || 고(鼓) || || 홍건 || 홍의 || 세조대 || 혜 || 고(鼓) || || 같은 복장에 같은 기물을 들고 있으나 고(鼓)의 색이 다른 인원이 있다. | ||
+ | |- | ||
+ | | 그림4 || 금(金) || || 홍건 || 홍의 || 세조대 || 혜 || 금(金) || || | ||
+ | |- | ||
+ | | 그림4 || 보마(寶馬)1 || || 초립 || 청의 || 세조대 || 혜 || 보마(寶馬) || || | ||
+ | |- | ||
+ | | 그림4 || 보마(寶馬)2 || || || || || || || || | ||
|- | |- | ||
|} | |} |
2020년 7월 22일 (수) 23:25 판
사직단 - 사직대제
의례 복식
육조거리 - 관청 및 관직
반차도 등장인물
그림 | 대상 | 품계 | 쓰개 | 옷 | 허리띠 | 신 | 기물 | icon | 비고 |
---|---|---|---|---|---|---|---|---|---|
그림4 | 주작기(朱雀旗) | 홍건 | 홍의 | 세조대 | 혜 | 주작기(朱雀旗) | 같은 복장이나 다른 그림의 깃발을 들고 있는 인원이 있음-황룡기(黃龍旗), 가귀선인기(駕龜仙人旗), 벽봉기(碧鳳旗) | ||
그림4 | 홍개(紅蓋) | 홍건 | 홍의 | 세조대 | 혜 | 홍개(紅蓋) | |||
그림4 | 고(鼓) | 홍건 | 홍의 | 세조대 | 혜 | 고(鼓) | 같은 복장에 같은 기물을 들고 있으나 고(鼓)의 색이 다른 인원이 있다. | ||
그림4 | 금(金) | 홍건 | 홍의 | 세조대 | 혜 | 금(金) | |||
그림4 | 보마(寶馬)1 | 초립 | 청의 | 세조대 | 혜 | 보마(寶馬) | |||
그림4 | 보마(寶馬)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