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00번째 줄: |
100번째 줄: |
| #[[천태종]] | | #[[천태종]] |
| #[[화엄종]] | | #[[화엄종]] |
| + | #[[법상종]] |
| | | |
| *제도 | | *제도 |
106번째 줄: |
107번째 줄: |
| #[[국사]] | | #[[국사]] |
| #[[왕사]] | | #[[왕사]] |
| + | #[[공부선]] |
| | | |
| *불교문화 | | *불교문화 |
160번째 줄: |
162번째 줄: |
| #[[도량]] | | #[[도량]] |
| #[[법회]] | | #[[법회]] |
| + | #[[범패]] |
| + | #[[사무외대사]] |
| + | #[[화엄십찰]] |
| | | |
| *전각 | | *전각 |
담당 |
탑비 |
승려 |
노드 |
비문
|
|
|
|
중심승려 - 49명, 문맥승려 - 39명
|
|
김사현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
진감선사 혜소(眞鑑禪師 慧昭) |
- 혜소 - 탑비의 주인
- 삼법 - 하동 쌍계사의 최초 창건 스님. 당시 옥천사로 불리다 이후 쌍계사로 고쳐 불림.
- 벽암 - 임진왜란 때 불탄 쌍계사를 중창함
- 도의 - 중국에서 만나 잠시 함께 다님.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 혜소의 탑비
- 하동 쌍계사
- 상주 백장사 - 혜소가 중국 유학 후 신라로 들어와 처음 주석한 사찰
- 숭산 소림사 - 중국의 사찰로 혜소가 구족계를 받은 곳.
- 하동 쌍계사 승탑 - 진감선사의 승탑으로 알려짐. 사실 여부는 논란이 있다.
- 하동 쌍계사 대웅전
- 쌍계사팔상전영산회상도 - 1681년 숙종 7년에 그려짐.
- 쌍계사 대웅전 삼세불탱 - 18세기 전반 전라도 지역에서 활약하던 불화승 '의겸'의 작품. 1780년대의 승윤 평삼으로 이어지는 불화승의 계보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
- 쌍계사팔상전팔상탱 -
- 하동 쌍계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사보살입상 - 불상 안에서 발견된 조성기에 의하면, 조선 인조 17년(1639)에 청헌(淸憲)비구를 비롯한 11명의 화승들에 의해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 하동 쌍계사 괘불도
- 하동 쌍계사 감로왕도 - 쌍계사 감로왕도는 1728년 명정(明淨), 최우(最祐), 원민(元敏), 처영(處英), 신영(信英), 永浩(永浩) 등이 그린 불화이다.
- 하동 쌍계사 동종 - 동종은 중창이 진행되었던 기간에서 간지가 정확하게 일치하는 1641년(인조 19년)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제작 장인을 기재하지 않았지만, 숭정연간 쌍계사 중창불사에 동원된 승장이 제작한 것으로 생각된다.
- 쌍계사차나무시배지 - 김대렴이 흥덕왕 3년에 신라로 가져온 것을 진감선사가 흥덕왕 5년에 차르 번식시켰다고 함
- 김대렴 - 신라 흥덕왕 3년에 신라에 처음으로 차를 중국에서 가져옴
- 흥덕왕 - 진감선사가 신라로 귀국했을 때 우호적으로 대함
- 헌강왕 - 혜소에게 진감선사로 추시함.
- 최치원 - 진감선사 비문을 찬, 서한 인물.
- 범패 - 불교의식음악으로, 진감선사가 중국에서 도입함.
|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문
|
강혜원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비 |
보조선사 체징(普照禪師 體澄)
|
- 체징
- 염거
- 도의
- 장흥 보림사
- 서산 보원사 - 체징이 구족계를 받은 곳
- 억성사 - 양양 선림원지로 추정. 염거가 주석하던 곳
-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 장흥 보림사 목조사천왕상
- 장흥 보림사 보조선사탑
- 김언경
- 김영
- 김원(신라)
- 신라 헌안왕
- 비로자나불
- 사천왕
- 가지산문
|
|
강혜원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 |
선각대사 형미(先覺大師 逈微)
|
- 형미
- 도응 - 중국의 남종선사. 형미를 비롯한 사무외대사의 스승.
- 강진 무위사
- 구례 화엄사 - 형미가 비구계를 받은 곳
-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
- 최언위
- 궁예
- 고려 태조
- 유훈율, 김문윤, 최환규
- 사무외대사 - 태조 왕건의 스승. 선각대사 형미, 대경대사 여엄, 법경대사 경유, 진철대사 이엄
|
강진 무위사 선각대사탑비문
|
김현규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
철감선사 도윤(澈鑒禪師 道允) |
- 도윤 - 탑비의 주인
- 혜철 - 쌍봉사에서 하안거를 지냈다
- 절중 - 도윤의 제자, 흥녕사에서 사자산문을 개산하였다
- 혜소 - 쌍봉사를 중창하였다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비
- 화순 쌍봉사
- 해남 대흥사 - 사찰령 때 쌍봉사가 대흥사의 말사로 편입되었다
- 김제 귀신사 - 도윤이 이곳에서 화엄경을 Study.
-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
-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 최우 - 아들 최만전이 수선사의 혜심에게 출가하여 이후 쌍봉사에 거처하면서 사세가 융성해졌다.
- 죽수서원 - 조선시대때 쌍봉사는 죽수서원의 예속사찰이 되었다.
|
|
최한샘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지증대사 도헌(智證大師 道憲) |
- 도헌 - 탑비의 주인
- 범체 - 도헌에게 화엄학 가르침.
- 경의 - 경의에게 구족계를 받음.
- 혜은 - 혜은에게 불교의 이치를 배우고 법을 이음.
- 혜강 - 탑비를 쓰고, 새김.
- 양부 - 도헌의 선법을 이어 받음. 양부의 제자인 긍양이 희양산문을 크게 발전시킴.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도헌의 것
- 문경 봉암사 - 도헌이 머물다 입적한 곳.
- 영주 부석사 - 범체에게 배우고, 경의에게 구족계를 받은 곳.
- 헌강왕 - '지증'이라는 시호와 '적조'라는 탑명을 내림.
- 최치원 - 탑비의 찬자. 비문은 최치원의 사산비명 중 하나.
희양산문 - 도헌은 개창자.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문
|
최한샘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정진대사 긍양(靜眞大師 兢讓) |
- 긍양 - 탑비의 주인.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 - 긍양을 기리기 위한 탑비.
- 공주 남혈사지 - 긍양이 어려서 출가한 곳.
- 공주 서혈사지 - 이 곳에서 양부의 법맥을 이음.
- 광주 백암사 - 당나라에서 귀국 후 백암사의 주지가 됨.
- 문경 봉암사 - 긍양이 주석하고 입적한 곳.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 - 긍양의 사리탑.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 - 지증의 사리탑.
-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 - 지증을 기리기 위한 탑비.
- 문경 봉암사 극락전 - 신라 경순왕이 피난시 원당으로 사용한 유서 깊은 건물.
- 문경 봉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 문경 봉암사 삼층석탑 - 봉암사 안에 있는 삼층석탑으로 머리장식 모두가 완전히 남아 있어서 한국 석탑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쓰임.
- 문경 봉암사 일주문 - 봉암사에서 가장 오래된 것의 하나로 생각됨.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음.
- 문경 봉암사 마애보살좌상 - 봉암사 근처에 있는 마애불.
- 문경 봉암사 석종형부도 - 봉암사 대웅전 앞에 놓여 있는 이 부도는 절의 기록에서 승려 지눌의 사리를 모신 곳이라고 전하고 있는데, 승려 보우의 사리를 모신 곳이라는 설도 있다.
- 이몽유 - 탑비의 비문을 지음.
- 장단열 - 탑비의 비문을 씀.
- 섬율 - 글자를 새김.
- 여해 - 남혈사에서 여해의 제자가 됨.
- 양부 - 양부의 법맥을 이음.
- 도연 - 당나라로 건너가서 도연에게 가르침을 받음.
- 경애왕 - 봉종대사(奉宗大師)라는 호를 내림.
- 태조·혜종·정종·광종 - 이들에게 존경을 받음. 태조와 광종에게 법요 (法要)를 가르침. 광종에게 증공대사(證空大師)라는 호를 받음.
|
문경 봉암사 정진대사탑비문
|
최한샘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낭혜화상 무염(朗慧和尙 無染) |
- 무염 - 탑비의 주인.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
- 양양 오색석사터 - 12세에 법성의 제자가 됨.
- 영주 부석사 - 석징에게서 화엄경을 익힘.
- 보령 성주사지 - 옛 이름 오합사, 후에 성주사 - 무염이 주석하다가 입적한 곳.
- 보령 성주사지 서 삼층석탑 - 나란히 서 있는 3기의 탑 중 가장 서쪽에 있는 석탑, 1971년 해체 ·수리 당시 1층 몸돌에서 네모난 사리공을 발견하였으나 그 안에 향나무 썩은 가루와 먼지만 남아 있었다고 함.
- 보령 성주사지 오층석탑 - 앞 금당터, 뒤 3기의 석탑 서있음.
- 보령 성주사지 중앙 삼층석탑 - 나란히 서 있는 3기의 탑 중 가장 가운데에 있는 석탑.
- 보령 성주사지 석불입상 - 9세기 경에 유행한 양식으로 보임.
- 보령 성주사지 동 삼층석탑 - 나란히 서 있는 3기의 탑 중 가장 가운데에 있는 석탑.
- 보령 성주사지 석계단 - 성주사 금당에 오르는 돌계단.
- 보령 성주사지 석등 - 성주사 창건시기에 같이 세워진 것으로 알려짐.
- 최치원 - 탑비의 비문을 지음.
- 최인연 - 탑비의 비문을 씀.
- 태종무열왕 - 무염은 태종무열왕의 8대손.
- 김범창 - 김헌창의 난(왕위쟁탈)에 동조하여 족강(族降, 진골에서 6두품으로 떨어짐)된 이야기가 탑비문에 실려있음. (신라사회에 있어서 족강에 관한 최초의 기사로 알려져있음.)
- 성주산문 - 성주산문의 개조(開祖)
|
보령 성주사지 낭혜화상탑비문
|
강혜원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
홍각선사 이관(弘覺禪師 利觀) |
이관,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 양양 선림원지, 김원, 운철, 양양 선림원지 승탑 |
양양 선림원지 홍각선사탑비문
|
서소리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도선국사(道詵國師) |
도선,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영암 도갑사, 이경석, 오준, 이경석 궤장 및 사궤장 연회도 화첩, 서울 삼전도비, 도갑사수미왕사진영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ㆍ수미선사비문
|
서소리 |
영암 도갑사 도선국사 수미선사비 |
수미왕사(守眉王師) |
수미, 신미, |
|
강혜원 |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
징효대사 절중(澄曉大師 折中) |
절중,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 영월 흥녕사지, 최언위, 최윤, 최환규, 영월 징효국사부도 |
영월 흥녕사지 징효대사탑비문
|
서소리 |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
수철화상(秀澈和尙) |
수철,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비, 남원 실상사, 남원 실상사 수철화상탑 |
|
서소리 |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
증각대사 홍척(證覺大師 洪陟) |
홍척,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남원 실상사, 남원 실상사 증각대사탑 |
|
최한샘 |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
원랑선사 대통(圓朗禪師 大通) |
- 대통 - 탑비의 주인.
- 성린 - 대통에게 구족계를 줌.
- 순몽 - 글씨를 씀.
- 진윤 - 비문의 각자.
- 무염 - 대통의 스승.
-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 - 대통의 것.
- 월광사 - 대통이 사찰을 크게 발전시키다가 입적한 곳.
- 제천 사자빈신사지 - 월광사지 인근에 위치한 사터.
- 제천 하 덕주사지(제천 덕주사) - 월광사지 인근에 위치한 사터.
- 제천 송계리 대불정주범자비 - 월광사지 입구에서 발견 됨. 고려 후기의 다라니(석가의 가르침, 주문) 비석.
- 김영 - 탑비의 찬자.
|
제천 월광사지 원랑선사탑비문
|
강혜원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
진경대사 심희(眞鏡大師 審希) |
심희,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창원 봉림사지, 신라 경명왕, 행기, 최인연(崔仁渷), 성림,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 |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문
|
강혜원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
대경대사 여엄(大鏡大師 麗嚴) |
여엄,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 양평 보리사지, 최언위, 이환추, 최문윤,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
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비문
|
강혜원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 |
낭원대사 개청(朗圓大師 開淸)
|
- 개청
- 범일 - 사굴산문의 개조. 개청의 스승
- 구례 화엄사 - 개청이 출가한 곳
함양 엄천사 - 구족계 받은 곳. 자료 거의 없음.
- 강릉 보현사
- 강릉 굴산사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
- 고려 태조
- 최언위
- 구족달
- 사굴산문
|
강릉 보현사 낭원대사탑비문
|
강혜원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
자적선사 홍준(慈寂禪師 洪俊) |
홍준,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 예천 명봉사, 최언위 |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 자적선사능운탑비문
|
김현규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
진공대사 충담(眞空大師 忠湛) |
- 충담 - 탑비의 주인
- 심희 - 충담의 스승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
- 원주 흥법사지
- 무주 영신사 - 이곳에서 구족계를 받았다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다
- 원주 흥법사지 삼층석탑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
- 고려 태조 - 찬자
- 최정윤 - 당태종의 글씨를 집자함
- 안민가 - 충담이 지은 노래. 백성들이 편안하게 살수 있도록
- 찬기파랑가 - 충담이 지은 향가
|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비문
|
서소리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
광자대사 윤다(廣慈大師 允多)
|
- 윤다 - 탑비의 주인
- 혜철 - 윤다, 도선의 스승. 동리산문의 개산조. 영주 부석사, 화순 쌍봉사 주석.
- 서당지장 - 지장의 법통을 전수받은 신라3인: 혜철, 홍척, 도의
- 홍척 - 서당지장의 제자. 실상사 증각대사탑비 주인. 어차피 만들어질 것.
- 도의 - 서당지장의 제자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
- 적인선사 부도비 - 1928년 파손돼 넘어진 비신을 새로 만들면서 광자대사비의 이수와 적인선사비의 이수가 바뀌었다고함
- 곡성 태안사
- 개성 흥왕사 - 윤다가 주석했던 곳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 - 윤다의 부도탑. 보물.
-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탑 - 혜철의 부도탑. 보물.
- 곡성 태안사 청동 대바라 - 효령대군이 세종,왕비,왕세자의 복을 빌기 위하여 만듦
- 곡성 태안사 동종 - 보물.
- 고려 태조 - 윤다에게 극진한 대우.
- 효령대군 - 효령대군의 원당 사찰. 대바라 제작 주체.
- 신숭겸 - 태안사 들목 '장절공 태사 신선생 영적비', 고려 태조 대신 죽음. 관련유적지가 춘천, 대구에 있음
- 가릉빈가 - 광자대사탑비의 조형적 특징. 연곡사 부도와의 연결.
- 동리산문 - 구산선문
|
곡성 태안사 광자대사탑비문
|
서소리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
원종대사 찬유(元宗大師 璨幽) |
- 찬유 - 탑비의 주인
- 심희 - 찬유의 스승. 창원 봉림사지 진경대사탑비 주인공
- 현욱 - 심희의 스승. 봉림산문 1대. 남원 실상사에 있었음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비
- 여주 고달사지
- 여주 고달사
- 경주 사천왕사 -찬유가 주석했던 곳
- 여주 고달사지 원종대사탑
- 여주 고달사지 승탑 -국보 제4호. 고달사지에 있음
- 여주 고달사지 석조대좌 -보물 제8호. 고달사지에 있음
- 고달사터 쌍사자 석등 -보물 제282호. 중박에 있음
- 김정언 -비문찬자
- 장단열 -비문서자
- 봉림산문
|
|
서소리 |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
통일대사(通一大師) |
- 통일 - 탑비의 주인
-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비
- 괴산 각연사 -실록사전 참고
- 괴산 각연사 통일대사탑
- 괴산 각연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 제433호
- 괴산 각연사 석조귀부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12호
- 괴산 각연사 비로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25호
- 괴산 각연사 대웅전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26호
- 대웅전 안의 승려상? -지정문화재 아님. 절의 창건자인 유일 혹은 중국의 달마상이라고 전해짐.
- 김정언 -비문찬자
|
|
서소리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
법인국사 탄문(法印國師 坦文) |
- 탄문 - 탑비의 주인
- 용하 - 동국역경원 설립. 불교사전 편찬. 흥사단 가입. 봉선사에 주석.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비
- 서산 보원사 -화엄십찰 중 하나.
- 서산 보원사지
- 개성 귀법사 - 탄문 주석.
- 남양주 봉선사 - 탄문이 창건한 사찰. 창건 당시 운악사. 세조의 능인 광릉의 능침사.
- 서산 보원사지 법인국사탑 - 보물 제105호
- 서산 보원사지 당간지주 - 보물 제103호
- 서산 보원사지 석조 - 보물 제102호
-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 - 보물 제 104호
- 전 보원사 터 철조여래좌상 - 보원사지에서 출토된 철불. 중박에 있음.
- 고려 태조 - 탄문의 기도로 고려 광종이 태어남.
- 고려 광종 - 광종의 총애 속에 탄문이 고려 불교계를 이끔.
- 김정언 - 비문찬자
- 한윤 - 비문서자. 혜덕왕사탑비의 찬자?
- 화엄십찰 - 최치원이 저술한 '법장화상전'에서 언급된 개념
|
|
최한샘 |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
현각선사(玄覺禪師) |
- 현각선사
-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탑비
- 구례 연곡사
|
구례 연곡사 현각선사비문
|
최한샘 |
구례 연곡사 동 승탑비 |
선각국사 도선(先覺國師 道詵) |
- 도선 - 연곡사 동 승탑비의 주인으로 추정.
- 태능 -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의 주인(탑비는 없는 듯)
- 휴정 - 태능의 제자
- 태능, 충휘, 응상 - 법문의 삼걸(三傑)이라 불림
- 구례 연곡사 동 승탑 - 도선의 부도일 것이라 추정.
- 구례 연곡사 북 승탑 - 현각선사의 부도일 것이라 추정.
- 구례 연곡사 소요대사탑 - 태능의 부도.
- 구례 연곡사 보월당 승탑 - 누구의 것인지 모름. 자료 少
- 구례 연곡사 삼층석탑
▷▷태능 - 김제 금산사 소요당대사비
- 효종 - 1652년(효종 3) "혜감선사(慧鑑禪師)"라는 시호내림.
- 이경석(李景奭)을 시켜 비명(碑銘)을 지어 김제 금산사에 세우게 함.
▷▷태능
- 합천 해인사에서 부휴에게 경률을 익힘
- 속초 신흥사, 구례 연곡사 - 태능이 중건함
- 구례 연곡사, 김제 금산사, 보개산 - 세 곳으로 태능의 사리를 나누어 모시고 부도를 건립함.
- 소요파 - 태능이 소요파의 개조(開祖)임
|
|
최한샘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법경대사 현휘(法鏡大師 玄暉) |
- 현휘 - 탑비의 주인.
- 심광 - 심광의 밑에서 승려가 됨.
- 광예, 장초, 행총, 행초 - 비문을 새긴 사람들.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현휘의 것.
- 합천 해인사 - 해인사에서 구족계를 받음.
- 정토사 - 여기서 머무름.
- 최언위 - 비문의 찬자.
- 구족달 - 비문을 쓴 사람.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문
|
최한샘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홍법국사(弘法國師) |
- 홍법 - 탑비의 주인.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 - 홍법국사의 것.
- 광통 보제사 - 교화를 펼침.
- 서울 봉은사 - 잠시 머물렀음.
- 정토사 - 머무른지 얼마 지나지 않아 입적함.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 홍법국사의 사리가 모셔진 곳.
- 충주 정토사지 법경대사탑비 - 법경대사 현휘를 기리기 위해 세운 비. 법경대사가 정토사에서 입적한 뒤 홍국법사가 후학들을 지도함.
- 손몽주 - 비문의 찬자.
- 고려 목종 - 국서와 함께 돈과 재물을 내렸으며, 시호를 홍법(弘法), 탑 이름을 실상(實相)이라 지음.
|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비문
|
김현규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원공국사 지종(圓空國師 智宗) |
- 지종 - 탑비의 주인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 - 지종의 탑비
- 원주 거돈사지 - 이미 씀.
- 원주 거돈사지 삼층석탑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 - 이미 씀.
- 최충 - 찬자. 이미 기사씀.
- 김거웅 - 비문을 쓴사람.
- 고려 광종
- 선종
- 구산선문
- 천태종
- 법안종
- 해서체
|
원주 거돈사지 원공국사탑비문
|
최한샘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혜소국사 정현(慧炤國師 鼎賢) |
- 정현 - 탑비의 주인.
- 충회 - 정현의 스승.
- 융철 - 융철에게서 유가행을 배움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 - 정현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비.
- 안성 칠장사 당간 - 매우 희귀한 문화재.
- 안성 칠장사 인목대비친필족자 - 인목왕후가 아버지 김제남(金悌男)과 영창대군을 위하여 칠장사를 원당으로 삼아 사찰을 중건하여 친히 김광명(金光明)에게 최승경(最勝經) 10권과 친필족자 1령을 하사한 것인데, 현재는 친필 족자 1령만 보존 되어있는 상태. (최승경에 대한 자료 無)
- 안성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 - 불화(佛畵), 국보
- 안성 죽림리 삼층석탑 - 원래 칠장사에 있던 것 아니고 옮겨옴. 칠장사 대웅전 앞에 위치함.
- 안성 칠장사 범종 - 1782년에 만들어진 조선후기 범종.
- 안성 칠장사 대웅전 - 건립연대 미상, 조선 후기에 세워짐.
- 안성 칠장사 대웅전 영산회상도 - 불화(佛畵)
- 안성 칠장사 대웅전 목조석가삼존불좌상 - 불상(佛像)
- 고려 문종이 비를 세움.
- 김현이 글을 지음.
- 민상제가 글을 씀.
- 배가성, 이맹 등이 글자를 새김.
- 이 비문은 구양순의 글씨체로 쓰여짐.
- 보은 광교사 - 10세에 이 곳에서 충회의 제자가 됨.
- 개성 영통사 - 정현이 구족계를 받은 곳.
- 안성 칠장사 - 융철에게서 배움을 얻음, 정현이 주석한 곳.
|
안성 칠장사 혜소국사비문
|
김현규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
지광국사 해린(智光國師 海麟) |
- 해린 - 탑비의 주인
- 소현 - 해린의 제자
- 정현 - 법상종의 고승으로 법천사를 번창시킨 승려
- 준광 - 해린의 스승. 자료가 별로 없다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 원주 법천사지
- 개성 왕륜사 - 해린이 승과에 급제한 곳
- 현화사 - 해린이 주석했던 곳
- 개경 해안사 - 해린이 주지를 한 곳.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 있다
- 정유산 - 찬자
- 안민후 - 서자
- 이자연 - 해린의 제자 소현의 아버지.
- 유방선 - 조선 전기의 학자로 법천사에서 강학하였다
- 구양순체
|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문
|
서소리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혜덕왕사 소현(慧德王師 韶顯) |
- 소현 - 탑비의 주인
- 해린 - 소현의 스승.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비 주인공
- 진표 - 금산사 중창
- 처영 - 휴정,유정과 함께 임진왜란때 활약한 승려. 금산사에서 출가. 휴정의 제자. 권율과 함께 이치전투에 참여. 금산사를 중심으로 병을 일으켜 활동함. 해남 대흥사의 표충사에 휴정, 유정과 함께 진영이 안치됨.
- 남악 - 혹은 태우. 영조대 승려. 금산사에 남악당선사의 부도가 있음.
- 지안 - 환성지안. 조선 현종대 승려. 양평 용문사 출가. 금산사에서 화엄대법회를 열음. 이 일로 무고를 받아 제주도에 유배 됨. 해남 대흥사에 부도가 있음. 법맥은 휴정(休靜)-언기(彦機)-의심(義諶)-설제(雪霽)-지안-체정(體淨)-상언(尙彦)
- 혼원 - 진명국사 혼원. 송광사 십육조사 제4세. 혜심의 문하생. 고려 고종의 요청에 개성 자운사에 가서 왕사가 됨.
- 김제 금산사 혜덕왕사탑비
- 금산사소요당대사비 - 태능(소요. 혜감선사). 부도전 내에 있음. 휴정의 제자. 구례 연곡사 중건.
- 김제 금산사 - 임진왜란 당시 호남 의승병의 주요 거점. 실록사전 참고.
- 개성 개국사 - 소현이 도승통함. 서희(민족기록화/초상화중복)가 개국사에서 요양생활을 오랫동안 함. 이때 고려 성종이 직접 문병와서 시주함.
- 개성 자운사 - 소현이 도승통함. 혼원이 주석함. 고려 태조가 지정한 개경십찰 중 하나.
- 개성 현화사 - 소현이 주석함. 해린이 주석함.
- 김제 금산사 미륵전 - 국보 제62호
- 김제 금산사 노주 - 보물 제22호
- 김제 금산사 석련대 - 보물 제23호
- 김제 금산사 오층석탑 - 보물 제25호
-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 - 보물 제26호. 방등계단. 김시습이 금산사에가서 금강계단을 보고 지은 시가 있음
- 김제 금산사 육각 다층석탑 - 보물 제27호
- 김제 금산사 당간지주 - 보물 제28호
- 김제 금산사 석등 - 보물 제828호
- 김제 금산사 대장전 - 보물 제827호
- 금산사 대적광전: 1963년 1월 21일 보물 제476호로 지정되었다가, 1986년 12월 6일 화재로 전소되어 보물 지정에서 해제되었다. 1990년에 다시 복원하였다.
- 김제 금산사 심원암 삼층석탑 - 보물 제29호
- 이자연 - 소현의 아버지
- 견훤 - 금산사는 견훤의 원찰이었음
- 조헌 -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전에 조헌은 박정로와 함께 금산사 누각에 올라서 하늘을 보고 일본군이 쳐들어올 것을 예견했다고 함. 초상화/민족기록화 중복노드.
- 김시습 - 금산사 방문. 금강계단보고 시를 지음. 초상화중복노드
- 법상종 - 소현은 법상종의 대종사.
|
|
강혜원 |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
대각국사 의천(大覺國師 義天)
|
- 의천
- 난원
- 순천 선암사
- 칠곡 선봉사
- 개성 흥왕사
- 개성 영통사
-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
- 순천 선암사 승선교
- 순천 선암사 동서 삼층석탑
- 순천 선암사 대웅전
- 순천 선암사 원통전
- 순천 선암사 대각암 승탑
- 순천 선암사 대각국사 의천 진영
- 순천 선암사 중수비
- 순천 선암사 불조전
- 조정래
- 김부식 - 개성 영통사 대각국사비의 찬자
- 교장도감
|
|
서소리 |
합천 반야사지 원경왕사비 |
원경왕사 낙진(元景王師 樂眞) |
- 낙진 - 탑비의 주인
- 난원 - 난원에게 학문을 배움. 의천의 스승이기도 함.
- 의천 - 의천과 함께 송나라에 가서 정원에게 배움.
- 정원 - 중국 승려.
- 합천 반야사지 원경왕사비
- 합천 반야사지
- 합천 반야사
- 합천 해인사
- 개성 귀법사 -낙진이 입적한 곳
-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 - 보물 제298호
- 김부일 - 비문찬자
- 이원부 - 비문서자
- 구양순 - 구양순체
- 우세남 - 우세남체
- 교장도감 - 속장경 편찬에 참여함
- 속장경 - 편찬사업에 참여함
|
|
강혜원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 |
원응국사 학일(圓鷹國師 學一)
|
- 학일
- 원광 - 운문사 중창
- 일연
- 청도 운문사
- 개성 광명사 - 학일이 승과에 급제한 곳
- 보은 법주사 - 학일이 주석한 곳
-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
- 청도 운문사 석조사천왕상
- 청도 운문사 동서 삼층석탑
- 청도 운문사 대웅보전
- 청도 운문사 처진소나무
- 청도 운문사 작압전
- 윤언이 - 찬자
- 탄연 - 서자로 추정
- 신증동국여지승람
- 대동금석서
- 해동금석존고
|
청도 운문사 원응국사비문, 청도 운문사 설송대사비문
|
김사현 |
영동 영국사 원각국사비 |
원각국사 덕소(圓覺國師 德素) |
|
|
김현규 |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
현오국사 종린(玄悟國師 宗璘) |
*승려
- 종린 - 탑비의 주인
-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 - 종린의 탑비
- 용인 서봉사지
- 김제 귀신사 - 종린이 주석한 절
- 산청 지곡사지 - 종린이 주석한 절
- 광양 중흥사 - 종린이 주석한 절
- 영주 부석사 - 종린이 주석한 절
- 이지명 - 찬자.
- 유공권 - 비문을 쓴사람.
- 이광 - 임진왜란 때 이곳에서 왜적과 싸운 전라감사.
- 고려 명종 - 백고좌회를 주관하도록 함.
|
용인 서봉사지 현오국사탑비문
|
김현규 |
포항 보경사 원진국사비 |
원진국사 승형(圓眞國師 承逈) |
승형, 사인비구 제작 동종-포항 보경사 서운암동종,포항 보경사 승탑, 포항 보경사 괘불탱, 보경사의 탱자나무 |
|
서소리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
진각국사 혜심(眞覺國師 慧諶) |
- 혜심 - 탑비의 주인. 지눌에 이어 수선사 제2세 사주가 됨.
- 탁연 - 음기서자. 최자가 백련사를 중창할 때 현판을 섰음.
- 지눌 - 혜심은 지눌에게 출가함. 수선사 제1세 사주. 송광사 십육조사진영.
- 몽여 - 수선사 제3세 국사. 송광사 십육조사진영. 혜심의 『선문염송(禪門拈頌)』을 열람한 뒤 거기에 347칙 첨가하여 보완함. 이규보와 자주 교유함.
- 혼원 - 수선사 제4세 국사. 송광사 십육조사진영.
-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 강진 월남사
- 강진 월남사지
- 산청 단속사 - 혜심이 주석함.
- 산청 단속사지
- 수선사 - 송광사의 전신.
- 강진 월남사지 삼층석탑 - 보물 제298호
- 이규보 - 비문찬자.
- 김효인 - 비문서자.
- 최자 - 음기찬자.
- 최우 - 최우의 두 아들을 혜심에게 출가시킴.
- 수선사 - 선종 신앙결사(信仰結社). 보조국사 지눌.
- 백련사 - 천태종 신앙결사(信仰結社). 원묘국사 요세.
- 정혜결사 - 혹은 수선사결사
- 백련사결사
|
|
김현규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 |
보각국사 일연(普覺國師 一然) |
일연, 도의,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군위 인각사지,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탑,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군위 인각사 석불좌상, 군위 인각사 미륵당 석불좌상,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양양 진전사지 도의선사탑, 왕희지, 삼국유사, 부여 정림사지 |
군위 인각사 보각국사비문
|
최한샘 |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
원명국사 충감(圓明國師 冲鑑) |
- 충감 - 탑비의 주인
- 자오(慈悟) - 선원사에서 충감이 자오의 제자가 됨.
-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 - 보광사를 중창한 충감을 기리기 위해 세운 비.
- 선원사(禪源寺) - 충감이 7세 때 출가한 곳.
- 함평 용천사 - 용천사의 주지로 있었음.
- 부여 보광사지 - 절을 중건하고 입적함.
- 위소 - 비의 찬자.
- 양지 - 비의 서자.
- 주백기 - 제액을 씀.
- 회정 - 글씨를 새김.
- 백장청규(百丈淸規) - 중국 및 우리나라 선종(禪宗)에서의 사찰규범 지침서.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백장청규를 시행함.
|
부여 보광사지 대보광선사비문
|
김현규 |
양주 회암사지 선각왕사비 |
선각왕사 나옹(懶翁) |
나옹, 보우,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양주 회암사지 무학대사탑 앞 쌍사자 석등, 이색, 권중화, 조선 태조, 동국여지승람 |
|
김현규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
선각왕사 나옹(懶翁) |
- 나옹 - 탑비의 주인
- 원효 - 신륵사 창건자(추정)
- 지공 - 나옹의 스승
- 무학 - 나옹의 제자. 나옹, 지공과 함께 삼대화상으로 불림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 - 나옹의 탑비
- 여주 신륵사
- 양주 회암사지 - 나옹이 머물던 사찰. 깨달음을 얻은 곳.
- 밀양 형원사 - 회암사에 있던 나옹이 왕명을 받고 떠난 곳.
- 문경 대승사 - 이곳 묘적암에서 나옹이 출가.
- 연경 법원사 - 지공이 주석하던 사찰
- 해주 신광사 - 공민왕이 청하여 나옹이 주석했던 절. 주지를 맡았음.
- 보령 금강암 - 나옹이 잠시 머물렀던 절.
- 춘천 청평사 - 나옹이 주석했던 절.
- 순천 송광사 - 나옹이 주지를 했던 절.
- 안심사 - 평안북도 영변군에 있는 절. 나옹의 부도인 사리석종이 있다. 지공의 사리 봉안.
- 여주 신륵사 조사당 - 지공, 나옹, 무학 3대 화상의 진영이 있음.
- 여주 신륵사 다층석탑
-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 - 신라시대 양식에 따른 고려시대 유일의 전탑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 나옹의 사리를 봉안한 탑.
- 여주 신륵사 대장각기비 - 대장각 조성과 관련한 여러가지를 기록한 비.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 앞 석등
- 여주 신륵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 원주 영전사 보제존자 사리탑
- 조선 세종 - 신륵사가 1469년부터 영릉(세종의 능)의 원찰이 됨
- 공민왕 - 공민왕의 전폭적 지원을 받아 회암사를 중창함
- 우왕 - 나옹에게 선각왕사라는 시호를 추증.
- 이색 - 보제존자석종비를 지은 인물, 신륵사와 인연이 깊었다.
- 한수 - 보제존자석종비를 쓴 인물
- 공부선 - 고려, 조선시대에 승려를 대상으로 실시하던 과거. 나옹이 시관을 했음.
|
여주 신륵사 보제존자석종비문
|
김사현 |
수원 창성사지 진각국사탑비 |
진각국사 천희(眞覺國師 千熙) |
천희 |
|
김사현 |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
원증국사 보우(圓證國師 普愚) |
보우,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비, 고양 태고사, 고양 태고사 원증국사탑 |
|
김사현 |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
대지국사 찬영(大智國師 粲英) |
찬영, 충주 억정사지 대지국사탑비 |
|
김사현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
보각국사 혼수(普覺國師 混修) |
- 혼수 - 탑비의 주인공
- 나옹 - 혼수의 스승
- 계송 - 혼수의 스승
- 식영감 - 혼수의 스승
- 희진 - 혼수의 제자
- 만우 - 혼수의 제자
- 소만 - 혼수의 제자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비
- 충주 청룡사지 - 탑비가 위치해 있는 사지
- 서운사 - 혼수가 주석한 사찰
- 순천 송광사 - 혼수가 주석한 사찰
- 개천사 - 혼수가 주석한 사찰
- 광암사 - 혼수가 주석한 사찰
- 내불당 - 혼수가 주석한 사찰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 보각국사 혼수의 승탑
- 충주 청룡사지 석종형승탑 - 청룡사지에 있는 승탑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앞 사자 석등 - 보각국사탑 앞의 석등
- 목은집 - 목은 이색의 문집. 혼수를 기리는 시 등의 기록이 있다.
- 고려 공양왕 -
- 공민왕
- 고려 창왕
- 고려 우왕
- 고려 공양왕
- 권근
- 조선 태조
- 능엄경
|
|
서소리 |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비 |
정지국사 지천(正智國師 智泉) |
- 지천 - 탑비의 주인
- 지공 - 지천이 원에 가서 만난 스승
- 나옹 - 지천의 스승
- 여엄 - 용문사를 창건함 - 대경대사설
- 원효 - 용문사를 창건함 - 원효설
- 무학 - 무학과 함께 원에 가서 지공과 나옹의 가르침을 받음
-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비
- 양평 용문사 - 세조와 연관. 정약용도 다녀감.
- 양평 용문사 정지국사탑 - 보물 제531호
- 양평 용문사 은행나무 - 천연기념물 제30호. 마의태자와 의상 설화
- 양평 용문사 금동관음보살좌상 - 보물 제1790호
- 권근 - 비문찬자
- 세조 - 수양대군이 모후인 소헌왕후 심씨를 위하여 보전을 짓고, 불상과 보살상을 봉안함.(신미와 학조와 상의함). 소헌왕후의 원당.
|
|
김현규 |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비 |
사명대사(四溟大師) |
- 유정 - 탑비의 주인
- 신묵 - 유정의 스승
- 휴정 - 유정의 스승
-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비
- 합천 해인사
- 김천 직지사 - 이곳에서 출가하였고, 주지를 하였다
- 향산 보현사 - 이곳에서 휴정을 찾아 도를 닦았다
- 고성 유점사 - 임진왜란 때 유정이 이곳에서 아홉 고을의 백성들을 구출하였다
- 밀양 표충사 - 이곳에 제향되었다
- 향산 수충사 - 이곳에 제향되었다
-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 합천 해인사 장경판전
- 합천 해인사 고려목판
- 합천 해인사 석조여래입상
- 합천 해인사 원당암 다층석탑 및 석등
- 합천 해인사 건칠희랑대사좌상
- 합천 해인사 길상탑
- 해인사 동종
- 해인사영산회상도
- 합천 해인사 홍제암
-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 합천 해인사 감로왕도
-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 합천 해인사 법보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
-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및 복장유물
- 합천 해인사 대적광전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전적
- 합천 해인사 지장시왕도
- 합천 해인사 내전수함음소 권490 목판
- 합천 해인사 학사대 전나무
- 애장왕 - 두 승려의 선정을 통해 애장왕비의 등창이 낫자 이에 감동하여 가야산에 해인사를 짓도록 함.
- 희랑 - 해인사의 주지였던 희랑이 고려 태조를 도왔다
- 고려 태조 - 도와준데 대한 보답으로 해인사를 국찰로 삼아 해동 제일의 도량이 되도록 하였다.
- 황여헌 - 유정이 이 사람에게 맹자를 배웠다
- 박순 - 조선 중기 문신. 유정이 사귀었던 사람
- 임제 - 조선 중기의 시인 겸 문신으로 유정과 사귀었다
- 노수신 - 유정에게 노자, 장자 들을 가르쳤던 사람
- 정여립 - 한 때 유정이 정여립모반사건에 연루되었다는 모함을 받았다.
- 가토 기요마사 - 임진왜란 때 네 차례에 걸쳐 가토 기요마사와 회담을 했다
- 조선 선조 - 유정은 선조에게 토적보민사소라는 상소를 올렸다 / 선조는 임진왜란이 끝난 후 유정의 공로를 인정해 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의 벼슬을 내렸다.
- 평양성 - 임진왜란 때 유정이 승병을 이끌고 평양성 탈환 전투에서 공을 세웠다
- 사명당대사집 - 유정의 저서
- 분충서난록 - 유정의 저서
|
|