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중기록화관 개관

폐슬(왕실남성)

Encyves 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폐슬
(蔽膝)
궁중기록화 복식 기타 폐슬(왕실남성)03 김아람.png
대표명칭 폐슬
한자표기 蔽膝
구분 기타
착용신분 왕실
착용성별 남성



정의

조선의 왕세자, 왕세손과 대한제국 황제, 황태자제례책례, 가례 등 중요한 의례를 행하거나, 정월 초하루, 동짓날, 경축일 등 절일(節日)에 두르는 무릎 가리개이다.[1]

내용

폐슬(왕실남성)은 고대에 신체의 앞을 가리던 용도로 사용하다가, 후에 예복에 달린 무릎가리개가 되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앞과 뒤에 두르는 면복 하상이나 강사포 하상이라는 형태의 옷도 생겨났다. 위의 너비 1척, 아래의 너비 2척, 길이 3척으로[2] 위가 좁고 아래가 넓은 형태로, 1은 하늘, 2는 땅, 3은 삼재를 상징한다. 면복 상의와 착용할 때는 면복 하상의 색을 따르기 때문에 붉은색이며, 면복 하상과 동일한 문양을 배치했다. 대한제국황제는 종이(宗彝), 조(藻), 분미(粉米), 보(黼), 불(黻) 문양을 수놓고, 조선의 , 왕세자는 조(藻), 분미(粉米), 보(黼), 불(黻) 문양을 수놓았다. 조선의 왕세손은 보(黼), 불(黻) 문양을 수놓았다.[3] 강사포와 착용할 때도 강사포 하상의 색을 따라 붉은색이며, 면복 하상과 다르게 문양이 없다.[4]

지식 관계망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황제 폐슬(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황태자 폐슬(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폐슬(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왕세자 폐슬(왕실남성) A는 B를 착용하였다 A ekc:wears B
폐슬(왕실남성) 황제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폐슬(왕실남성) 황태자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폐슬(왕실남성) 왕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폐슬(왕실남성) 왕세자의 대례복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폐슬(왕실남성) 황제의 조복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폐슬(왕실남성) 황태자의 조복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폐슬(왕실남성) 왕의 조복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폐슬(왕실남성) 왕세자의 조복 A는 B의 일습으로 갖춘다 A dcterms:hasPart B
폐슬(왕실남성) 면복 상의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폐슬(왕실남성) 면복 하상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폐슬(왕실남성) 강사포 상의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폐슬(왕실남성) 강사포 하상 A는 B와 같이 착용하였다 A ekc:goesWith B
폐슬(왕실남성) 의궤 A는 B에 기록되어 있다 A ekc:mentions B
폐슬(왕실남성) 상의원 A는 B에서 제작되였다 A dcterms:creator B
폐슬(왕실남성) 면복각 A는 B에 보관되었다 A edm:formerLocation B

시간정보

공간정보

시각자료

갤러리

영상

주석

  1.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41~42쪽.
  2. 크기에 대한 내용은 『시경(詩經)』에 기록되어 있다.
    Quote-left.png 붉은 슬갑 넓적다리에 있고 행전이 아래에 있도다. 【불(芾)은 태고 때 무릎 가리개의 모습이다. 면복을 불(芾)이라 하고 기타의 의복은 필(韠}라고 하는데 가죽으로써 만든다. 그 제도에 있어 위의 너비는 1척이고 아래의 너비는 2척이며 길이는 3척이다. 그 목 부분은 5촌이고 어깨[肩]와 혁대는 너비가 2촌이다.】(赤芾在股,邪幅在下【箋云: 芾,大古蔽膝之象也。冕服謂之芾,其他服謂之韠。以韋爲之,其製上廣一尺,下廣二尺,長三尺,其頸五寸,肩革帶, 博二寸.】) Quote-right.png
    출처: 『詩經』, 「小雅」, '采菽'.

  3.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42쪽.
  4.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71쪽.

참고문헌

인용 및 참조

  • 고광림, 『한국의 관복』, 화성사, 1995.
  • 국립고궁박물관 엮음, 『대한제국, 잊혀진 100년 전의 황제국』, 민속원, 2011.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도감』, 국립고궁박물관, 2013.
  • 金明淑, 「朝鮮時代 冕服의 考察-國葬都監儀軌 服玩圖說을 中心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3.
  • 金明淑, 「한국과 중국의 袞冕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유희경, 「冕服에 關한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2.
  • 이민주, 『용을 그리고 봉황을 수놓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2013.
  • 최규순, 『中國歷代帝王冕服硏究』, 동화대학출판부, 2007.
  • 최연우, 『면복』, 문학동네, 2015.
  • 홍나영ㆍ신혜성ㆍ이은진 지음,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