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옥대(왕실남성)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옥대
(玉帶)
국립고궁박물관(http://www.gogung.go.kr) 소장
대표명칭 옥대
한자표기 玉帶
구분
착용신분 황제, , 황태자, 왕세자
착용성별 남성



정의

조선시대의 , 왕세자과 대한제국의 황제, 황태자가 겉옷 위에 두르는 대이다.[1]

내용

종묘사직에 제사를 지내는 제례나 책봉을 받는 책례, 혼인의식인 가례 등의 의례를 행할 때 면복을 입을 때 두른다. 또 정월 초하루ㆍ동짓날ㆍ경축일 등 절일(節日)에 조복을 입거나, 일상 집무복인 왕의 상복을 입을 때도 착용한다. 황제, 황태자, 왕세자의 경우도 같다. 다만 왕세손은 수정대(水晶帶)를 착용한다. 가죽으로 띠를 만들어 비단을 씌우고 그 위에 5줄의 금색 줄을 그린 후 옥으로 된 과판(띠돈)을 붙여 장식한다. 옥대에는 대홍색 비단을 사용하고 무늬를 아로새긴 옥으로 과판을 만들었다. 왕세자옥대에는 흑색 비단을 사용하고 띠돈에 조각 장식이 없다.[2] 조선 초기에는 면복옥대가 사용되지 않았으며 17세기 인조 때 처음 면복에 사용했다. 18세기 정조 때의 『사직서의궤(社稷署儀軌)』『경모궁의궤(景慕宮儀軌)』에도 옥대를 착용한 기록이 있다.[3]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제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한다 A ekc:wears B
황태자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손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대례복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의 대례복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의 대례복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대례복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조복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의 조복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의 조복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조복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제의 상복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황태자의 상복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의 상복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왕세자의 상복 옥대(왕실남성) A는 B를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옥대(왕실남성) 면복 상의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옥대(왕실남성) 면복 하상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옥대(왕실남성) 강사포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옥대(왕실남성) 강사포 하상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옥대(왕실남성) 곤룡포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이동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48쪽.
  2. 이동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48쪽.
  3. 이동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48쪽.
  4. 이동 국립고궁박물관(www.gogung.go.kr).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국립고궁박물관(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김문식·김지영·박례경·송지원·심승구·이은주, 『왕실의 천지제사』, 돌베개, 2011.
  • 高福男, 「우리나라 服飾中 帶의 硏究」, 『대한가정학회지』 제14권 1호, 대한가정학회, 1976.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韓國의 服飾文化史』, 단국대학교출판부, 2006.
  • 도보선, 「朝鮮時代 品帶에 關한 硏究」,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이은주, 「조선시대 품대의 구조와 세부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61권 10호, 한국복식학회, 2011.
  • 조광복, 「朝鮮時代의 帶에 對한 考察」,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8.
  • 崔銀水, 「조선시대 百官의 團領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